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과 과학 1-자연,문명,전쟁

황종연 편 | 소명출판 | 2018년 06월 20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38,000원

전자책 정가 22,800원

판매가 22,800원

도서소개

차가운 철학이 단지 건드리기만 해도
모든 매력이 사라지지 않는가?
하늘에 일찍이 장려한 무지개가 있어
우리는 그녀의 씨줄과 피륙을 알았건만
그녀는 허접한 물건의 지루한 목록 속에 들어갔네.
철학은 천사의 날개를 잘라내리라
법(法)과 선(線)으로 모든 신비를 정복하리라
유령 있던 공기와 정령 있던 땅속을 비워내리라
예전에 마음 연약한 라미아를 녹여 그림자로 만들 듯이
무지개의 실을 풀어버리리라.

- 로버트 버튼의 우울의 해부




무지개의 인문학, 근대 한국에 있어서 문학과 과학과의 관계……


무지개는 신화상으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받은 자연 현상 가운데 하나다. 그리스와 인도, 유대교-기독교 문화 등에서 신화적 요소로 자리 잡았던 무지개는 근대 과학의 발전과 함께 그 신화적 의미를 박탈당했다. 추상적인 의미부여의 대상이 아닌, 구체적인 관찰과 설명의 대상으로 유용된 것이다. 백색광이 프리즘을 통과하는 그 과정은 무지개를 이해하는 방식으로부터 시와 과학의 간극을 다시 이어놓기 어렵게 벌려 놓았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 학문이 뉴턴의 무지개와 키츠의 무지개를 별개의 사물인 것처럼 만드는 관행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문과 학문과 이과 학문 사이에 다리 놓기 작업이 활발한 오늘날, 인문학이 무지개를 다룬다면 무지개에 관한 과학적 설명과 시적 상상을 어떻게 연결시킬까, 그리고 그 각각의 세계 이해 방식을 어떻게 통합시킬까를 고민할 것이다. 문학과 과학 1(소명출판, 2013) 은 그러한 고민을 바탕으로 탄생했다.

이 책은 먼저, 이광수의 텍스트를 자료 삼아 한국 근대문학사의 중요한 순간에서 과학 이론과 문학 실천이 접속된 양상을 고찰한다. 그다음으로는 과학, 그중에서도 마르크스주의가 문학과 학문의 영역에서 어떻게 작용했었는지를 문학비평과 역사연구의 예를 활용하여 해명하고 있다. 그리고 문학 텍스트의 범위를 넘어서는 넓은 영역의 역사자료 분석을 통해 한국인의 과학기술 경험의 사례들을 분석한다. 여기에서 과학기술 경험은 피압박민족의 콤플렉스, 일제 전시체제하의 여성동원, 원폭(原爆)에 대한 남북한의 반응 등과 같은 한국인(및 북한인)의 집합적 경험들과 불가분의 관계로 얽혀 문학을 과학과 문화의 틀 안에서 사유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마지막 부분에서는 한국에서 과학 담론이 탄생한 과정에 대한 이해를 진전시키며, 한국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새롭게 하는 맥락으로서 과학에 대한 적극적인 참조와 깊은 연구를 시사한다.
…… 과학에 대해 의미 있게 말하는 또 하나의 방식, 문학텍스트


문학과 과학 1은 서양과학이 한국 근대문학을 성립시킨 지적 토대의 중요한 일부였으며, 과학적 인식이나 방법의 모색이 식민지시대 문학의 새로운 노선 혹은 근대주의적인 노선을 형성했음을 말한다. 그러면서 과학의 제반 분과에서 유래한 각종 지식이 인간 표상, 서사 기법, 장르 형성 등과 같은 문학의 주요 국면에 영향을 미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나아가 근대 한국에서 과학이 수용되고 경험되고 탐구된 역사는 근대문학의 작품, 형식, 장르 역사에 관한 보다 많은 발견을 촉진하고, 더 나아가 문학사를 사상사, 학술사, 문화사 등과의 접경을 따라 좀 더 확대된 판도 속에서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한국 근대문학을 성립시키고 전개시킨 충동들―예컨대 합리성-을 과학과의 관련하에 넓은 판도 속에 놓음으로써, 그러한 것들을 더욱 명확하게 기술하고, 더욱더 풍부하게 해석해 내는 것이다.

