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애 첫 우리말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한 윤구병 선생님의

윤구병 | 천년의상상 | 2017년 05월 22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7,000원

전자책 정가 11,900원

판매가 11,900원

도서소개

윤구병 선생님이 처음 들려주는 우리말 이야기
우리말 속에 담긴 신화와 역사 그리고 문화

2015년 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지인들의 안타까움을 샀던 윤구병 선생. 그가 우리 앞에 새로운 작품을 선보이며 건강하게 돌아왔다. 윤구병 선생이 세상에 내놓은 새 책은 《내 생애 첫 우리말》이다. 그간 수많은 작품을 써왔지만, 이 책은 그 역시 사상 처음으로 펴내는 ‘우리말 이야기’다.

2011년 5월 31일 〈우리글말 바로 쓰기 강좌〉가 열렸다. 강사는 윤구병 선생, 강의는 둘째, 넷째 주 화요일 저녁 7~9시, 기간은 2011년 5월부터 12월까지. 총 15회였다. 수강을 희망하는 사람들 가운데 자기 소개서를 이메일로 보냈고, 윤구병 선생이 그 가운데서 7명을 직접 선발하였다. 장소는 한국글쓰기교육연구회.

이 책은 이렇게 시작되었다. 《내 생애 첫 우리말》은 윤구병 선생과 우리말을 공부했던 이들이 함께 나눈 이야기와 또 그것에 가지를 치고 따뜻하거나 덥거나 시원하거나 추웠던 여러 날 동안 더해 들은 윤구병 선생의 우리말 이야기를 담았다. 호메로스나 조선의 전기수들이 듣는 이를 홀리듯이.

윤구병 선생은 10년 이상의 글쓰기와 편집, 어느 누구도 표현할 수 없는 세밀화로 완성한 《보리국어사전》을 편찬하여 20만 명의 독자를 감동시켰다. 이 책은 우리말의 뿌리에서부터 그 쓰임새까지 낱말과 문장으로 엮은 사전으로서 한국출판문화대상, KBS 책 문화대상, 간행물문화대상 저작상 등을 받았다. 한국 사전의 수준을 한 단계 올렸으며, 사전 편집의 한 획을 그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70여 년을 우리말로 살아온 윤구병! 그는 보리국어사전에 담지 못한 수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었다. 그 이야기가 몹시 궁금했다. 이런 책 저런 책을 살펴보니 윤 선생은 그동안 수많은 저작을 펴냈으나, 우리말을 다룬 작품은 단 한 권도 없었다. 《내 생애 첫 우리말》은 윤구병 선생이 처음으로 펴낸 우리말 책이다.

저자소개

尹九炳
철학교수를 그만두고 공동체 학교를 꾸려 어린이들을 위한 교육과 글에 매진하고 있는 작가이다. 그는 1943년에 전라남도 함평에서 태어났다. 공부는 제법 했으나 말썽도 많이 부리는 학생이었고, 고등학교 2학년 때는 무전여행을 떠났다가 학교에서 쫓겨나기도 했다고 한다.

그에게는 위로 형이 여덟 명 있었는데 가장 큰 형의 이름은 일병이고, 아홉 번째 막내로 태어나 구병이 되었다. 그는 소설에서 봤던 철학과 학생이 좋아 보여 얼결에 철학과에 들어갔고, 강의는 듣는 둥 마는 둥 바람처럼 떠돌다가 성적표에 뜬 초승달(C)과 반달(D)을 원 없이 보기도 했다고 고백한다. 하지만 이내 공부를 해야겠다고 마음을 잡고 도서관에 앉아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희랍어, 라틴어를 독학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렇게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둘째 누리가 태어나던 해에「뿌리 깊은 나무」 초대 편집장을 역임했다. 충북 대학교 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어린이책 기획자로도 활동하였다. 한국사회의 역사와 현실을 어린이들에게 있는 그대로 일러주는 전집형 어린이 백과사전을 만드는가 하면, 번역서가 판치던 유아 그림책에 한국 아이들의 모습과 현실을 담는 창작그림책 시대를 열었다.

1989년 ‘한국철학사상연구회’가 결성되었을 때 초대 공동대표를 맡았고, 그 뒤로 오랫동안 단독 대표를 맡았다. 그는 1996년부터 철학 교수를 그만두고 농사꾼이 되고 싶어 산과 들과 갯벌이 있는 전북 부안으로 낙향, 농사를 지으면서 대안교육을 하는 ‘변산교육공동체’를 설립했다. 20여 가구 50여 명이 모여 사는 변산공동체에서 논농사 밭농사를 짓고, 젓갈 효소 술 같은 것을 만들어 자급자족하면서 자녀들에게 공동체 삶의 소중함을 배우고 가르쳐왔다.

