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내편

장자 지음(탁양현 옮김) | e퍼플 | 2018년 07월 06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1부 내편(內篇)


1편. 소요유(逍遙遊)

1장. 물고기와 거대한 새 13
1. ‘곤’과 ‘붕’
2. ‘붕’에 대한 ‘제해’의 발언
3. ‘곤’을 비웃는 작은 새들
4. ‘탕임금’과 ‘극’
5. ‘송영자’에 대한 평가
6. 바람을 조종하는 ‘열자’

2장. ‘요임금’과 ‘허유’ 17
1.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는 ‘요임금’
2. 천하를 물려받지 않겠다는 ‘허유’

3장. ‘막고야’ 산의 신인 18
1. ‘광접여’를 불신하는 ‘견오’
2. ‘견오’를 나무라는 ‘연숙’
3. 모자를 팔러 간 ‘장보’
4. 신인들을 만난 후 천하를 잊은 ‘요임금’

4장. ‘혜자’와 ‘장자’ 20
1. 거대한 박과 손 안 트는 약
2. 거대한 나무와 살쾡이


2편. 제물론(齊物論)

1장. ‘남곽자기’와 ‘안성자유’
1. 인뢰와 지뢰와 천뢰
2. 큰 지혜와 작은 지혜
3. 죽음에 가까이 가버린 마음
4. 온갖 감정이라는 것
5. 참된 주재자
6. 나는 무엇인가
7. 결국은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인생
8. 성심
9. 인간의 언어
10. 상대성과 동시성
11. 손가락과 말
12. 길과 이름
13. 도에 가까운 경지
14. 원숭이와 도토리
15. ‘소문’과 ‘사광’과 ‘혜시’
16. 있음과 없음
17. 하나와 둘과 셋

2장. 도에 관하여
1. 말하지 않는 언어와 도가 아닌 도
2. 열 개의 태양

3장. ‘설결’과 ‘왕예’
1. 참된 거처와 참된 맛과 참된 아름다움
2. 이로움과 해로움

4장. ‘구작자’과 ‘장오자’
1. ‘공자’의 제자 ‘구작자’의 물음
2. ‘장오자’가 들려주는 ‘여희’의 이야기
2. 꿈속의 꿈이라는 수수께끼
3. 논쟁에서의 승리와 패배
4. 천예의 옳음과 그름

5장. 그림자와 호접몽
1. 곁 그림자와 그림자
2. 나비의 꿈과 만물의 변화


3편. 양생주(養生主)

1장. 생명과 지식
1. 중도의 경지

2장. 양생의 도
1. ‘포정’의 칼놀림에 대한 ‘문혜군’의 경탄
2. ‘포정’이 들려주는 칼놀림의 미학

3장. ‘공문헌’과 ‘우사’
1. 외발이 ‘우사’
2. 연못가의 꿩

4장. ‘노담’의 죽음
1. ‘노자’의 장례식과 ‘진일’의 조문


4편. 인간세(人間世)

1장. ‘안회’와 ‘중니’
1. 위나라로 가려고 하는 ‘안회’
2. ‘안회’를 걱정하는 ‘중니’
3. ‘중니’를 설득하는 ‘안회’
4. 심재를 권하는 ‘중니’
5. ‘공자’가 논변하는 만물 교화론

2장. ‘섭공자고’와 ‘중니’
1. 사신으로 가는 ‘섭공자고’가 ‘중니’에게 묻다
2. 천명과 의리의 부득이함을 논변하는 ‘중니’
3. ‘중니’가 논변하는 떳떳한 말과 넘치는 말
4. ‘중니’가 논변하는 매사의 시작과 끝
5. 언어와 행동에 대해서 논변하는 ‘중니’

3장. ‘안합’과 ‘거백옥’
1. ‘거백옥’이 말해주는 타인을 대하는 태도
2. 사마귀와 호랑이와 말에 관한 이야기

4장. 목수 ‘장석’의 이야기
1. ‘장석’과 상수리나무
2. 꿈에 나타난 상수리나무

5장. ‘남백자기’의 이야기
1. ‘남백자기’와 커다란 나무

6장. ‘형씨’ 땅의 나무들
1. 쓸모 있는 탓에 천수를 누리지 못 하는 나무들

7장. ‘지리소’의 이야기
1. 괴물 같은 외모의 ‘지리소’

