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요재지이 (聊齋志異)는 '요재가 기록한 기이한 이야기'라는 뜻의 중국 청 시대의 괴기소설 모음집이다. 이 책은 저자 포송령이 민간에 전래되는 설화와 괴기담, 경험담 등을 모아서 만든 소설집으로, 귀신과 여우, 도깨비, 식인귀, 환생, 신선 등 다양한 판타지적 요소가 등장하는 단편 소설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느 것부터 골라 읽어도 서로 독립적인 이야기인 단편들은, 미녀 귀신에 빠져서 불륜을 저지르는 선비, 게으름에 젖어 집안을 망하게 했으나 여우의 도움으로 다시 일어나는 귀족, 서로간의 우애가 돈독한 뱀들 등 환상적이고 신비한 소재를 다루고 있다. 다른 중국 괴기담들과 달리, 요재지이는 저자만의 독특한 시각으로 이야기를 해설하고, 줄거리가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고, 나름대로의 전거 등을 밝히고 있다. 이야기의 다양함과 신비함으로 인해서 영화나 드라마의 주요 소재로 사용되었고, 이미 20세기 초에 다양한 서구 언어로 번역되어 읽히기도 했다.
* 1권에 40여편의 짧은 이야기들을 담은, 위즈덤커넥트판 "요재지이"는 2018년 12월을 시작으로, 매달 1권씩 간행될 예정이다.
<미리 보기>
내 자형의 조부는 함자는 송(宋)자 도(燾)자이시며, 생원이셨다.
(과거 시험은 동시(童試), 향시(鄕試), 회시(會試), 전시(殿試)로 나뉘며 각각을 통과하면 생원, 거인, 공사, 진사로 불리었다. - 역자 주. 이하 '역자 주' 생략)
하루는 병으로 누워있는데, 관청의 심부름꾼이 서찰을 지닌 채 머리에 흰 점이 있는 말을 끌고 오더니 이렇게 말했다.
“시험을 치러 가십시오.”
송 공이 대답하였다.
“시험관도 아직 안 오셨는데, 어찌 이리 급하게 시험을 치라 하시오?”
심부름꾼은 말없이 재촉할 뿐이었다. 송 공은 서둘러 말에 올라 따라갔다. 아주 낯선 길을 따라 계속 가다 보니 이윽고 한 성곽에 이르렀는데, 마치 왕의 도읍과 같았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관청에 들어갔는데, 그 내부는 아름답게 장식되어 있었다. 그리고 그 위쪽에는 열 명 정도의 관리가 앉아있었는데, 송 공이 보니 모두 누군지 알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다만 한 명만은 알아볼 수 있었는데, 바로 관우(關羽)이었다.
처마 아래에는 탁자와 의자가 각각 두 개씩 놓여 있었고, 그중 하나에는 이미 한 수재(秀才, 과거 시험 1차 합격자)가 앉아있어서, 송 공은 그 옆자리에 앉았다.
탁자 위에는 각각 종이와 붓 등 글을 쓸 도구가 준비되어 있었는데, 갑자기 시험 주제가 적힌 종이가 날아오는 것이었다. 종이에는 여덟 글자가 적혀있었다.
‘一人二人有心無心(일인이인유심무심 : 한 사람과 두 사람, 마음 있음과 마음 없음)’
송 공은 답안을 다 쓴 후, 전상(殿上)에 앉은 시험관에게 드렸다. 송 공의 답안은 다음과 같았다.
‘속셈을 품은 선행은 선행이라도 상을 주지 말아야 하며, 속셈이 없는 악행은 악행이라도 벌해서는 안 된다’
그러자 전상(殿上)에 앉은 모든 신이 이 답안을 돌려보며 극찬해 마지않았다. 그러고는 송 공을 위로 불러 말하였다.
“하남의 성황신에 자리가 하나 비었으니, 그대가 그 직책을 맡기에 적합하도다.”
송 공이 이를 듣자마자 바로 고개를 숙이고 울며 아뢰었다.
“저처럼 부족한 자에게 그런 영광을 내려주시니 몸 둘 바를 모르겠나이다. 하오나, 제게는 칠순의 노모가 계시는데, 저 말고는 봉양할 사람이 없사오니, 청컨대 노모께서 천수를 다하신 연후에 등용되기를 원하나이다.”
그러자 전상에 앉은 신 중 제왕인 듯한 신이 송 공 어머니의 수명 기록을 살피도록 명하였다. 긴 턱수염을 기른 관리가 책을 받들어서 한번 살펴보더니 말했다.
“아직 9년을 더 살 수 있습니다.”
모두가 주저하는 사이에 관제(關帝 : 전쟁의 신, 관우)가 말했다.
“좋다. 장수재(張秀才 : 장씨 성의 수재)가 대신 그 자리를 맡되, 9년 후에는 교체하는 것으로 하겠다.”
그러고는 송 공에게 일렀다.
“원래는 즉시 부임해야 하나, 그대의 어질고 효성스러운 마음을 참작하여 9년의 유예 기간을 주노라. 그 기간이 다하면 다시 부를 것이니라.”
그 다음으로 그는 장 수재에게 몇 마디 격려의 말을 전하였고, 두 후보는 신들에게 인사를 올린 후 함께 자리를 떴다. 수재는 송 공의 손을 잡더니 자기소개 하기를, ‘장산현에 사는 장 아무개’라고 했다. 그러고는 도읍의 성 밖으로 배웅을 나가더니, 이별할 때 그에게 시 한 점을 주었다. 시를 전부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다음의 구절이 들어있었다.
꽃 있고 술도 있으매 늘상 봄이런가,
초 없고 등 없으나 밤 스스로 밝도다.
송 공은 이미 말에 올라타서 서로 작별 인사를 나누고 떠났는데, 이내 꿈에서 깨어나듯 자리에서 일어났다.
일어나 보니 그는 이미 죽은 지 사흘이었고, 그의 어머니가 관 속에서 신음을 듣고 놀라 관을 열고 송 공이 관 밖으로 나오도록 부축하여 꺼내니 반나절이 지나서야 비로소 말을 할 수 있었다.
그리하여 장산현의 장 아무개에 관해 물어보니 과연 그런 사람이 있었는데, 그날이 바로 그가 죽은 날이었다고 한다.
그로부터 9년 후, 송 공의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장례를 치르고 나자, 그 아들인 송 공은 스스로 정결히 씻고 자기 방에 들어가더니 역시 죽고 말았다.
그때 그의 아내의 처가가 성의 서문 근처에 살았는데, 갑자기 송 공이 가슴에 붉은 비단 장포와 장식을 두르고 수많은 수레와 말을 거느린 채 집 안에 들어서더니 큰절을 한번 올리고는 떠나는 것이었다.
그들은 그가 죽어 영혼이 된 것을 알지 못하여 몹시 당황하였고, 마을 안으로 달려가 소식을 알아보니 그가 이미 죽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송 공은 자신의 모험에 대해 스스로 간략하게 기록으로 남겼으나, 애석하게도 난리가 일어난 후로는 전해지지 않는다. 이 이야기는 전해들은 이야기를 요약하여 옮긴 것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