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서론] 제2장 [국가와 사회] - 후기 자본주의 발전의 이론 -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출현 - 국가중심 분석의 강점과 약점 - 지구화의 도전과 국민국가의 전환 제3장 [발전국가] - 국가의 계보학 - 의사국가의 출현 - 국가의 과대성장 - 약탈국가의 전제적 권력 - '조국근대화'를 위한 국민동원체제 - '경제기적'의 비밀: 발전국가과 국가주도산업화 - '발전을 위한 동맹': 국가와 재벌의 연합 - 결론 보론 - 코포라티즘의 쇠퇴와 몰락 제4장 [재벌의 등장] - 재벌과 동아시아 산업조직의 특수성 - '제국의 후예': 한국 자본가의 식민지적 기원 - 재벌의 탄생: 정치적 자본과 정치적 자본가 - 재벌의 사회적 기원 - 다각화와 복합대기업의 발전 - 거대재벌과 경제력 집중 - 결론 제5장 [소유와 통제] - 가족자본주의와 관리자본주의 - 가족자본주의의 쇠퇴? - 창업자 가족의 전략적 통제 - 전문경영인의 한계와 가능성 - 겸임중역과 내부집단 - 결론 제6장 [권력이동] - 신자유주의 경제관료의 등장 - 정치적 민주화와 시민사회의 등장 - 재벌의 도전 - 발전국가와 약화 - 국가와 기업 간 조절의 제도적 배치 - 결론 제7장 [네트워크와 권력] - 사회계급과 네트워크 분석 - 기업 네크워크의 제도화 - 경력이동 - 정치적 네트워크 - 이데올로기 생산의 네트워크 - 비공식 네트워크 - 결론 제8장 [지구화, 국민국가, 기업지배구조] - 민족자본주의의 문제 - 국가와 해외자본: 갈등과 협력 - 외국자본과 국내자본간 합작관계의 변화 - 해외직접투자와 지구화 전략 - 지국적 경제의 출현과 국가 역할의 변화 - 결론 제9장 [새로운 발전 모델을 향하여] - 권위주의 코포라티스트 국가의 등장과 쇠퇴 - 가족자본주의의 약화와 법인자본주의의 도래 - 국가와 사회계급의 이론 - 새로운 국가와 기업 간 관계의 출현: 김대중 정부의 실험 - 낡은 발전주의 모델을 넘어서 - 21세기 발전 모델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