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완의 근대문학 2-운동,제도,식민성

최말순 편 | 소명출판 | 2018년 06월 20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30,000원

전자책 정가 18,000원

판매가 18,000원

도서소개

닮은 20세기를 보낸 타이완의 생소한 타이완학
20세기의 중반을 지나며, 타이완과 우리는 많은 공통점을 지니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굳건히 반공 이데올로기를 견지하며 두 나라는 아시아에서 반공국가의 쌍벽을 이루고 있었고, 아시아의 네 마리 용으로 불리며, 기적이라 불리는 경제성장을 이룩했다. 그만큼 두 나라의 교류는 빠르고 긴밀하게 이루어졌다. 1948년 8월 한국은 타이완과 수교를 맺고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타이완은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군 파견을 승인하였다. 그 뒤에도 1952년 항공협정, 1961년 무역협정을 체결하였으며, 1965년 문화협정을 체결함으로 그 관계를 긴밀히 하였다.
그러나 1971년 중국이 유엔에 가입하자 타이완은 탈퇴하였고, 그 뒤부터 일본과 미국이 중국과 수교하면서 타이완은 각 나라들과 수교를 단절하며 국제적 고립을 맞기도 했다. 아시아에서는 한국만이 유일하게 타이완과 수교를 유지해 왔는데, 1992년 한국이 중국과 국교를 맺으면서 타이완과의 수교는 단절되고 말았다. 그러나 그동안 경제적․국제정치적 공통점을 바탕으로, 호혜평등의 원칙하에 새로운 관계가 시작되었다. 서울과 타이페이에 상호 대표부를 설치하여, 영사 업무를 비롯한 경제․홍보․문화․학술분야의 협력관계를 회복하였다. 비록 형식적인 수교는 단절되었지만, 두 나라의 비공식 상호 대표부를 설치함으로써 실질적인 관계는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타이완의 근대문학-운동․제도․식민성(소명출판, 2013)은 타이완 교육부의 지원을 받아 진행한 ‘타이완 문학․역사․예술 국제교류계획’의 성과물이다. 2007년부터 5년에 걸쳐 진행된 이 계획은 2000년대 초부터 타이완의 각 대학에서 시작된 이른바 ‘타이완학’의 성과를 대외에 소개하고 학술적 대화와 교류의 분위기를 마련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타이완문학이 생소한 한국에서 이 책은 비슷한 역사(식민의 경험, 반공 이데올로기, 고도의 경제성장 등)를 가진 한국에게 학술적 교류와 영감을 불어넣기 위한 준비이고,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기 타이완문학의 다각적 접근
‘타이완학’은 1945년 이후 오랜 기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진행된 타이완인의 자아 찾기 과정의 일환으로 형성되었다. 사회민주화에 대한 타이완인들의 열망은 38년간 지속된 계엄통치를 종식시켰다. 그 와중에서 타이완인의 정체성을 내세운 정당이 집권하게 되었고, ‘타이완학’은 비로소 기존의 타이완 학술과 교육의 제도권 안으로 진입할 수 있었다. 타이완문학에 대한 연구도 이러한 흐름 속에서 본격화되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식민지시기 문학 자료와 작품이 발굴되기 시작하였고, 1970~1980년대에는 타이완 문학사의 초보적인 구도가 세워졌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는 ‘중국문학’과는 다른 ‘본토문학’ 내지 ‘타이완문학’의 개념 정립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타이완문학의 연구는 ‘타이완성’의 문제, 예컨대 중국과 구별되는 타이완의 특수한 경험과 지역성을 규명하는 것에 초점을 두게 되었다. 타이완은 경제성장과 민주화 성취를 바탕으로 냉전체제에서 벗어나 다족군사회(多族群社會)에 기초한 독립적인 주권국가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학술, 교육, 문화 등 각 분야에서 ‘타이완적인 것’에 대한 해명이 점점 더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의 문학이 연구자들의 각별한 주목을 받은 것은 이 때문이었다. 1920년대에 들어와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한 타이완 근대문학은 근대적 문학어의 확립, 계몽의 문학적 방식, 문학과 대중미디어의 관계, 전통문학과 근대문학의 충돌과 연대, 식민지배에 대한 반발과 비판, 자본주의의 수용과 인간소외 문제, 사회변혁의 문학적 형상화, 황민화 수용여부를 둘러싼 내면 갈등과 같은 다양한 쟁점들을 생산했다. 이 책에 수록된 28편의 글은 그러한 식민지기 타이완문학의 다양한 면모를 드러낸다.
먼저 ‘타이완문학사’의 추이를 개괄한 천팡밍의 글을 포함해 근대지식의 관점에서 본 타이완의 풍속문제, 전통문인들의 서구문명과 근대문학에 대한 시각, 식민성과 근대성 문제에 대한 1920년대 작가들의 이해방식, 황민화에 대한 이질적 태도를 다룬 소설 등을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타이완문학 전체를 일별하였다. 그리고 좌익문학운동의 형성과정과 변화 맥락, 작가와 작품으로 본 좌익문학의 계보, 소설 속의 좌익청년 형상, 타이완 좌익문학이론과 비평 등 좌익문학운동을 집중 조명하였다.
또한 식민지기 타이완문학의 주요쟁점이던 전통과 근대, 문학어의 선택, 황민화 문제를 둘러싸고 전개된 신구문학논쟁, 타이완화문논쟁, 현실주의논쟁을 분석하여, 신문학의 성과와 전통(문학)에 대한 평가, 언어 선택으로 본 타이완문학의 특수한 국면, 창작방법의 갈등과 대립으로 드러난 제국정치와 식민지문단의 관계 등을 조감하고자 했다. 뒤이어 근대문학 형성의 터전이던 타이완민보 계열 신문의 입장변화와 1920~1930년대 주요 소설을 대상으로 식민성의 의미를 해석한 글들도 모아, 타이완의 근대문학을 보는 시각을 넓혔다.
마지막으로 감각적 세계와 퇴폐의식, 그리고 30년대 모더니즘 시의 기원과 내용을 논의하여 현실비판의 경향과는 다른 차원에서 타이완인의 내면세계에 대한 탐구를 보여주고자 했으며, 제국주의 전쟁 이데올로기인 황민담론으로 인한 타이완인들의 정체성 혼란과 심리적 갈등을 드러내고자 했다.

