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잔상들

장혜령 | 문학동네 | 2019년 01월 1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4,500원

전자책 정가 10,200원

판매가 10,200원

도서소개

"이로써 그녀는 사랑의 글들을 소유하게 됐다." _김연수(소설가)
―십 년에 걸친 어떤 사랑의 기록

"좋은 에세이를 읽을 때 우리는 모든 능력이 활발하게 깨어 즐거움의 햇볕을 쬐는 느낌이 든다. 또 좋은 에세이는 첫 문장부터 우리를 사로잡아 삶을 더 강렬해진 형태의 무아지경으로 빠뜨린다"라고 말한 건 버지니아 울프다. 그 에세이가 십 년에 걸쳐 쓰인 사랑에 관한 이미지들이라면 어떨까. 손에 잡힐 듯, 그러나 잡았다 생각하는 순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아름다움과 노스탤지어, 아득한 눈부심과 고요함이 연상되지 않는지. 그만큼 보편적이고 또 개별적인 것은 없을 것이다. 특정 관계를 결정짓는 사랑에서부터, 한 권의 책이나 혼자 들어선 영화관에서 느껴지는 안온한 느낌으로서의 사랑, 지하철 안에서 만난 어린아이의 뒷모습에서 돌연히 반짝인 빛 같은 사랑까지, "캄캄한 삶 속에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지도와도 같"은 그것. 장르를 넘나들며 자기만의 문장을 쌓아온 작가 장혜령의 첫 에세이 『사랑의 잔상들』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자소개

어린 시절, 책 그리고 영화 속에서 시간을 보냈다. 이미지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에 들어가 영화 연출을 공부했다. 졸업 후 십 년 간, 발표가 기약되지 않은 글을 썼다. 2011년, 팟캐스트 "네시이십분 라디오"를 만들어 세상 어딘가에 분명히 존재하지만 눈에 띄지 않는, 그러나 가치 있는 책과 작가를 소개해왔다. 그러다가 소설 리뷰 웹진 "소설리스트"에서 소설을 리뷰하고, EBS <지식채널 e>에서 대본을 쓰게 되었다. 작가와 독자를 잇는 낭독회, "개와 고양이의 라디오 워크숍" "지금 이곳에서 시작하는 글쓰기"와 같은 창작워크숍을 지속해왔다. 2017년, 『문학동네』 시 부문 신인상을 받았다. 그렇지만 앞으로도 특정 장르에 속하기보다 자신의 공간을 개척하는 글을 쓰고자 한다.

목차소개

prologue
기꺼이 원했던 건, 손을 내미는 것
갇힌 여인

chapter 1 여행하는 사람

노란색 장미 귀걸이
그의 가방
한 켤레의 신발만을 소유한
자기 자신과 여행하는 사람
끝과 시작

chapter 2 기다리는 사람

안부를 묻는 일
밤의 카페에서 만날 수 있는 것
사랑이라는 두 개의 사건
도플갱어, 두 개의 삶
낯선 것이 우리를 호명할 때

chapter 3 비밀을 가진 사람

봉인된 비밀
연인(들)
돌이킬 수 없는
연인 속의 연인
나의 미치광이

chapter 4 칼을 놓는 사람

빈 침대
나체와 알몸
마지막 사랑의 방
사랑의 윤리
자신을 내맡기려는 열망

chapter 5 이별하는 사람

어둠이라는 권리
단 하나의 테이블

chapter 6 기억하는 사람

슬픔의 자세
사라진 그림
사라지는 여인의 뒷모습
우산 가게의 여자아이

chapter 7 사랑 이후의 사람

오지 않은 과거
가을 햇빛에 수혈을 받는 마음으로
이미지의 구원

epilogue
흔적은, 있다

사랑의 잔상들
도판 목록

출판사 서평

“이로써 그녀는 사랑의 글들을 소유하게 됐다.” _김연수(소설가)

―십 년에 걸친 어떤 사랑의 기록



“좋은 에세이를 읽을 때 우리는 모든 능력이 활발하게 깨어 즐거움의 햇볕을 쬐는 느낌이 든다. 또 좋은 에세이는 첫 문장부터 우리를 사로잡아 삶을 더 강렬해진 형태의 무아지경으로 빠뜨린다”라고 말한 건 버지니아 울프다. 그 에세이가 십 년에 걸쳐 쓰인 사랑에 관한 이미지들이라면 어떨까. 손에 잡힐 듯, 그러나 잡았다 생각하는 순간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가는 아름다움과 노스탤지어, 아득한 눈부심과 고요함이 연상되지 않는지. 그만큼 보편적이고 또 개별적인 것은 없을 것이다. 특정 관계를 결정짓는 사랑에서부터, 한 권의 책이나 혼자 들어선 영화관에서 느껴지는 안온한 느낌으로서의 사랑, 지하철 안에서 만난 어린아이의 뒷모습에서 돌연히 반짝인 빛 같은 사랑까지, “캄캄한 삶 속에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지도와도 같”은 그것.


