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1부 미적 근대성과 전통 제1장 정지용 시의 데카당티즘과 지적 허무 1. 한국 근대문학연구에서의 고착과 강박 2. 데카당스의 사상적 기반과 의미 3. 조선 근대의 풍경과 우울 4. 한국문학에서의 데카당티즘 5. 정지용 시의 지적 유희와 허무 6. 데카당티즘의 계보학을 위하여 제2장 자연의 미적 전유와 새로운 전통 1. 정지용과 새로운 전통 2. 양식의 새로운 심미화 3. 신체 감각과 공통 지각 4. 명증함과 단순한 것으로서의 기운 5. 전통과 감각의 발견 2부 언어장치와 미학적 형식 제1장 정지용 시에서 은유에 의한 시각적 재현과 미적 현대성 1. 시각 이미지의 현대성과 지용의 경우 2. 미학적 형식으로서의 은유 3. 시각적 재현과 미학적 동일화 4. 은유적 충돌과 시각 이미지 확대 5. 은유로서의 시각 이미지와 존재 확장 제2장 지용 시 어법에서 형태적 기술과 음상(音像) 1. 어법과 의미의 층위 2. 시각적 형태적 기술 3. 음교체와 반복의 음성현상 4. 내면 은폐적 문체 제3장 리듬의식과 불안한 근대 1. 1930년대 모더니스트와 불안한 근대 2. 리듬의 양상 3. 시적 어조 4. 미완의 종결과 의식적 통어 어법 3부 감각과 상상력의 변주 제1장 감각의 시적 개성과 인식화 과정 1. 감각과 이미지 2. 감각의 거리의식 3. 감각의 인식화 과정 4. 감각/의식/실존의 새로운 차원 제2장 정지용 시의 공간과 고독 1. 시적 공간과 시의식 2. 내밀성의 공간과 역동성 3. 열린 공간과 고독 4. 부동(不動)과 순수한 집중 참고문헌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