한국과의 식민지문학 비교 연구를 기대하며
이 책은 타이완학을 한국에 소개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문화․학술의 교류라는 측면에서 얼마나 중요하고 의미 있는 일인가. 한국의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타이완문학의 역사성을 이해하게 되리라라는 희망이 이 책 안에 가득하다. 특히 타이완문학 연구가 한국에 소개됨으로써 한국 근대문학 연구와의 소통 가능성의 길을 열었다는 점은 한국과 타이완 양국의 학자들이 주목해야할 점이다.
무엇을 접하고 궁금해 하며 비교하고 연구하며 알아간다는 것은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정석의 길이다. 타이완의 근대문학은 타이완학을 이해하는, 바로 그 일련의 과정들의 시작이 될 것이다. 이 책의 출판을 계기로 보다 심도 있는 식민지문학 비교연구가 비슷한 역사를 공유한 타이완과 한국의 학계 안에서 함께 일어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자소개

천팡밍陳芳明, Chen, Fang-Ming 타이완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교수
장룽즈張隆志, Chang, Lung-Chih 타이완 중앙연구원中央研究院 타이완역사연구소 부연구원
황메이어黃美娥, Huang, Mei-E 타이완 국립타이완대학國立台灣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교수
팡샤오첸方孝謙, Fong, Shiaw-Chian 타이완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신문학과 교수
최말순崔末順, Choi, Mal-Soon 타이완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조교수
스수施淑, Shih, Shu-Nu 타이완 담강대학淡江大學 중문과 명예교수
린치양林淇瀁(向陽), Lin, Sheng Xiang 타이완 국립타이베이교육대학國立台北教育大學 타이완문화연구소 교수
예렌펑葉連鵬, Yeh, Lien-Peng 타이완 국립창화사범대학國立彰化師範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조교수
류수친柳書琴, Liu, Shu-Chin 타이완 국립청화대학國立清華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교수
천젠중陳建忠, Chen, Chien-Chung 타이완 국립청화대학國立清華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부교수
주후이주朱惠足, Chu, Huei-Chu 타이완 국립중흥대학國立中興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부교수
천밍타이陳明台, Chen, Ming-Tai 타이완 국립중정대학國立中正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 부교수
류지후이劉紀蕙, Joyce C.H. Liu 타이완 국립교통대학國立交通大學 사회문화연구소 교수
천치우陳祈伍, Chen, Chi-Wu 타이완 남영기술학원南榮技術學院 교양교육중심 강사
징즈신荊子馨, Leo Ching 미국 듀크대학Duke University 아시아 아프리카 어문학과 부교수
쉬리팡許麗芳, Hsu, Li-Fang 타이완 국립창화사범대학國立彰化師範大學 국문학과 교수
왕쉐링王學玲, Wang, Hsueh-Ling 타이완 국립기남대학暨南大學 중문과 교수
장야후이張雅惠, Chang, Ya-Hui 타이완 국립사범대학國立師範大學 타이완문화와 언어문학연구소 박사

