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발간하면서10
Ⅰ. 서론
1. 문제 제기14
2. 연구의 범위와 방법18
3. 연구 목적23
4. 『마의상법』의 저자 진단28
Ⅱ. 고대 중국의 천인관계론
1. 고대 중국의 천문관42
1) 점성관42
2) 천문관48
2. 고대 중국의 천인관59
1) 천인관59
2) 천도관68
3. 고대의 천인관계론79
1) 천인감응관79
2) 천인합일관88
Ⅲ. 고대의 기론과 『마의상법』의 기론
1. 『회남자』와 『춘추번로』의 기론101
1) 『회남자』의 기101
2) 『춘추번로』의 천인합일106
2. 『황제내경』과 『논형』의 기론110
1) 『황제내경』의 인체우주론110
2) 『논형』의 원기론120
3. 『마의상법』의 기론128
1) 『마의상법』의 형128
2) 『마의상법』의 기131
3) 『마의상법』의 신135
Ⅳ. 『마의상법』에 인용된 고대의 천인관
1. 『주역』과 『마의상법』의 천인론141
1) 『주역』의 천지인 삼재론141
2) 『마의상법』의 삼정론145
2. 고대 중국의 제천의식과 『마의상법』의 제천관155
1) 고대 중국의 제천관155
2) 『마의상법』의 제천관158
3. 고대 중국의 우주관과 『마의상법』 비교162
1) 고대 중국의 분야설162
2) 『마의상법』의 우주관172
Ⅴ. 『마의상법』에 나타난 천인관의 배경
1. 『마의상법』의 음양관203
1) 음양으로서의 일월205
2) 음양으로서의 오악사독215
3) 음양으로서의 천지218
2. 『마의상법』의 오행관221
1) 오관221
2) 오성226
3) 오악229
3. 『마의상법』의 구궁팔괘설234
1) 『하도』, 『낙서』234
2) 고대 명당제도237
3) 명당제도와 구궁팔괘설245
Ⅵ. 『마의상법』의 천인관계와 인성론
1. 『마의상법』의 천인관계를 통한 인성 회복259
1) 고대 중국 천인관의 수용과 비판259
2) 『마의상법』 천인관과 인성 회복260
2. 수기치인의 문제 제기271
1) 수기치인의 문제271
2) 인성 회복의 실천적 자세274
3. 상법의 역할론과 심성론281
1) 심성의 문제281
2) 상법의 역할론287
Ⅶ. 결론
참고문헌299
천문은 인간사와 자연의 이치를 보는 기준이다
인간의 마음을 천문 속에서 읽어내는 것이 바로 관상학이다!
관상학은 천문과 지리, 인사가 서로 교통하는 체계 속에서 인간의 심성을 살펴보는 학문이다. 고대로부터 하늘을 관찰하고, 땅의 형상을 본받아 인간과의 조화를 살피는 일이 중요했으며, 그것이 관상학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특히 저자는 사람의 ‘상(相)’을 보는 행위와 관련해서 ‘중용’을 강조한다. 여기서 ‘중용’은 『주역』의 천지인삼재론에 입각하여 천문과 인간과의 관계를 서술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저자는 미신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것을 지양하고, 학문적 토대 아래 인문학적으로 ‘관상학’을 탐구하기를 권한다.
단순히 길흉화복이나 부귀빈천 등의 미래를 예측하는 기능으로만 ‘관상학’을 한정 짓는 것은 겉핥기식 공부일 뿐이다. 천지만물의 조화로움이 인간의 삶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깊이 있는 독서를 원하는 독자라면, 지금이라도 읽어도 좋다. 당신을 다른 세계로 이끌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