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머리 글_ 쉽지 않은 ‘한국인의 원형문화’ 찾기 _4
*동북아 상고 문화 탐구에는 보이지 않는 장막이 드리워 있는가.
*신중하고도 차분한 고찰이 요구되는 문화 원형 분야 연구
*한국의 문화 원형이란 것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
*한국의 문화 원형 탐구에 앞서 필요한 통합적 안목과 다양한 세계관
01 베일에 가려진 한국 선사문화 _19
*수수께끼같은 선사시대 전환기
*상상이외로 다양했던 문화적 이동의 통로
02 봉정유궐의 삶이 있었다 _25
*고향에 관한 이미지의 원형
*평양이란 선인왕검의 집
*우리의 상상을 초월하는 선사인의 주거 양상
*쑥내 가득하고 버드나무 늘어진 곳의 의미
*강화도의 참성단에 스민 한민족의 시원적 건축 사상
03 동북아 신석기 사회 속의 장묘예숙(葬墓禮俗)과 관련 문화 _41
*무덤이 말하는 인류 문화
*동북아 신석기 사회의 교섭사적 이해
*한국의 신석기 사회와 관련한 인골 고고학 자료
*부산 가덕도 장항 유적의 신석기 유적에 반영된 문화 양상의 보편성과 특수성
*가덕도 장항 유적의 신석기 유적에서 드러난 인골의 특별함
*산동 거현(莒縣) 항두(杭頭) 유적의 인골 자료로 읽는 생활 문화
04 상고조선 시기의 성곽과 ‘알유’ 이야기 _61
*평양성을 어찌 볼 것인가
*지탑리 토성과 성현리 토성의 경우
*청암리 토성
*석씨계고략(釋氏稽古略)》과 《청학집(靑鶴集)》에 보이는 ‘알류’
*엿보게 하는 《청학집(靑鶴集)》의 내용을 함께 비교한다
05 ‘굶주리지 않기’, 그리고 ‘술 마시기’ _71
*상고시기에는 무엇으로 끼니를 해결했을까
*삼위산 속에 담긴 풍요 기원 의식
*끼니의 문제와 술의 문제
*술에 얽힌 상고시기 관련 두 기록의 내용
*술에 관한 고대 시기에 얽힌 두 가지 일화
*술과 신석기 문화, 그리고 선도(仙道)
*술의 어원에 관한 소박한 검토
06 소리와 가락으로 즐기기의 연원 _95
*1미터 크기의 타악기가 전해 주는 의미
*동북아시아 상고 인류는 어떤 음악 세계를 즐겼을까
*연원을 고증하기 어려운 노래, 아리랑
*상고시기의 한민족은 어떻게 놀았고 노래했으며 즐겼을까
*‘어아’ 노래의 의미와 가치
*‘어아’ 노래와 ‘불(黻) 무늬’의 연관성
*신(神)과 마주하여 당차게 댓거리하다
07 춤추기의 연원 _117
*동방 상고 사회인과 한국 상고인의 춤은 어디서부터였지
*피맺힌 세력 간 갈등 속에 피어난 집단 무용
*한국 무용 행위 속에 꿈틀대는 경천 의식과 사귀 진압의 의지
08 간두식(竿頭飾)에 담긴 한국과 중앙아시아 문화의 상관성 _127
*누가 간두식(竿頭飾)을 만들었고, 왜 썼을까
*한국 고대의 재래 신앙과 금속 미술의 모티프
*신석기 시대부터 존재했던 것으로 짐작되는 한국 선사인의 조령 의식
*쌍조식 청동제 조식간두(雙鳥式 靑銅製 鳥式竿頭)가 전해 주는 메시지
*대구비산동에서 나온 쌍조식(雙鳥式) 세형동검과 파지리크 유물상의 유사성
*한 대에 만들어진 사신경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는 것
*부여 땅에서 만들어진 신수(神獸) 패식
*조익형(鳥翼形) 금동관이 담고 있는 의미
*황남대총에서 드러난 은제 잔과 식리총의 새, 그리고 이국적 여신(女神)
*고구려 봉황 장식과 금동관형 장식
*새가 달린 서봉총 금관
*스키타이 계열의 간두식(竿頭飾)
*오르도스 계열의 간두식(竿頭飾)
*간두식, 그리고 한국의 조령 신앙
*한국 문화의 또다른 바탕, 조령 신앙
09 문질빈빈(文質彬彬)의 삶, 그것이 한국인의 정서였다 _163
*문무겸전사상의 뿌리는 어디서부터였나?