8장. ‘공자’와 미치광이 ‘접여’
1. ‘접여’의 노래


5편. 덕충부(德充符)

1장. ‘왕태’와 ‘중니’
1. 절름발이 ‘왕태’
2. ‘왕태’의 경지를 의심하는 ‘상계’

2장. ‘자산’과 ‘신도가’
1. 절름발이 ‘신도가’

3장. ‘숙산무지’와 ‘중니’
1. 절름발이 ‘숙산무지’
2. ‘공구’에 대해서 ‘노담’에게 이야기하는 ‘숙산무지’

4장. ‘애공’과 ‘공자’
1. 추한 용모를 지닌 ‘애태타’
2. 덕이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는 ‘애태타’
3. ‘중니’가 이야기하는 완전한 재능
4. 덕으로써 벗이 된 ‘애공’과 ‘공구’

5장. 절름발이에 꼽추에 언청이인 ‘인지기리무신’
1. 잊어버려야 할 것과 잊지 말아야 할 것
2. 자연이 길러주는 네 가지 것들

6장. ‘혜자’와 ‘장자’
1. 인간의 감정에 대한 두 사람의 대화


6편. 대종사(大宗師)

1장. 천지자연의 도에 관한 이론
1. 천지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지식
2. 옛날의 진인에 대한 설명
3. 진인으로서의 성인
4. 진인의 행동방식
5. 부득이한 삶과 죽음을 대하는 진인의 태도
6. 만물의 거대한 진실
7. 만물제동을 실천하는 진인

2장. ‘남백자규’와 ‘여우’
1. ‘여우’가 들려주는 ‘복량의’의 체도 과정
2. 도가 전해진 계보

3장. ‘자사’와 ‘자여’와 ‘자리’와 ‘자래’
1. 괴물처럼 변하는 병에 거린 ‘자여’
2. ‘자래’가 이야기해주는 천지자연의 변화

4장. ‘자상호’와 ‘맹자반’과 ‘자금장’
1. ‘자상호’의 장례식에 조문하러 온 ‘자공’
2. 예법의 바깥에서 노니는 자와 예법의 안에 있는 자
3. ‘공자’가 의지하는 세계
4. 기인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공자’

5장. ‘안회’와 ‘중니’
1. ‘맹손재’의 명성을 의심하는 ‘안회’
2. 천지자연의 변화에 대해서 논변하는 ‘중니’

6장. ‘의이자’와 ‘허유’
1. ‘요임금’에게 처벌받은 ‘의이자’
2. ‘허유’가 들려주는 도의 세계

7장. ‘안회’와 ‘중니’
1. ‘중니’에게 묻는 ‘안회’
2. 좌망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안회’

8장. ‘자여’와 ‘자상’
1. ‘자상’의 운명론


7편. 응제왕(應帝王)

1장. ‘설결’과 ‘왕예’
1. 인간의 경지와 자연의 경지

2장. ‘견오’와 ‘광접여’
1. 성인의 정치와 미물의 지혜

3장. ‘천근’과 ‘무명인’
1. ‘무명인’이 들려주는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

4장. ‘양자거’와 ‘노담’
1. ‘노담’이 들려주는 ‘명왕’의 정치

5장. ‘계함’과 ‘열자’와 ‘호자’
1. 용한 무당 ‘계함’
2. ‘호자’의 관상을 보다가 도망친 ‘계함’
3. ‘열자’의 변화

6장. 마음을 텅 비우는 일
1. 지극한 사람의 거울과 같은 마음

7장. ‘숙’과 ‘홀’과 ‘혼돈’
1. ‘혼돈’의 죽음

저자소개

지은이 장주(莊周)

장자(莊子: 기원전369?~기원전286?)의 본명은 주(周)이며, 고대 중국 전국시대 송(宋)나라의 몽(蒙: 현재의 안휘성 몽성 또는 하남성 상구 지역으로 추정) 지역 출신이다.
일생동안 그의 유일한 직업은 옻나무 밭 경비원이었고, 그 일을 그만둔 후에는 재상으로 등용하겠다는 임금의 초빙도 거부하며, 재야에서 후학들과 연구에 전념하였다.
제자백가 중에서 노자(老子)와 더불어 도가(道家)를 대표하는 철학자다.

