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노동 찾기

당신이 매일 만나는 노동자들 이야기

송기역 (기획) , 최규화, 정윤영, 신정임 | 오월의봄 | 2015년 12월 2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3,000원

전자책 정가 9,100원

판매가 9,100원

도서소개

『숨은 노동 찾기』은 ‘당신이 매일 만나는 노동자들’에 관한 이야기다. 학교급식 조리원, 알바 노동자, 장례지도사, 콜센터 상담원, 대리운전 노동자, 요양보호사, 톨게이트 수납원, 청소 노동자, 보조출연자, 대형마트 노동자가 이 책의 주인공들이다. 저자들은 몇 차례 토론을 거쳐 일상에서 시민들이 접하는 우리 사회 열 곳의 노동 현장을 선정했다.

저자소개

최규화
1982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월간 《작은책》과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에서 일했다. 지금은 인터파크도서 웹진 [북DB]에서 책을 읽고 글을 쓴다. 함께 쓴 책으로 《그대, 강정》과 《난지도 파소도블레》가 있다. 위성처럼 떠다니는 사람들을 쫓아다니며 이야기를 모으는 것이 꿈이다.

정윤영
낮엔 요가, 밤엔 과외로 밥벌이하며 르포를 쓴다. 팟캐스트 방송 [붉고도 은밀한 라디오] 대본을 썼고, 《월간 좌파》에 노동르포를 연재하고 있다. 세계 평화를 꿈꾸며 일터와 삶터를 기록한다.

신정임
노동전문 잡지 기자로 일하다가 잡지 폐간과 함께 비자발적 프리랜서가 됐다. 그 뒤로는 모든 삶엔 이야기가 있다는 믿음으로 삶의 이야기를 찾아 기록하는, ‘꿈꾸는 글장이’로 살고 있다. 제21회 전태일문학상 기록문 부분을 수상했고, 전태일문학상수상집 《사람의 얼굴》, 《나는 시민기자다》를 함께 썼다. 오늘도 당신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 거리를 누비고 있다.

송기역
전북 고창에서 태어난 것을 인생의 으뜸 행운이라고 생각하는 작가이고, 시인이다. 출간한 책으로 4대강 르포르타주 《흐르는 강물처럼: 우리 곁을 떠난 강, 마을, 사람들의 이야기》, 《사랑 때문이다: 요셉 조성만 평전》, 《허세욱 평전: 별이 된 택시운전사》, 《유월의 아버지: 박종철이 남긴 질문, 박정기가 답한 인생》, 《옛길에서 사람, 그리고 보부상을 만나다》, 《달려라 할머니》, 《하이힐을 꺾다》 등이 있다. 그리고 《이따위 불평등》, 《그대, 강정》 등을 함께 썼다.

목차소개

들어가는 글

첫 번째 이야기
“노조가 있응게, 힘이 생겼어요”
- 학교급식 조리원 노동자 김옥자 씨

두 번째 이야기
그 자체로 존중받아야 할 ‘알바 노동’
- 알바 노동자 구교현·조윤·윤가현 씨

세 번째 이야기
“용서해준다? 저희가 무슨 죄 지었습니까?”
- 장례지도사 유준한 씨

네 번째 이야기
투쟁 700일, 매일 1인시위를 하는 사람
- 콜센터 상담원 봉혜영 씨

다섯 번째 이야기
그들의 조용한 꿈
- 대리운전 노동자 최장윤 씨

여섯 번째 이야기
우리의 노동은 봉사가 아니다
- 청주시노인전문병원 요양보호사 권옥자 씨

일곱 번째 이야기
고속도로 위 마네킹처럼 앉아 있는 그녀들
- 서울고속도로 톨게이트 수납원 한은미 씨

여덟 번째 이야기
그림자 청소부
- 고려정업 청소 노동자 박봉순 씨

아홉 번째 이야기
몸으로 익혀온 삶의 철학
- 보조출연자 문계순 씨

열 번째 이야기
우리의 목소리를 되찾다
- 대형마트 노동자 김진숙 씨

출판사 서평

우리 사회 최약자들의 불안정노동 보고서

우리가 매일 만나는 노동자들. 그들은 누구일까? 그들은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을까? 그들은 어떤 개인사를 간직한 채 지금 그곳에서 땀 흘리고 있을까? 성실하고 착하게 노동을 해왔는데 왜 제대로 된 노동의 대가를 받지 못하는 것일까? 왜 노조를 만들었다는 이유만으로 해고되어야 할까? 왜 비정규직이라고 차별을 받아야 할까? 일터를 지키기 위해 왜 갖은 모욕감과 수치심을 참아야 하는 걸까? 이 책은 우리가 오히려 다들 알고 있다고 ‘착각’하는 이들의 삶, 우리가 놓치고 사는 노동자들의 이야기이자 우리 사회 최약자들의 불안정노동 보고서이기도 하다.
저자들은 한 노동자의 개인사를 통해 노동의 풍경을 묘사하고 재구성했다. 되도록 자신의 목소리를 절제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왜곡 없이 전하려 노력했다. 르포작가의 목소리는 ‘후기’를 통해 직접 들을 수 있다. 기록자로서 그들의 고민과 사유, 인터뷰의 행간을 접할 수 있는 후기는 또 하나의 흥미롭고 소중한 읽을거리이다.
우리가 매일 만나는 노동자들의 이야기를 들어야 하는 이유는 본문의 영화 [카트]의 대사를 인용한 구절에서 만날 수 있다. 해고를 당한 마트 노동자 염정아가 시민들에게 외친 목소리다. “우리는 투명인간이 아닙니다.”
이 책이 타자에 대한 상상력을 회복하고 우리 곁의 노동,노동자와 연대하는 계기가 되길 바라는 심정으로 작가들은 거리를 누비며 사람을 찾고 그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제대로 안다는 것은 연대의 출발이기 때문이다.

외롭게 싸우는 사람들의 이야기

이 책은 외롭게 싸우는 이들의 이야기이고 우리 사회 불안정노동의 보고서이기도 하다. 최근 박근혜 대통령은 국가가 비상사태에 빠졌다며 자칭 ‘노동개혁법안’을 통과시키려고 하고 있다. 그 법이 통과되면 정말 이 책에 등장하는 노동자들의 삶이 나아지는 걸까? 파견제가 합법화되고, 비정규직이 더 늘어나고, 해고가 쉬워지는데 사회의 약자들인 노동자들의 삶이 나아지는 걸까? 이 책에 등장하는 노동자들은 그 누구도 보호해주지 않아 스스로 싸우고 있다. 심지어 봉혜영 씨는 보건복지부 산하기관인 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에서 쫓겨나 700일이 넘게 홀로 1인시위를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의 노동자들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비정규직이라는 게 알고 보니까 앞이 안 보여요. 평범한 우리 아들은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비정규직 테두리 안에서 평생을 살아야 돼요. 집 한 칸도 살 수 없는 최악의 삶을…… 내가 사는 이 비정규직의 삶을 그대로 물려줘야 되는 거예요. 내가 살아본 비정규직 세월이, 이 대우가 만만치 않은데 나중에 애들한테 무슨 희망을 줘야 되나. 지금 싸워야 되지 않을까. 내가 유산이라고 물려줄 수 있는 게 그것밖에 없지 않을까 싶어요.” 비정규직이 늘어나고 해고가 더 쉬워지는 박근혜 정부의 노동개혁안은 ‘개혁’이 아니라 ‘개악’이 아닐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