장르를 넘나들며 자기만의 문장을 쌓아온 작가 장혜령의 첫 에세이 『사랑의 잔상들』을 출간한다. 2017년 『문학동네』 시 부문 신인상을 받은 그는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했다. 2011년 팟캐스트 ‘네시이십분 라디오’를 만들어 가치 있는 책과 작가를 소개해왔다. 소설 리뷰 웹진 ‘소설리스트’에서 소설을 리뷰했으며, 지금은 EBS <지식채널 e>에서 대본을 쓰고 있다. 작가와 독자를 잇는 낭독회, ‘개와 고양이의 라디오 워크숍’ ‘지금 이곳에서 시작하는 글쓰기’와 같은 창작워크숍과 글쓰기 강의를 지속해왔다.





언제나 사랑이 먼저였고, 그것을 깨닫는 일이 뒤늦게 찾아왔던 것처럼…

―소설과 시, 그림과 영화, 무엇보다 삶에서 맞닥뜨린 ‘사랑의 잔상들’



여행하는 사람/ 기다리는 사람/ 비밀을 가진 사람/ 칼을 놓는 사람/ 이별하는 사람/ 기억하는 사람/ 사랑 이후의 사람, 총 일곱 개의 챕터로 이 책은 구성되었다. 산티아고와 프라하, 몰리노 등 익숙하고 또 낯선 지명들, 보르헤스와 배수아, 이원, 존 차, 카슨 매컬러스의 책과 앤드루 와이어스, 베이컨과 조지아 오키프의 그림, 낸 골딘과 마이클 애커먼의 사진, 레오 카락스와 장뤼크 고다르, 로베르 브레송의 영화가 더불어 등장한다. 작품이 있고 그에 따르는 인상이 이어지는 에세이에 익숙한 독자들에게는 다소 낯선 방식으로. 예술가들이 생산해낸 작품은 장혜령의 시선과 만나는 순간, 이해가 필요한 텍스트가 아닌, 작가 자신의 몸과 문장으로 통과한 새로운 이야기, 새로운 이미지로 인화된다.



작가의 글쓰기는 밝은 탁자 위에서 이뤄지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세상과의 단절, 고독이라는 깊은 어둠을 거쳐서만 비로소 그것은 나타난다. 독서도 마찬가지다. 어떤 문장들은 단숨에 우리의 시선을 낚아채지만 어떤 문장들은 서서히 그 속에 스며들 것을 요구한다. 그런 세계에 들어서기 위해 우리가 견뎌야 하는 것은 어둠이라는 시간이다.

이처럼 어둠은 사랑의 권리이고 꿈꾸는 사람, 이미지를 보는 사람의 권리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십사 시간 불 켜진 상점들로 가득한 빛의 도시에서 우리는 스스로의 권리를 파기한다. 이곳에서는 거꾸로 이미지의 소멸, 사랑의 소멸이 일어난다. (145쪽, 페드로 코스타, 파스칼 키냐르,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을 다룬 글 「어둠이라는 권리」에서)



대부분의 여성과 여성적 자아를 지닌 이들에게 자신의 성은 출발점과도 같다. 성과 사랑의 문제에 있어 온전히 자유로운 사람은 그에 관해 말할 필요를 느끼지 않을 것이다. 오직 자기 자신을 극복하지 못한, 극복해야 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만이 자신을 폭로하려는 열망을 갖는다. 그들은 그들 서사의 관찰자가 되지 못한 채 자전적인 글을 쓰고 말한다. 그런 행위를 통해 억압에서 잠시나마 해방되고자 한다. 글쓰기는 본질적으로 경계를 확장하는 자유를 향한 시도다. 자신의 정체성을 규명할 이유가 없거나, 그 단계를 마친 이들은 그보다 보편적인 주제를 탐구한다. 반면 어떤 여성(적 존재)들은 매번 비슷한 연애에 실패하는 사람처럼 비슷한 사랑 이야기에 새롭게 사로잡힌다. (134~135쪽, 조지아 오키프, 카트린 밀레, 엘프리데 옐리네크를 다룬 글 「자신을 내맡기려는 열망」에서)



일상에서 마주한 평범한 사람들, 여행지에서 만난 가깝고도 멀었던 사람들에 대한 단상도 마찬가지다. 적당히 거리를 두고 바라본 보통 사람들의 평범한 일상의 한 컷 한 컷은 장혜령이 포착한 순간 세상으로부터 미묘하게 단절되어 그만의 이미지로 남는다. 가까웠던 그러나 멀어진 사람과 주고받은 대화 역시 시간의 질서를 따르는 서사라기보다는 이미지에 가까워 보인다.