목차소개

▣ 목차





1부 내편(內篇)


1편. 소요유(逍遙遊)

1장. 물고기와 거대한 새 13
1. ‘곤’과 ‘붕’
2. ‘붕’에 대한 ‘제해’의 발언
3. ‘곤’을 비웃는 작은 새들
4. ‘탕임금’과 ‘극’
5. ‘송영자’에 대한 평가
6. 바람을 조종하는 ‘열자’

2장. ‘요임금’과 ‘허유’ 17
1.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는 ‘요임금’
2. 천하를 물려받지 않겠다는 ‘허유’

3장. ‘막고야’ 산의 신인 18
1. ‘광접여’를 불신하는 ‘견오’
2. ‘견오’를 나무라는 ‘연숙’
3. 모자를 팔러 간 ‘장보’
4. 신인들을 만난 후 천하를 잊은 ‘요임금’

4장. ‘혜자’와 ‘장자’ 20
1. 거대한 박과 손 안 트는 약
2. 거대한 나무와 살쾡이


2편. 제물론(齊物論)

1장. ‘남곽자기’와 ‘안성자유’
1. 인뢰와 지뢰와 천뢰
2. 큰 지혜와 작은 지혜
3. 죽음에 가까이 가버린 마음
4. 온갖 감정이라는 것
5. 참된 주재자
6. 나는 무엇인가
7. 결국은 죽음에 이르게 되는 인생
8. 성심
9. 인간의 언어
10. 상대성과 동시성
11. 손가락과 말
12. 길과 이름
13. 도에 가까운 경지
14. 원숭이와 도토리
15. ‘소문’과 ‘사광’과 ‘혜시’
16. 있음과 없음
17. 하나와 둘과 셋

2장. 도에 관하여
1. 말하지 않는 언어와 도가 아닌 도
2. 열 개의 태양

3장. ‘설결’과 ‘왕예’
1. 참된 거처와 참된 맛과 참된 아름다움
2. 이로움과 해로움

4장. ‘구작자’과 ‘장오자’
1. ‘공자’의 제자 ‘구작자’의 물음
2. ‘장오자’가 들려주는 ‘여희’의 이야기
2. 꿈속의 꿈이라는 수수께끼
3. 논쟁에서의 승리와 패배
4. 천예의 옳음과 그름

5장. 그림자와 호접몽
1. 곁 그림자와 그림자
2. 나비의 꿈과 만물의 변화


3편. 양생주(養生主)

1장. 생명과 지식
1. 중도의 경지

2장. 양생의 도
1. ‘포정’의 칼놀림에 대한 ‘문혜군’의 경탄
2. ‘포정’이 들려주는 칼놀림의 미학

3장. ‘공문헌’과 ‘우사’
1. 외발이 ‘우사’
2. 연못가의 꿩

4장. ‘노담’의 죽음
1. ‘노자’의 장례식과 ‘진일’의 조문


4편. 인간세(人間世)

1장. ‘안회’와 ‘중니’
1. 위나라로 가려고 하는 ‘안회’
2. ‘안회’를 걱정하는 ‘중니’
3. ‘중니’를 설득하는 ‘안회’
4. 심재를 권하는 ‘중니’
5. ‘공자’가 논변하는 만물 교화론

2장. ‘섭공자고’와 ‘중니’
1. 사신으로 가는 ‘섭공자고’가 ‘중니’에게 묻다
2. 천명과 의리의 부득이함을 논변하는 ‘중니’
3. ‘중니’가 논변하는 떳떳한 말과 넘치는 말
4. ‘중니’가 논변하는 매사의 시작과 끝
5. 언어와 행동에 대해서 논변하는 ‘중니’

