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속의 고대왕국 한성백제

성순택 | e퍼플 | 2017년 07월 14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9,000원

판매가 9,000원

도서소개

이 책은 고대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토대로 하여 초기백제와 관련된 고대 기록의 진위와 실존 가능성을 살펴보는 내용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 글 속에는 역사 기록에 충실한 여러 내용들과 함께 오랫동안 직접 답사하고, 준비한 100여장의 사진들과 20여장의 지도들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단편적인 지식으로 전달되었던 고대 지식들을 보다 쉽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 ‘한성백제의 태동과 비류의 미추홀’편에서는
만주에서 이주해 온 집단은 한반도에 어떻게 새로운 나라를 건설했는가? 에 대해 되짚어 보고 있습니다. 기원전·후 백제국이 세워질 무렵 격동기 한반도의 정세파악과 함께 비류가 정착한 미추홀의 존재를 들여다 봄으로써 백제국 성립 전의 초기모습들을 살펴볼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한성백제의 개막을 알리는 하남위례성’편에서는
백제역사 규명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주제인 백제의 최초 도읍지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백제의 초기 도읍인 하북, 하남위례성의 위치에 대해 제기되고 있는 논란들과 현재까지 드러난 사실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세 번째, ‘한성백제의 왕궁을 둘러싼 이야기들’편
초기백제에 있어서 왕궁의 존재는 도성의 규모, 백제의 위상을 나타내는 중심적인 척도입니다. 한성백제 오백년 동안 왕궁이 한 곳에만 있었던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 백제왕궁은 온조왕의 검소한 왕궁, 도읍을 이전한 근초고왕의 왕궁, 화려했다고 기록된 개로왕의 왕궁까지 다수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네 번째, ‘한성백제 도성의 완성, 한산’편
한산의 존재는 근초고왕이 도읍을 이전한 곳이며, 백제 도성의 일부로서 백제의 주요 활동무대였습니다. 한산은 초기백제의 역사뿐만 아니라 한강유역을 둘러싼 고대 삼국의 치열한 투쟁역사 규명에도 의미를 가지고 있는 중요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다섯 번째, ‘한성백제 도성의 입지’편
초기백제 도성이 입지한 동서남북의 입지를 묘사한 기록은 오늘날 초기백제 도성의 존재를 확인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입니다. 백제도성의 입지조건 파악을 통해 우리는 왜 이 지역에 백제가 자리를 잡은 것인지 그리고 각각의 조건들이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여섯 번째, ‘임진강과 한강유역 한성백제의 핵심성곽들’편
백제는 천혜의 조건을 가진 지정학적 요충지마다 성곽들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백제는 바다로 진출하는 수로와 국경을 방어할 수 있었고, 동북아 강국으로 발돋움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상실했을 때 위기를 맞게 됩니다. 흐르는 세월과 함께 많은 사료들이 사라져 버렸지만 백제의 성곽들과 고대 유적들은 그 날의 진실을 밝혀줄 실낱같은 희망이 되고 있습니다.

일곱 번째, ‘한성백제 도성의 방어구조’편
한성의 지정학적 조건들을 활용하여 백제인들은 그들의 도성을 건설하였습니다. 한성지역은 백제인들의 피와 땀이 서려있는 곳이며, 번영하는 서울의 상징과도 같은 곳입니다. 이곳에 백제인들이 구축해 놓은 도성의 자취들을 되돌아 보고 있습니다.

여덟 번째, ‘한성백제 도성의 함락과 그 이후’편
한 때 동북아 강국으로 군림하던 백제는 급격하게 국운이 기울어 급기야 고구려에게 도성이 허무하게 함락되는 비운을 맞이합니다. 그런데 고대의 기록은 한성함락 이후에도 한강유역이 백제의 강역으로 남아 있었음을 강력하게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는 그동안 우리가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과 상반되는 것입니다. 과연 역사의 진실은 무엇일까요?

이 글은 저자의 일방적인 주장보다는 많은 사료들과 고고학적 증거들을 바탕으로 현명한 독자들이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단서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역사적 진실들이 밝혀지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과거의 역사는 오늘을 사는 우리 삶의 거울일 수 있습니다. 한성백제는 훌륭한 문화유산들과 밝혀지지 않은 수많은 이야기들을 이 땅에 남겨 놓았습니다. 이를 올바로 밝히는 일이 우리 앞에 남겨진 과제입니다.

저자소개

이 책의 저자 성순택은 건축계획 전공으로 학부와 석사과정를 마치고, 도시공학 분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저자는 어린 시절부터 서울의 고대유적들과 자주 접할 수 있는 지역에서 자라왔고, 이 유적들의 존재에 대해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습니다. 그 후 건축과 도시계획관련 일들을 수행하면서 고대의 역사적 자취들이 현재까지도 우리에게 큰 영향을 끼치는 존재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나 여러 경로를 통해 강단에 설 기회를 가지면서 필자는 오랫동안 도시 속에 담겨져 있는 역사적 가치와 의미들을 계획에 반영하는 방법에 대해 가르치고, 고민해 왔습니다. 그 과정의 일환으로 이 글은 한강, 임진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초기 백제의 자취들과 한성백제 도성에 대해 돌아보고자 한 것이며, 한성백제에 대한 저자의 3번째 저작이기도 합니다.