이 책은 과학을 지적 원천으로 삼고 있거나 과학기술 경험을 재현한 문학 텍스트와 관련하여 과학이 그 고유의 영역을 넘어 작용하는 양상을 예시한다. 이것은 의미와 가치의 생산 및 재생산을 목표로 하는 실천과 제도의 영역, 대범하게 말해서 문화의 영역에 과학을 정치(定置)시켜 말하는 방식이다. 과학에 대해 의미 있게 말하는 또 하나의 방식인 것이다. 과학사는 고학의 천재들에 의한 추리와 발견의 연대기로부터 벗어난 지 이미 오래다. 과학을 그 외부-국가 권력, 산업 자본, 전쟁 기술, 종교적 신념 등과 연관시켜 이해하는 것은 과학 이론들의 흥망을 증명과 논박의 모험에 한정된 범위 내에서 이야기하는 것 못지않게 일반화된 과학사의 방법이다. 한국 근대과학사연구의 경우에도 사회사의 방법이 활용됨으로써 이룩된 진전은 적지 않다.

뉴턴의 무지개가 영국의 하늘에만 뜨는 것이 아니다. 이제는 ‘뉴턴의 무지개’ 혹은 ‘키츠의 무지개’라는 프레임에서 벗어나 그 사이의 간극에 초점을 맞춰야 할 때다. 근대 한국에서의 문학과 과학의 관계는 이 책의 중심적인 관심거리다. 그런 의미에서 문학과 과학 1이 문학 속의 과학에 중점을 두고 있음에도, 그것이 한국과학의 문화사에 기여하는 바는 충분하다.

저자소개

황종연(黃鍾淵, Hwang Jong-Yon) 동국대학교 교수
이수형(李守炯, Yi Soo-Hyung) 서울대학교 연구교수
서희원(徐熹源, Suh Hee-Won) 동국대학교 문화학술원 연구원
이철호(李喆昊, Lee Chul-Ho)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송민호(宋敏昊, Song Min-Ho) 서울대학교 강사
차승기(車承棋, Cha Seung-Ki)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HK교수
정종현(鄭鍾賢, Jeong Jong-Hyun)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HK연구교수
신지영(申知瑛, Shin Ji-Young) 쓰다주쿠대학교·무사시대학교 강사
송명진(宋明珍, Song Myung-Jin) 서강대학교 대우교수
한민주(韓敏珠, Han Min-Ju) 홍익대학교 강사
권보드래(權보드래, Kwon Boduerae) 고려대학교 교수
김성근(金成根, Kim Sung-Keen) 전남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구인모(具仁謨, Ku In-Mo)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HK교수
이면우(李勉雨, Lee Myon-U)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조형래(趙亨來, Cho Hyung-Rae) 명지대학교 강사

목차소개

이 책을 펴내며:무지개의 인문학

제1부 문학과 과학의 접점

제1장_ 황종연:신 없는 자연
초기 이광수 문학에서의 과학
제2장_ 이수형:1910년대 이광수 문학과 감정의 현상학
제3장_ 서희원:‘조선의 미래’ 혹은 문명과 과학의 서사
이광수 초기 논설과 소설을 중심으로
제4장_ 이철호:한국 근대소설과 ‘의식의 흐름’
베르그송, 제임스, 아인슈타인을 중심으로

제2부 과학이라는 이상, 보편이라는 우상

제5장_ 송민호:카프 초기 문예론의 전개와 과학적 이상주의의 영향
회월 박영희의 사상적 전회 과정과 그 의미
제6장_ 차승기:사실, 방법, 질서
근대문학에서 과학적 인식의 전회
제7장_ 정종현:단군, 조선학 그리고 과학
식민지 지식인의 보편을 향한 열망의 기호들

제3부 과학적 상상력과 문명의 스캔들

제8장_ 신지영:외부에서 온 과학, 내부에서 솟아난 ‘소문과 반응’들
‘적극적 수동성’과 ‘욕망을 동반한 거부’로 형성된 ‘과학적인 것’
제9장_ 송명진:1920년대 과학소설 수용 양상 연구
영주생(影洲生)의 80만 년 후의 사회를 중심으로
제10장_ 한민주:과학전의 시대, 총후여성과 인조의 상상력
제11장_ 권보드래:과학의 영도(零度), 원자탄과 전쟁
원형의 전설과 시대의 탄생을 중심으로

제4부 근대 과학의 원초적 장면

제12장_ 김성근:‘科學’이라는 일본어 어휘의 조선 전래
제13장_ 이면우:초기 일본 유학생들의 학회활동을 통한 과학문화의 기여
1895~1910
제14장_ 조형래:학회지의 사이언스
사이언스를 중심으로 한 개화기 근대 학문체계의 정초에 관하여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