*천하를 구하는 법식을 드러낸 자부선인의 삶
*실용적 문무겸전의 전형을 이룬 지위(蚩尤)와 단군왕검
*위난을 물리쳐 한국 역사상 정통 대맥(正統大脈)이 된 문무겸전 인사들
10 언어에 담긴 한국 문화의 고갱이 _177
*씩씩하고 씩씩한 윗 임금님(桓桓上帝)
*아만
*고시
*지위(蚩尤)
*신시와 됴땅(都堂)
*됴선(朝鮮)
*텬독, 그리고 됴선텬독
*됴쿠줌(吉凶)과 죽사리(死生)
11 우리 문화의 참된 고갱이를 고민한다 _195
*한민족의 정체성 고찰, 간단치 않다
*동북아 제례 문화와 음양사상의 연원
*한국 상고문화상의 특별함과 특이점
*남명 조식의 신명사도(神明舍圖) 속에 담긴 의미
12 동북아 여성성의 연원과 한국 여성 문화의 뿌리 _207
*울주에서 수습된 토제 여성상과 우하량 여신상의 의미
*여와와 여와 신앙이 지닌 문화적 성격
*여와설화에 담긴 상징성
*치우군진 내 군사 악무와 생황, 그리고 ‘어아’의 의미
*한국 상고시기의 후토제의(后土祭儀)가 지닌 의미
*고구려 오회분 4호묘 벽화 속의 월신(月神,여와)
*여와는 상고 이래로 동북아지역 여성성의 뿌리였다
13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웅녀’를 말하다 _225
*환인(桓因) 가문의 왕녀였던 웅녀, 혹시 ‘곰의 여왕’은 아니었을까
*태백산 신단수 지역에는 실용주의 생활 문화가 움트고 있었다
*‘곰의 여왕’ 아가씨, 웅녀의 새 거점 찾기, 그리고 이어진 고난도 수련
*웅녀의 정체와 환웅의 인간적 풍모
*환인 가문의 왕녀였던 웅녀, 그녀가 지닌 상징성은 무엇인가
*웅녀, ‘홍익인간’의 이상을 펴는 세상 건설에 중심 인재가 되다
*웅녀가 천하최고의 사내와 멋진 혼인, 행복한 가정을 모두 이루다
*웅녀의 덕성은 홍익세상을 다졌고, 단군왕검은 덕치로 그 뒤를 이었네
*웅녀가 여신의 이미지로 남다
*그런데 웅녀의 겉모습은 어땠을까
*동아시아 선사시대의 동굴 생활과 당시 공동체 내 상위 여성들의 치레걸이는
14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사소’를 말하다 _249
*사소(娑蘇)라고 불리는 뜨거운 자유연애주의자가 있었다
*사소를 뒤따른 세력은 당대 최고의 선진 기술 소유 집단이었나
*사소의 뒤에는 정신적 멘토였던 부왕(父王)이 있었다
*소리개를 익숙하게 다룬 사소는 북방 유목민적 기질의 여성 리더
*사소가 새로운 이상 사회의 바탕을 일구다
*사소가 자신의 소생자(所生子)를 건국의 주체로 나서게 하다
*사소가 서라벌의 잡거(雜居) 사회를 보듬는 여신의 존재로 남다
*손자와 손녀로 이어진 신이한 기풍
15 한국사 속의 여성 위인 특론-‘허황옥’을 말하다 _265
*신성성을 지닌 김수로의 선대 가문
*가락국 초기 왕실의 고민과 긴장(1) - 어떻게 선진 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까
* 가락국 초기 왕실의 고민과 긴장(2) - 김수로는 결코 예사 가문과 쉽게 혼인해선 안 된다
*김수로의 고민과 긴장(3) - 신출 세력의 권력 도전 막아내기
*몰락한 아유타국의 후예 허황옥, 그녀는 예쁘고 씩씩했다
*지혜로운 소녀 허황옥, 오빠와 함께 새로운 천하를 꿈꾸다
* 위기에 굴하지 않는 아유타국의 후예 허황옥, 동아시아 최초의 소녀 항해가로 변신하다
*당당한 허황옥, 공주의 신분으로서 가락국의 안주인이 되다
* 허황옥이 수도(修道)적 신앙 기반을 다지고 이상화된 선불(仙佛) 융합의 세계관을 향유하다
*허황후의 정신세계가 국제적 신정 문화(神政文化)의 바탕을 이루다
16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신라의 각축과 빛나는 문화경쟁 _287
*고구려 벽화 속에서 소중하게 이끌어낼 문화적 다양성
*안악 제3호분 벽화 그림의 의미, 그리고 5세기 고구려의 발전
*광개토태왕 대의 구사(九寺) 조영과 문화 융성
*5-6세기경 고구려 벽화 속에 보이는 불교적 상징성
*5세기 중반경에 펼쳐진 한반도 남북부 지역의 불교문화
*6세기 전반의 무용총과 벽화에 그려진 현악기, 그리고 문화 융합
*고구려와 백제, 그리고 신라, 각축과 문화 경쟁을 함께하다
*6세기경 신라의 발전에는 풍류도가 숨쉬고 있었다
*백제, 문화의 꽃을 피우고 국력 강화를 꾀하다
*고구려의 강력한 성장, 그리고 불교 및 기타 다양한 신앙 의식의 종합
*고구려 내 신앙 요소적 융합 시도와 화려한 문화의 다양성
*수나라의 제국적 위세에도 굳건하던 고구려의 힘
*7세기경 백제의 서산 마애삼존불에 담긴 의미
17 새로운 소망 꿈꾸기와 이상 세계의 지향 _321
*신시, 기원(祈願), 그리고 이화세계
*신(神)이여! 나를 살리시라! 가여운 우리 민중을 살리시라!
*칠성(七星)을 옆에 끼고 하늘을 가리키어
*옥녀주(玉女呪)에 담긴 벽사 정신과 희망의 기원
*참 정신을 갈망하다
18 한민족의 억센 상무적 기상과 끈질긴 항쟁의 전통 _332
*고구려, 그 굳건함의 바탕은 무엇이었나
*고구려의 철벽 대응과 수 대군의 패전
*고구려의 시련과 신라의 한시적 당(唐)군 활용
*신라, 다시 대당(對唐) 전쟁을 벌이다
*신라가 무비를 개선시키며 대당 전쟁에 거듭 승리하다
*발해의 건국과 동북아질서의 재편 조짐
*발해의 적극적 군사 정책과 신라와 당의 공수동맹 회복
*당의 정정 불안과 신라 해상 무력 조직의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