'변산교육공동체' 혹은 '변산공동체학교'는 “삶터와 일터가 동떨어지고, 배움터마저 삶터와 일터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근대식 제도 교육이 처음부터 길을 잘못 들었다.”라는 비판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스무 해가 넘도록 시간 단위로 타인에게 통제 당하고, 기계적인 시간 계획에 길들여진 사람에게 ‘스스로 제 앞가림하는 힘’을 기대하는 것은 삶은 밤에 싹 돋기를 기다리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노릇이라는 그는 텃밭 가꾸기, 천연 염색하기, 발효 식품 만들기, 요리 하기, 나무로 생활용품 만들기, 그릇 빚기 따위를 배우며 아이들이 마을 안에서 어른들과 함께 자유롭게 지내고, 자연 속에서 자기의 시간을 스스로 통제하는 법을 배울 수 있도록 하였다. 스스로 자기 삶을 통제할 수 있는 자율성과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법'이야말로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라는 것이다. 지금 우리 사회가 아이들에게 저지르고 있는 짓에 경악하며 오늘도 그는 아이들과 배우며 가르치고 있다.

저서로는 『가난하지만 행복하게』『조그마한 내 꿈 하나』『실험 학교 이야기』『잡초는 없다』『꼭 같은 것보다 다 다른 것이 더 좋아』『있음과 없음』『모래알의 사랑』 등이 있다. 『가난하지만 행복하게』는 그의 삶의 전부나 마찬가지인 변산공동체와 그 이후의 10여 년에 대한 생생한 삶의 기록으로, 물질 중심의 가치관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개인과 국가간 빈부 격차의 확대, 갈등은 심화되고 우리의 삶의 질은 점차 피폐되어 가고 있을 경고한다. 그리고 '가난하지만 행복하게' 여러 생명체가 함께 더불어 살 때 우리가 행복해질 수 있음을 이야기 한다.

또한 함께하는 삶을 일군 윤구병의 공동체 에세이 『흙을 밟으며 살다』, 자연과 인간의 생명을 살리는 윤구병의 생태 에세이 『자연의 밥상에 둘러앉다』, 일, 놀이, 공부가 하나인 윤구병의 교육 에세이 『꿈이 있는 공동체 학교』를 통해 변산 공동체에 대한 자신의 삶과 사상을 담기도 했다. 기획부터 출간까지 7년 넘게 공을 들인, 남녘과 북녘 어린이가 함께 보는 『보리 국어사전』을 기획하고 감수했으며, 어린이 그림책 『심심해서 그랬어』『꼬물꼬물 일과 놀이 사전』『당산 할매와 나』『울보 바보 이야기』『모르는 게 더 많아』 들도 펴냈다

목차소개

고마운 이들에게
지은이의 말

1장 우리 신화를 우리말로 풀어볼까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밤의 이야기
고조선의 건국신화가 우주 탄생 신화로
해의 각시 박혁거세와 솟은 해 남해 차차웅
김대문과 금석학자들은 어떻게 이상한 신화를 만들었나
백제와 온조는 한 뿌리에서 나왔다?

2장 그 멋진 말을 누가 바꿔치기했을까
우리말은 어떻게 사라졌지
도시화로 바뀐 말들
그럼에도 살아 숨 쉬는 우리말
세 살배기도 까막눈 할매도 알아듣는 말을 버리고
느끼는 말, 주고받는 말
우리말을 바로 한다는 것

3장 곱다는 높은 것, 밉다는 낮은 것이야
소리흉내말과 짓시늉말
우리는 소리에 예민한 사람들이었다
줄기줄기 자라난 빛깔을 가리키는 말
끼리끼리 어울리는 말
때와 곳을 함께 보는 말
‘있다’와 ‘없다’, ‘이다’와 ‘아니다’
일, 이, 삼이 아니라 한낟, 덛낟, 샏낟

4장 우리 글에 우리말을 담아 서로에게 이어서
우리 글이 없었던 시절
시작은 한자 발음의 통일이었다
글자에 소리를 그대로 붙들어내다
심한 반대 속에서도 세상에 나오니
세종은 왜 불경을 먼저 옮겼을까
훈민정음 해례본 예의편을 다시 읽으며
조선 언어학자 최세진, 한글을 다시 정리하다
조선어학회, 사전 만든다고 말 뭉치를 모았을 때

5장 더 많은 우리가 우리말로 살았으면 좋겠어
토박이말은 살아 있지, 어떻게 살아남았을까
질량을 덩이로, 에너지를 힘으로
입씨름도 우리말로, 욕도 우스개도 우리말로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