맹자, 정치를 이야기하다 - 《맹자》 3

맹자 | 이펍코리아 | 2012년 08월 17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500원

판매가 3,500원

도서소개

맹자는 유학(儒學)에서 아성(亞聖)으로 불린다. 공자를 성인(聖人)으로 부르는 맥락에서 맹자는 그에 ‘버금’가는 인물이라는 뜻이다. ‘공ㆍ맹’이라는 병칭이나 ‘공자왈 맹자왈’ 같은 표현에서 나타나듯이 그의 ‘넘버 투’ 위치는 이론의 여지가 없다. 《한서(漢書)》에서 제자(諸子) 즉 여러 사상가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했던 그는 유학의 중흥기인 송대에 특히 주자(朱子)에 의해 공자에 버금가는 중요 인물로 확실히 자리 잡았다.
그의 사상이 집약된 《맹자》가 유학의 기본 경전인 ‘사서(四書)’의 하나로 존중된 것도 주자로부터 시작된 것이었다. 유학의 창시자인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록인 《논어(論語)》의 바로 다음 자리다. 《맹자》 역시 맹자의 언행록이다.
당시의 학자들이란 군주들에게 통치의 이론을 제시하고 그것이 받아들여지면 그를 바탕으로 자신의 뜻을 펼쳐나가는 사람들이었는데, 요즘 말로 하면 ‘폴리페서’였던 셈이다. 그렇게 자신의 학문을 군주들에게 ‘세일즈’하는 활동이 바로 ‘유세(遊說)’였다. 맹자 역시 마찬가지여서, 여러 나라를 돌며 그런 세일즈 활동을 펼쳤다. 그러나 그 세일즈가 그리 성공적이었던 것 같지는 않고, 그나마 가장 오래 머물렀던 곳이 제(齊)나라였던 듯하다. 만년에는 고향인 추(鄒)나라로 돌아와 제자들을 기르는 데 전념했다.
《맹자》는 서술 형식상 맹자의 제자들 또는 그 제자의 제자들의 편집물이다. 7편으로 나뉜 것을 한나라 때 학자 조기(趙岐)가 각 편을 다시 상ㆍ하로 나누었는데, 여기서는 이를 채용해 전체를 14편으로 나누었다.

저자소개

맹자(孟子)(기원전 372~289)는 중국 전국시대 추(鄒)나라 출신의 사상가다. 성이 맹(孟)이고 이름은 가(軻)이다.
맹자는 기원전 4세기, 공자보다 80년쯤 뒤에 태어나 공자의 손자인 자사(子思)(또는 자사의 문인)를 통해 공자의 학문을 이어받았다고 한다. 70년쯤 후배인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과 대비되는 성선설(性善說)의 주창자로 유명하다. 같은 유학의 뿌리에서 인간의 본성이 선하냐 악하냐에 대해 정반대의 주장을 편 것이다. 맹자는 같은 맥락에서 인(仁)을 핵심 주장으로 내세웠고, 이를 정치사상에 적용해 왕도(王道)정치를 주장했다.

역자소개

이재황은 서울대 동양사학과에서 공부한 뒤 주로 언론계에서 일했다. 한국방송(KBS) 기자와 출판사 편집장을 지낸 뒤 내외경제신문과 중앙일보 기자로 있었다. 동양문화와 한자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이를 다루는 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이미 번역된 《조선왕조실록》의 오역을 바로잡고 주요 사건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구성한 《태조/정종본기》를 시작으로 《태종본기 1~3》(이상 청간미디어)을 출간했고, 온라인 신문 ‘프레시안’에 한자의 기원에 관한 글을 연재했다. 저서로 《한자의 재발견》, 《가장 빨리 외워지는 한자책》(이상 뉴런) 등이 있으며, ‘100분 고전’의 《악한 인간과 착한 시회인》을 번역했다. 그 밖에 《달러》와 《엘도라도, 혹은 사라진 신의 왕국들》(이상 AK) 등도 번역했다.