3장. ‘안합’과 ‘거백옥’
1. ‘거백옥’이 말해주는 타인을 대하는 태도
2. 사마귀와 호랑이와 말에 관한 이야기

4장. 목수 ‘장석’의 이야기
1. ‘장석’과 상수리나무
2. 꿈에 나타난 상수리나무

5장. ‘남백자기’의 이야기
1. ‘남백자기’와 커다란 나무

6장. ‘형씨’ 땅의 나무들
1. 쓸모 있는 탓에 천수를 누리지 못 하는 나무들

7장. ‘지리소’의 이야기
1. 괴물 같은 외모의 ‘지리소’

8장. ‘공자’와 미치광이 ‘접여’
1. ‘접여’의 노래


5편. 덕충부(德充符)

1장. ‘왕태’와 ‘중니’
1. 절름발이 ‘왕태’
2. ‘왕태’의 경지를 의심하는 ‘상계’

2장. ‘자산’과 ‘신도가’
1. 절름발이 ‘신도가’

3장. ‘숙산무지’와 ‘중니’
1. 절름발이 ‘숙산무지’
2. ‘공구’에 대해서 ‘노담’에게 이야기하는 ‘숙산무지’

4장. ‘애공’과 ‘공자’
1. 추한 용모를 지닌 ‘애태타’
2. 덕이 바깥으로 드러나지 않는 ‘애태타’
3. ‘중니’가 이야기하는 완전한 재능
4. 덕으로써 벗이 된 ‘애공’과 ‘공구’

5장. 절름발이에 꼽추에 언청이인 ‘인지기리무신’
1. 잊어버려야 할 것과 잊지 말아야 할 것
2. 자연이 길러주는 네 가지 것들

6장. ‘혜자’와 ‘장자’
1. 인간의 감정에 대한 두 사람의 대화


6편. 대종사(大宗師)

1장. 천지자연의 도에 관한 이론
1. 천지자연의 이치와 인간의 지식
2. 옛날의 진인에 대한 설명
3. 진인으로서의 성인
4. 진인의 행동방식
5. 부득이한 삶과 죽음을 대하는 진인의 태도
6. 만물의 거대한 진실
7. 만물제동을 실천하는 진인

2장. ‘남백자규’와 ‘여우’
1. ‘여우’가 들려주는 ‘복량의’의 체도 과정
2. 도가 전해진 계보

3장. ‘자사’와 ‘자여’와 ‘자리’와 ‘자래’
1. 괴물처럼 변하는 병에 거린 ‘자여’
2. ‘자래’가 이야기해주는 천지자연의 변화

4장. ‘자상호’와 ‘맹자반’과 ‘자금장’
1. ‘자상호’의 장례식에 조문하러 온 ‘자공’
2. 예법의 바깥에서 노니는 자와 예법의 안에 있는 자
3. ‘공자’가 의지하는 세계
4. 기인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공자’

5장. ‘안회’와 ‘중니’
1. ‘맹손재’의 명성을 의심하는 ‘안회’
2. 천지자연의 변화에 대해서 논변하는 ‘중니’

6장. ‘의이자’와 ‘허유’
1. ‘요임금’에게 처벌받은 ‘의이자’
2. ‘허유’가 들려주는 도의 세계

7장. ‘안회’와 ‘중니’
1. ‘중니’에게 묻는 ‘안회’
2. 좌망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안회’

8장. ‘자여’와 ‘자상’
1. ‘자상’의 운명론


7편. 응제왕(應帝王)

1장. ‘설결’과 ‘왕예’
1. 인간의 경지와 자연의 경지

2장. ‘견오’와 ‘광접여’
1. 성인의 정치와 미물의 지혜

3장. ‘천근’과 ‘무명인’
1. ‘무명인’이 들려주는 천하를 다스리는 방법

4장. ‘양자거’와 ‘노담’
1. ‘노담’이 들려주는 ‘명왕’의 정치

5장. ‘계함’과 ‘열자’와 ‘호자’
1. 용한 무당 ‘계함’
2. ‘호자’의 관상을 보다가 도망친 ‘계함’
3. ‘열자’의 변화

6장. 마음을 텅 비우는 일
1. 지극한 사람의 거울과 같은 마음

7장. ‘숙’과 ‘홀’과 ‘혼돈’
1. ‘혼돈’의 죽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