이 땅의 역사를 보는 관점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어느 특정 분야의 전유물 만은 아닐 것입니다. 다만, 그 접근 방법이 조금은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자는 건축 및 도시를 다루는 분야의 전문가이므로 고대사를 시대적 관점에서 보다는 입지적 관점에서 더 잘 들여다 볼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또한 이 분야는 과거의 기억, 흔적 그리고 경험들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창의적으로 만들어 가는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건축과 도시계획을 실행하는 데 있어 제약조건의 대부분은 해당 지역이나 부지가 가지고 있는 자연적, 인문적 조건에 의해 좌우됩니다. 그 중에서도 계획대상지역이 가지는 역사성은 특정지역의 보존 또는 개발의 가치를 크게 드높일 수 있는 큰 자산이 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개발은 특정지역이 가지고 있던 고유의 역사성을 훼손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과거 수많은 개발계획들은 지나간 과거의 역사성보다는 현재나 미래의 개발이익에 주로 관심을 두면서 거의 무차별적으로 도시환경을 바꾸어 왔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개발의 폐해가 부각되면서 점차 개발은 정비의 개념으로 바뀌어 갔고, 이제 대세는 전면적 개발보다는 과거 우리가 걸어왔던 기억, 역사 등을 보존하는 정비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지금으로부터 2천여 년 전 아니 그보다 더 오래 전부터 이 땅에 살아왔던 선조들의 자취가 남아 있는 바로 그 땅 위에 우리는 수도 서울을 건설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앞만 보고 달려온 시간 동안 과거의 가치를 돌아볼 겨를이 없었지만 이제는 주변을 돌아볼 때가 되었고, 그래야만 합니다.

이제부터라도 뿌리 없는 개발에 몰두하기보다는 우리가 이룩한 번영의 기틀 위에 선조들이 이룩했던 역사적 자산들을 조화시킬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의 도시가 가진 가치를 더 드높이고, 양보다는 질적인 도시발전을 이룩하는 밑바탕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소개

1. 글을 시작하면서

2. 백제의 태동과 비류의 미추홀 : 分其民 歸弥鄒忽以居之(분기민 귀미추홀이거지)
2.1 백제의 태동, 초기백제의 성립
2.2 백제의 또 다른 뿌리, 비류의 미추홀

3. 한성백제시대의 개막 : 溫祚都河南慰禮城(온조도하남위례성)
3.1 하북위례성과 관련된 논란들
3.2 또 다른 하북위례성 후보지 임진강유역
3.3 진정한 백제의 시작, 하남위례성

4. 한성백제의 왕궁 : 新作宮室 儉而不陋 華而不侈(신작궁실 검이불루 화이불치)
4.1 한성백제의 왕궁을 둘러싼 논란들
4.2 한성백제의 왕궁은 어디에 있었던 것인가?

5. 한성백제 도성의 완성, 한산 : 王引軍退 移都漢山(왕인군퇴 이도한산)
5.1 한산과 관련된 논란들
5.2 근초고왕이 도읍을 한산으로 옮긴 이유

6. 한성백제 도성의 입지 : 北帶漢水 東據高岳 南望沃澤 西阻大海
(북대한수 동거고악 남망옥택 서조대해)
6.1 북대한수 :북쪽으로는 한강을 두르고 있다
6.2.동거고악: 동쪽으로는 높은 산에 의지하고 있다
6.3 남망옥택 :남쪽으로는 비옥한 들판을 바라보고 있다
6.4 서조대해: 서쪽으로는 큰 바다에 막혀 있다

7. 임진강, 한강유역의 고대성곽들 : 四面峭絶 海水環撓(사면초절 해수환요)
7.1 임진강유역의 고대성곽들
7.2 한강 하류지역의 성곽유적들

8. 한성백제 도성의 방어구조 : 王慮其侵寇 修阿旦城蛇城 備之(왕려기침구 수아단성사성 비지)
8.1 도성 중심부의 입지조건과 방어구조
8.2 한성백제 도성을 구성하는 핵심성곽들

9. 한성백제 도성의 함락과 그 이후 : 來攻北城 七日而拔之 移攻南城 城中危恐
(래공북성 칠일이발지 이공남성 성중위공)
9.1 고구려군의 1차 한성백제 도성 공격
9.2 고구려군의 2차 한성백제 도성 공격
9.3 도성함락 후 한성 지역을 둘러싼 역사의 진실

10. 글을 마무리하며

■ 참고자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