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강해>에 앞서 - 4
해제: <대승기신론>의 세계
1. <대승기신론>은 어떤 책인가? - 20
2. <대승기신론> 사상의 불교사적 의미 - 22
1) 초기불교의 ‘무아(無我)’ - 22
2)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아공(我空) 법유(法有)’ - 23
3) 대승불교 중관의 ‘법공(法空)’ - 25
4) 대승불교 유식의 ‘유심(唯心)’ - 26
5) 대승불교 기신론의 ‘일심(一心)’ - 28
3.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존재론 - 30
4.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수행론 - 39
5. <대승기신론>의 전체 구조 - 44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서분序分
귀경게(歸敬偈) - 49
1. 불보(佛寶) - 50
2. 법보(法寶) - 52
3. 승보(僧寶) - 53
정종분正宗分
I. 인연분(因緣分) - 60
1. 기신론 저술의 동기 - 60
2. 기신론의 특징 - 69
II. 입의분(立義分) - 74
1. 입법장(立法章) - 75
2. 입의장(立義章) - 78
III. 해석분(解釋分) - 83
III-1. 현시정의(顯示正義) - 85
1. 심진여문(心眞如門) - 93
1) 이언진여(離?眞如) - 93
(1) 진여의 체 - 94
(2) ‘진여’라는 이름 - 97
2) 의언진여(依?眞如) - 101
(1) 공(空) - 103
(2) 불공(不空) - 106
2. 생멸심의 각(覺)과 불각(不覺) - 108
1) 아뢰야식의 양면: 각과 불각 - 108
2) 각(覺) - 119
(1) 시각(始覺) - 119
(2) 본각(本覺) - 139
3) 불각(不覺) - 152
(1) 불각(不覺)의 3세상(細相) - 154
(2) 불각(不覺)의 6추상(??相) - 158
4)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 165
3. 생멸의 인연(因緣) - 170
1) 의(意)와 의식(意識)으로의 전변(轉變) - 170
(1) 다섯 가지 의(意) - 170
(2) 삼계유심(三界唯心) - 181
(3) 의식(意識) - 185
2) 생멸의 인연 - 190
(1) 인연의 깊은 의미 - 190
(2) 여섯 가지 염심(染心) - 195
(3) 상응(相應)과 불상응(不相應) - 202
(4) 무명(無明)과 염심(染心) - 204
3) 생멸상(生滅相) - 208
(1) 생멸상의 차이 - 208
(2) 생멸상의 인과 연 - 211
(3) 심체(心體)과 심상(心相) - 213
4. 염정훈습(染淨熏習) - 218
1) 훈습의 4법 - 218
2) 염법훈습(染法熏習) - 224
(1) 세 가지 염법훈습 - 224
(2) 각 염법훈습의 두 단계 - 229
3) 정법훈습(淨法熏習) - 234
(1) 두 가지 정법훈습 - 235
(2) 각 정법훈습의 두 단계 - 241
5. 삼대(三大) - 260
1) 체대(體大) - 260
2) 상대(相大) - 261
3) 용대(用大) - 269
(1) 진여(眞如)의 작용 - 269
(2) 진여(眞如)의 두 가지 용(用) - 274
(3) 진여(眞如) 현시(顯示)의 단계 - 281
(4) 색(色)과 심(心)의 관계 - 285
(5) 생멸문(生滅門)에서 진여문(眞如門)으로 - 287
III-2. 대치사집(對治邪執) - 291
1. 인아견(人我?)에 의한 범부의 사집(邪執) - 292
1) 인아견(人我?) 1: 허공이 곧 여래성이다. - 293
2) 인아견(人我?) 2: 진여 열반이 곧 공이다. - 299
3) 인아견(人我?) 3: 여래장에 색(色)?심(心)이 따로 있다. - 301
4) 인아견(人我?) 4: 여래장에 세간 생사법이 포함된다. - 302
5) 인아견(人我?) 5: 중생에 시작이 있고, 열반에 끝이 있다. - 305
2. 법아견(法我?)에 의한 이승(二乘)의 사집 - 307
III-3.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 - 312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 314
1) 신성취발심의 길 - 314
2) 신성취발심과 수행방편 - 321
3) 신성취발심의 공덕 - 328
2. 해행발심(解?發心) - 333
3. 증발심(證發心) - 336
1) 증발심의 지위(地位)와 경계(境界) - 336
2) 증발심의 공덕(功德) - 339
IV. 수행신심분(修?信心分) - 349
1. 4신심(信心)과 5수행(修?) - 350
1) 네 가지 믿음 - 350
2) 수행의 5문(門) - 353
(1) 시문(施門) - 354
(2) 계문(戒門) - 356
(3) 인문(忍門) - 358
(4) 진문(進門) - 360
(5) 지관문(止觀門) - 363
2. 지관의 수행 - 367
1) 지(止) - 367
(1) 9심주(心住) - 367
(2) 삼매(三昧)의 수승한 능력 - 374
(3) 삼매에서 만나게 되는 마구니 - 375
(4) 외도(外道)의 삼매와 진여삼매의 차이 - 383
(5) 지의 수행으로부터 얻는 이익 - 385
2) 관(觀) - 388
(1) 법상관(法相觀) - 389
(2) 자비관(慈悲觀) - 391
(3) 서원관(誓願觀) - 393
(4) 정진관(精進觀) - 393
3) 지관(止觀) 병행의 필요성 - 394
3. 염불(念佛) 수행 - 399
V.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 402
1. 바른 믿음의 이익 - 403
1) 문혜(聞慧) - 404
2) 사혜(思慧) - 404
3) 수혜(修慧) - 405
2. 믿음 비방의 죄 - 406
3. 수행의 권면 - 408
유통분流通分
회향송(?向頌) -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