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서문: 비주류의 역사적 임무를 맡으며 제1부 대안적 한국 근현대사의 모색 제1장 문제 제기 - 나, 한국인의 역사적 정체성을 찾아서 나, '우리'의 역사적 정체성 대안적 근현대사의 모색 한국전쟁과 지방민의 역사적 경험과 해석 역사인류학적 접근: 문화기술지적 역사 각 장의 내용 시양리 소개 제2장 대안적 역사쓰기의 이론적 배경: 역사인류학적 접근 인류학과 역사학의 상호접근 문화, 역사 그리고 권력 기억의 정치학 대항담론으로서 구술사 대항서술로서 생애사 제3장 역사적 담론들의 경함의 장으로서 한국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 속의 역사적 담론들: 두 개의 진리체제 하나의 진리체제: 국가의 공식적 역사 도 하나의 진리체제: 대항역사로서 민중사 두 진리체제에 가려진 것은 무엇인가 제4장 탈식민 역사와 민중사 탈식민 역사의 등장 탈식민 역사로서 민중사 비판 민중사를 넘어서: 새로운 탈식민 역사를 향하여 제2부 지방민의 시각에서 본 지방사 제5장 충남 예산군의 한국 근현대사 찾기 지방 중심의 역사쓰기 충청지방사: 왜 예산군인가 예산군의 형성 예산군의 근현대사 제6장 한 빨갱이 마을의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와 한국전쟁 시양리의 근현대사 6·25에 대한 시양리 사람들의 역사해석 제7장 한국 근현대사와 유씨 가족 가족, 또 하나의 역사쓰기 유씨 가족 배경 일제하 항일운동과 해방 6·25와 가족의 해체 전후 좌익가족의 생활 남한 좌익 가족사와 통일 제8장 여성과 6·25 여성과 전쟁 여성주의 역사로의 전환 한국전쟁에 대한 사례 연구와 여성의 경험 여성 구술생애사를 통해 본 6·25 여성의 경험으로 다시 읽는 한국전쟁 제3부 역사 속의 현지와 인류학자 제9장 1996년의 시양리 시양리, 변화한 것과 변화하지 않은 것 기억과 역사: '예산의 모스크바'는 어디로? 변신 속의 시양리, 1920~1997 제10장 인류학자의 과거로의 여행: 역사 속의 인류학자와 현지조사 현지조사와 인류학자에 대한 자기성찰 1980년과 인류학자 되기 내부인으로서 토착인류학자 외부인으로서 토착인류학자 마을로 내려가다: 금지된 과거의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서 현지조사에서 인류학자와 현지민과의 대화 마을로의 귀환: 1996년 박사 후 연수 부록 : 충남 예산 시양리와 예산군에 대한 도표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