역자소개

장동천張東天, Zang, Dong-Chion 고려대학교 중문과 교수
고점복高點福, Ko, Jum-Bok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후 연구원
김종석金鍾碩, Kim, Jong-Seok 고려대학교 BK21 중일언어문화교육연구단 연구교수
이현복李賢馥, Lee, Hyun-Bok 고려대학교 강사
성옥례成玉禮, Sung, Ok-Rye 한림대학교 강사
김희경金熙敬, Kim, Hee-Kyoung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진혜정秦惠貞, Jin, Hye-Joung 고려대학교 중일어문학과 박사과정 수료

목차소개

책머리에

1부 문학어와 문학논쟁

근대를 맞이하여―황메이어黃美娥
—타이완 신구문학의 계승과 전환(1895~1924)
1. 들어가며
2. ‘문명’을 추구하다-새로운 시대, 타이완 전통문인의 사유구조
3. 혁신과 계몽-구문학계 개량의 길
4. ‘신’과 ‘구’의 사이-과도기의 문학 창작
5. 뒤늦게 시작된 타이완의 신문학
6. 나가며

타이완어 문학 전파의 이데올로기 구축―린치양林淇瀁
—일본 통치시기 타이완 백화문운동의 문학 전파 전략
1. 들어가며-식민지의 정체성 혼동
2. 언어․문학의 전파와 이데올로기에 관하여
3. 신화의 재해석-타이완 신문학 담론의 기초
4. 타이완어 문학운동의 이데올로기 구축
5. 나가며-타이완어 문학 전파의 주체성

일제강점기 타이완 신구문학논쟁 다시 읽기―예렌펑葉連鵬
—원인, 과정, 결과를 다시 생각한다
1. 들어가며
2. 논쟁의 원인
3. 논쟁의 과정
4. 논쟁의 결과
5. 나가며

민족상상과 대중노선의 접속―샹양向陽
—1930년대 타이완화문논쟁과 모어문학운동
1. 들어가며-민족․대중․향토
2. 타이완 상상-대지․인민․언어
3. 논쟁의 장-타이완․중국․세계
4. 나가며-민족상상과 대중노선의 접속

개똥현실주의와 황민문학―류수친柳書琴
—1940년대 타이완 문단의 정체성 논쟁
1. 들어가며
2. 1943년의 문학 논쟁-개똥현실주의 논쟁
3. 왕바이위안의 은유-멈추지 않는 도로
4. 가시밭길-장원환의 40년대 고향 글쓰기와 문화 비판
5. 나가며

2부 식민성의 해석

일본 통치시기 타이완 계몽담론의 좌절―린치양林淇瀁
—타이완신민보 계열의 ‘동화주의’ 표명
1. 들어가며-문화계몽의 시작
2. 이론적 근거
3. 타이완신민보 계열의 정치경제적 배경
4. 젊은 지식인과 부르주아의 혼성합창
5. 의식의 착오, ‘조국’과 ‘내지’ 사이에서의 망설임
6. 나가며-계몽담론의 좌절과 실패

식민주의 신화의 해체―천젠중陳建忠
—라이허 문학의 반식민주의 사상
1. 들어가며-라이허 사상의 연구에 관하여
2. 강제된 근대성-일본 식민주의 담론 및 그 실천
3. 종족주의에 대한 비판
4. 국가 기구의 폭력-법률과 경찰 폭력 비판
5. 누구의 국민성인가-식민교육 비판
6. 나가며-해체 이후

30년대 타이완 작가의 근대성 추구와 저항―천팡밍陳芳明
1. 들어가며
2. 근대화의 가면, 타이완 박람회(1935)
3. 뒤늦은 근대성과 국족 정체성
4. 불완전한 근대성과 저항문화
5. 근대성, 미완의 해석

신흥의 비애―천젠중陳建忠
—차이츄통 소설 속의 반식민 근대성 사상
1. 들어가며-보정작가 차이츄통에 관하여
2. 비천한 백성의 희비극-농민 형상과 운명
3. 식민주의의 가면-생활 개선 운동과 경찰 문제
4. 식민응시에 대한 저항-‘근대성’과 ‘식민성’의 갈등에서 벗어나다

제국주의, 내셔널리즘, ‘근대’의 이식과 번역―주후이주朱惠足
—니시카와 미쓰루의 타이완 종단 철도와 주뎬런의 「가을편지」
1. 들어가며
2. 타이완 종단 철도-일본군의 타이완 정벌전쟁
3. 주뎬런 「가을편지」-‘통치 40주년 기념 타이완 박람회’
4. 혼합되는 제국, 서로 다른 민족
5. 간극과 혼종의 타이완 근대성

초출일람
핵심어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