자정이 넘은 시각,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히치하이킹을 했던 기억의 소환을 살펴보자. 젊은 엄마와 어린아이가 탄 차량이 그 앞에 섰다. 함께 고속도로를 달리다 잠시 식당에서 멈추었을 때 아이가 다가와 그의 손을 잡고 미소를 지었다. 아이가 자폐를 앓고 있다는 걸 안 건 그후의 일이다. 침묵 속에서, 어둠 속에서 차는 더 달렸고 그가 마주한 이미지는 ‘비탄에 빠진 동정녀 마리아와 그녀의 사내아이’였다.



침묵 속에서 우리는 어떤 장면을 향해 거슬러올라갔다. 그곳에서 우리 자신을 존재하게 했던 기원에 관한, 단 하나의 장면을 마주했다.

비탄에 빠진 동정녀 마리아와 그녀의 사내아이.

어쩌면 우리는 우리에게 예비되어 있는 사랑의 이미지를 우리 자신에게서 나타나게 하기 위해 살아가는지도 모른다.



그애가 내게 다가와 손을 잡고 눈을 들여다보았던 걸 기억한다.

사랑의 기원에 그것이 있다.

그것만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56쪽, 「끝과 시작」에서)



하나의 명쾌한 선으로 그려지지 않는, 섬광과도 같은 이미지들과 기억의 편린들이 어쩌면 우리 삶을 구성하는 것인지 모른다. 순식간에 나를 뒤흔들고 떠나버리는 빛들. 작가는 그 빛들을 ‘사랑의 잔상들’로 여기며 그것이 없었다면 살아갈 수 있었을까 묻는다. 그 빛의 의미를 당장에 해독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십 년에 걸쳐 쓴 글을 다시 쓰고 고치며 시간이 흘러 깨닫게 되는 일이 있다. 작가는 그 내용 또한 ‘에필로그’에 따로 정리해두었다.





우리는 낯선 이의 손에 이끌려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고 잡았던 손을 놓치고 말 것이다.

―그러나 기꺼이 원했던 건, 손을 내미는 것



어떤 문장이 쓰였다 지워졌다 새로 쓰이길 거듭한 흔적을 따라가보면, 삶에는 끝내 이해할 수 없는 면이 있고 그것을 인정한 뒤 비밀로 남겨둬야 하는 것이 있음을 어렴풋이 깨닫게 된다. “그러나 간절히 다가가려 했던 시도는 남는다. 어쩌면 그것이 쓰기의 전부다. 사랑의 전부다. 당신의 뒷모습에 다가가, 당신에게 닿고자 했던 그 손. 그 손이 전부다.”(214쪽, 「에필로그: 흔적은, 있다」에서)

출간이 기약되지 않을 글을 쓰고 또 고쳐온 십 년의 시간을 돌이키며 작가는 이렇게 쓰기도 했다. “내 힘으로 이해할 수 없는 것들은 살면서 자꾸 질문이 되어 돌아왔다. 비록 답할 수 없을지라도 나는 이 희귀한 사랑의 순간들을 어딘가에 잘 간직해두고 싶었다”고. 자기만이 아는 고독 속에서 독백과도 같이 쓴 글들이 가닿을 곳은 어디일지. 우리 삶의 비밀은 비밀대로 간직한 채 그가 마련해둔 자리에 들어가면 무엇을 만나게 될지. 그가 내민 손을 잡으면 시작될 일. 거기엔 “결코 이해할 수 없고 알 수 없는 사랑이 있으며, 당신이 있으며, 운명이 있다.”





● 추천의 글

“환자는 병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병을 앓는 사람이다. 마찬가지로 연인은 사랑을 소유한 사람이 아니라 사랑을 겪는 사람이다. 사랑은 늘 생성 혹은 소멸중이다. 그렇게 사랑은 어딘가를 향하는 길 위에 있다. 그리고 그 길의 끝에서 우리는 당연하다는 듯 뭔가를 보거나 듣게 된다. 그것은 이야기이기도 하고, 영화이기도 하고, 사진이기도 하고, 또 노래이기도 하다. 사랑의 이야기, 사랑의 영화, 사랑의 사진, 사랑의 노래…… 그것들이 죄다 혼잣말을 닮은 이유는, 거기 길의 끝에서는 누구나 혼자이므로. 고독을 겁내지 않는 씩씩한 마음으로, 십 년에 걸쳐 혼자 쓴 글 위에 다시 겹쳐 쓰고, 또 고쳐 쓴 글들이 이 책에 실렸다. 이로써 그녀는 사랑의 글들을 소유하게 됐다. 하지만 이 가난한 마음은 왜일까? 우리가 사랑의 글들을 소유하고 나면, 그녀의 말을 그대로 옮기자면, “그 사랑은 모두 어디로 가게 되는 걸까?” 회복기에 맞는 바람처럼 은은하고 낯설고 서늘한 책이다. _김연수(소설가)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