식민지 근대성과 소설의 양식

박현호 | 소명출판 | 2008년 04월 2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22,000원

전자책 정가 8,800원

판매가 8,800원

도서소개

한국 근대소설사의 암묵적인 전제였다고 할 수 있는 '장편=통속성 / 단편=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비판이 제기되었다. '한국 근대소설사는 단편양식의 역사'라고 규정하며, 소설 창작자의 주체인 작가와 이를 평가하는 비평가, 문학사 연구가들 대부분에게 발견되는 이러한 인식의 근원을 추적하여 비판을 시도했다. 실패한 장편을 작가 자신의 문제로 환원하기보다는 저널리즘의 통속성에 문제를 돌림으로써 문학적 책임을 회피한 작가들에 대한 비판, 그로 인해 단편을 '보다 더 예술적인 양식'으로 인식한 문학관의 의미를 밝힌다. 책 곳곳에서 일본의 근대를 참조틀로 하는 최근의 연구경향에 대해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하고 있어서 생산적인 토론의 단초를 열어두기도 했다.

저자소개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동아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89년 시 「겨울 파밭에서」로 동서문학 신인상을 받으며 문단에 나왔다. 지금은 동화 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목차소개

- 책머리에 1부 제1장 - 한국 근대소설사 연구에서 양식(樣式)의 문제 : 양식론의 이론적 위상과 그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 1. 양식 개념의 미학적 의의 2. 기존 연구에서 양식론의 양상 3. 양식론의 이론적 가능성과 지평 제2장 - 한국 근대 단편양식과 김동인 1. 문제제기 2. 1910년대의 문학적 상황과 단편양식의 관련성 3. 김동인의 근대관과 소설관의 특질 4. 마무리 제3장 - 한국 근대소설사에서 단편양식의 주류성 문제 : 양식. 주체. 역사의 구조적 연관성에 대하여 1. 문제의 소재 2. 배제의 미학으로서의 근대 단편양식 3. 단편의 양식적 특성과 역사적 주체의 연관성 4. 결론 2부 제4장 - 김동인 문학관의 역사적 향방 1. 머리말 2. 근대소설의 세계에서 '이야기'의 세계로 3. 소설의 도덕성과 '조선문학의 윤곽' 4. 맺음말 제5장 - 한국 근대소설과 내면의 서사 :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1. 내면의 서사화 양식을 묻는다는 것 2. 내면의 일방성 - 권력화로서의 내면의 서사 3. '현실의 발견'과 의식의 물질화 4. 맺음말 제6장 - 나도향과 욕망의 문제 : 식민지 근대의 현실에서 성욕의 존재 증명 1. '시대'의 학교에서 쫓겨난 '욕망' 2. 이성과 감성, 그리고 성욕의 관계설정 3. 나도향 문학에서 사랑과 성욕의 역할과 의미 4. 나도향 문학의 소설사적 의의 - 결론을 대신하여 제7장 - 나도향의 '어머니'를 통해 본 모성과 근대적 주체성의 관계 양상 1. 외면당해 왔던 문제작, '어머니' 2. 현실인식 변모의 계기와 방식 3. 근대성과 모성성의 관계양상 4. 맺음말 제8장 - 식민지적 이중성의 동요 : 현진건의 '지새는 안개' 1. 들어가며 2. 식민지적 이중성 - 구조를 통해 드러난 정신의 동요 3. 마무리 3부 제9장 - 현민 유진오 문학 연구 : 동반자 작가의 존재방식과 좌표 찾기 1. 현민 문학의 문제성 2. 동반자 의식의 실상과 그 의미구조 3. 탈이념화의 과정과 지표 4. 새로운 대안의 모색과 친일에의 논리 5. 맺음말 - 문화적 근대로부터 제도적 근대로의 이행, 혹은 절필의 변 제10장 - 구인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구인회'의 실체성과 연구의 필요성 2. 구인회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3. 구인회 - 한국 근대문학 특수성의 다른 이름 4. 남은 말 제11장 - 1930년대 후반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구조와 의미 1. 문제제기 2.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제기와 '대하'의 세계 3.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변용과 '봄', '탑'의 세계 4. 가족사연대기 소설의 성과와 한계 5. 맺음말 * 자료 '탑(塔)' - 「매일신보」신문 연재 최종 3회분 4부 제12장 - 김동리의 '해방'에 나타난 이념과 통속성의 관계 1. 장편양식과 통속성 2. '해방' 논쟁 - 근대적 산문정신과 장편 3. '해방'에서의 이념과 통속성 4. 마무리 제13장 - 1950년대 비평의 성격과 민족문학론으로서의 도정 1. 문제제기 2. 새로운 문학이념의 모색과 그 방법 3. 전통론의 파장과 민족문학론 4. 맺음말 제14장 - 형식으로 드러난 소외의 풍경 : 서정인의 '강'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