목차소개

제11편 고자[告子] 상
1. 사람의 본성은 버드나무와 같다 (性猶杞柳也)
2. 인간의 본성은 소용돌이치고 있는 물과 같다 (性猶湍水也)
3. 타고난 그대로가 본성이다? (生之謂性)
4. 식욕과 색욕은 본성이다 (食色性也)
5. 먼저 동네 사람에게 술을 따르는 이유 (先酌鄕人)
6. 자기의 성정을 따른다면 (乃若其情)
7. 풍년에는 젊은이들이 게으르다 (富歲子弟多賴)
8. 우산의 나무 (牛山之木)
9. 왕이 지혜롭지 못한 까닭은 (無或乎王之不智)
10. 생선 요리와 곰 발바닥 요리 (魚與熊掌)
11. 잃어버린 마음을 찾는 것 (求放心)
12. 손가락이 남들과 다르다면 (指不若人)
13. 굵고 가는 나무들이라도 (拱把之桐梓)
14. 작은 것에 신경 쓰느라 큰 것을 잃어버린다 (養小失大)
15. 큰 부분을 따르면 큰 사람이 된다 (從其大體爲大人)
16. 하늘이 내린 벼슬과 사람이 준 벼슬 (天爵人爵)
17. 권력자가 귀하게 만들어주었다면 (趙孟之所貴)
18. 인이 불인을 이기는 것은 당연하다 (仁勝不仁)
19. 인 또한 여물어야만 가치가 있다 (仁亦在熟)
20. 활쏘기를 배우려면 활 당기는 것에 집중하라 (必志於?)

제12편 고자[告子] 하
1. 옥려연이 대답 못한 일 (任人問屋廬子)
2. 조교의 질문 (曹交問)
3. 두 시가 다른 이유는 (小弁凱風)
4. 송경의 설득 방법은 틀렸다 (宋?將之楚)
5. 추나라에 있을 때 받은 예물의 차이 (孟子居鄒)
6. 명분과 실질을 앞세우는 것은 (先名實者)
7. 임금의 악에 영합하는 것은 죄가 크다 (逢君之惡)
8. 노나라가 신활리를 장군에 임명하자 (魯欲使愼子爲將軍)
9. 지금 세상의 이른바 좋은 신하는 (今之所謂良臣)
10. 맥족의 조세 징수법 (大?小?)
11. 백단의 치수법 (丹之治水)
12. 지성인에게 신용이 없다면 (君子不亮)
13. 노나라가 악정극에게 국정을 맡기려 하자 (魯欲使樂正子爲政)
14. 벼슬하고 떠나는 세 가지 이유 (所就三所去三)
15. 하늘이 큰일을 맡기려는 사람은 (天將降大任於是人)
16. 가르치는 데는 여러 방법이 있다 (敎亦多術)

제13편 진심[盡心] 상
1. 마음을 다하고 본성을 알면 (盡心知性)
2. 모든 것은 천명이다 (莫非命也)
3. 구하면 얻어진다 (求則得之)
4. 만물은 모두 나에게 갖추어져 있다 (萬物皆備於我)
5. 실천하면서도 드러내지 않고 (行之而不著焉)
6.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있어야 한다 (人不可以無恥)
7.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중요하다 (恥之於人大矣)
8. 선을 좋아하고 권세는 생각하지 않는다 (好善而忘勢)
9. 송구천에게 충고한 말 (孟子謂宋句踐)
10. 평범한 백성과 뛰어난 선비의 차이 (凡民豪傑)
11. 한ㆍ위의 가산을 다 주어도 (附之以韓魏之家)
12. 편안한 방법으로 백성들을 부리면 (以佚道使民)
13. 패후 치하의 백성들은 (?者之民)
14. 훌륭한 교화로 민심을 얻는다 (善敎得民心)
15. 타고난 능력과 타고난 지혜 (良知良能)
16. 순임금이 깊은 산속에 살 때에는 (舜居深山之中)
17.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지 말라 (無爲其所不爲)
18. 임금에게 버림 받은 신하와 서자 (孤臣?子)
19. 임금을 섬기는 사람은 (有事君人者)
20. 지성인의 세 가지 즐거움 (君子有三樂)
21. 훌륭한 통치자의 본성적인 부분 (君子所性)
22. 춥고 배고픈 사람이 없어야 한다 (無凍?之老)
23. 곡식이 물과 불처럼 흔하다면 (菽粟如水火)
24. 공자가 동산에 올라가서 (孔子登東山)
25. 순임금과 강도 척이 다른 점 (舜與蹠之分)
26. 위아설과 겸애설과 중간 노선 (楊墨子莫)
27. 굶주리면 모든 음식이 달다 (飢者甘食)
28. 벼슬자리와 절개 (以三公易其介)
29. 우물 파는 일에 비유해 말한다면 (?若掘井)
30. 오랫동안 빌려 가지고 있으면 (久假而不歸)
31. 이윤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면 (有伊尹之志則可)
32. 지식인들의 공로 (君子居是國也)
33. 왕자 점의 질문 (王子?問)
34. 작은 일로 미루어 큰일도 믿는다? (以其小者信其大者)
35. 고수가 사람을 죽였다면 (??殺人)
36. 지위가 기상을 바꾼다 (居移氣)
37. 공경하면서 알맹이가 없으면 (恭敬而無實)
38. 성인이라야 다 발휘할 수 있다 (惟聖人然後可以踐形)
39. 제 선왕이 상기를 단축시키려 하자 (齊宣王欲短喪)
40. 지성인이 사람들을 가르치는 방법 (君子之所以敎)
41. 도는 높고 아름답지만 (道則高矣美矣)
42. 자신이 원칙에 따라 활동해야 할 때 (以道殉身)
43. 등경이 문하에 와 있을 때 (?更在門)
44. 그만두어서는 안 될 일인데도 그만두는 사람 (於不可已而已)
45. 지성인이 사물을 대할 때 (君子之於物)
46. 마땅히 힘써야 할 것을 서두르라 (當務之爲急)

