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이광수 문학의 새로운 지평 이광수의 새 자료 「크리스마슷밤」 연구 - 김영민 1. 머리말 2. 《학지광》 제8호의 서지 3. 새 자료 「크리스마슷밤」 4. 맺음말 이광수 초기 문학의 변모 과정 - 김영민 이광수의 새 자료 「크리스마슷밤」 연구 (2) 1. 머리말 2. 「크리스마슷밤」 이후의 이광수 3. 맺음말 1910년대 이광수 소설 문체의 재인식 - 양문규 1. 머리말 2. 지식인 문체의 모색-단편소설의 문체 3. 《매일신보》 장편소설의 국문체 모색과 그 한계 4. 맺음말 이광수와 ‘국민시’- 최현식 1. ‘국민문학’의 분절과 이광수 2. 이광수와 국민문학, 그리고 국민시 3. ‘정신 혈통’의 내면화-와카[和歌] 제작 및 번역의 의미 4. ‘청년’의 죽음-‘국민’의 탄생 혹은 좌절 5. 이광수, 창조와 개조의 간극 제2부 이광수의 문학론과 사상의 좌표 이광수 초기 문학론의 구조와 와세다 미사학(美辭學) - 김재영 1. 머리말 2. ‘지정의론’과 ‘와세다 미사학’ 3. ‘묘사론’과 《소설신수》 4. 국민문학론 5. 맺는 말 자율적 개인과 부르주아 결사로서의 민족 - 하정일 1910년대 이광수의 문학론과 사회사상을 중심으로 1. 1910년대와 이광수 2. 자율적 개인과 ‘정’ 3. 정신적 문명론과 근대주의 4. 천재론과 민중 동원의 수단으로서의 소통 5. 소결-소통의 부재와 민족 없는 민족주의 이광수 소설에서의 자유주의와 개인 주체 - 한수영 자유주의의 내면화 과정 연구를 위한 하나의 시론(試論) 1. 자유주의에 관한 역사적 검토의 필요성 2. 개화파 자유주의의 실패가 남긴 것 3. 내면화 형식으로서의 ‘연애’의 기원-일본의 경우 4. ‘자유’의 위계-민족과 개인 5. 미해결된 질문의 재귀(再歸) 논리 6. ‘도덕적 주체’로의 도피-균열의 봉합과 재기(再起)되는 질문들 국민주의자로서의 이광수 - 김재용 1.식민지 근대의 내셔널리즘-민족주의와 국민주의 2. 실력의 양성과 독립의 전망 3. 독립의 포기와 차이의 해소를 통한 일본신민 되기 4. 안창호와 윤치호 사이에서-국민주의자로서의 이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