제14편 진심[盡心] 하
1. 위 혜왕이 인자하지 않은 이유 (不仁哉梁惠王)
2. 정의의 전쟁이란 없었다 (春秋無義戰)
3. 경전도 다 믿을 수는 없다 (盡信書則不如無書)
4. 전쟁이 무슨 필요가 있는가 (焉用戰)
5. 목수와 수레 기술자 (梓匠輪輿)
6. 순이 마른 밥과 푸성귀를 먹을 때 (舜之飯?茹草)
7. 남의 부형을 죽이면 (殺人父兄)
8. 옛날에 관문을 설치한 것은 (古之爲關也)
9. 자신이 도리에 맞게 행동하지 않는다면 (身不行道)
10. 이득에 밝은 사람은 (周於利者)
11. 명예를 좋아하는 사람은 (好名之人)
12. 인자하고 현명한 사람을 믿지 않으면 (不信仁賢)
13. 인자하지 않다면 (不仁而得國)
14. 백성이 가장 귀중하고 (民爲貴)
15. 성인은 영원한 스승 (聖人百世之師也)
16. 그 둘을 합친 것이 도다 (合而言之道也)
17. 공자가 노나라를 떠날 때는 (孔子之去魯)
18. 공자가 곤경을 겪은 것은 (君子之?於陳蔡)
19. 남들이 찧고 까불어 고민이라면 (稽大不理於口)
20. 자신이 먼저 분명하게 안 뒤에 (賢者以其昭昭)
21. 산속 오솔길 사이도 (山徑之蹊閒)
22. 우임금의 음악 (禹之聲)
23. 풍부 같은 인간 (是爲馮婦)
24. 천명이 있고 본성이 있고 (有命有性)
25. 악정극에 대한 평가 (樂正子何人也)
26. 묵가의 겸애설에서 빠져나오면 (逃墨必歸於楊)
27. 세 가지 징수 (有布縷之征)
28. 제후의 세 가지 보배 (諸侯之寶三)
29. 분성괄이 죽겠구나 (死矣盆成括)
30. 상궁에 머물 때 생긴 일 (館於上宮)
31. 사람은 누구나 차마 못하는 마음이 있다 (人皆有所不忍)
32. 자기 밭은 내버려 두고 (人病舍其田)
33. 요ㆍ순은 본성대로 산 사람들이다 (堯舜性者也)
34. 상대를 우습게 보라 (說大人則?之)
35. 마음을 수양하는 최고의 방법 (養心莫善於寡欲)
36. 증자는 고욤을 먹지 않았다 (曾晳嗜羊棗)
37. 내 고장 선비들이 과격하고 단순해서 (吾黨之士狂簡)
38. 요ㆍ순으로부터 탕왕까지가 오백여 년 (由堯舜至於湯)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