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기신론 강해

한자경 | 불광출판사 | 2014년 12월 12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5,400원

판매가 15,400원

도서소개

1∼2세기경 인도의 마명(馬鳴)이 저술했다고 전해지는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은 이론과 실천의 양면에서 대승불교의 중심 사상을 종합한 대승불교 최고의 논서로 평가 받고 있다. 산스크리트 원본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한역은 진제(眞諦)가 번역한 1권본과 실차난타(實叉難陀)가 번역한 2권본이 있으며 이 중에서 진제의 한역본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

대승기신론의 내용은 예로부터 일심(一心), 이문(二門), 삼대(三大), 사신(四信), 오행(五行)으로 요약해 왔다. 가장 핵심인 일심을 진여문(眞如門)과 생멸문(生滅門)의 이문으로 설명하고, 또한 일심의 특성을 체(體), 상(相), 용(用)의 삼대로 전개하여, 궁극적으로 대승에 대한 믿음을 일으키며 나아가 실천적 행을 닦도록 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이 책은 가장 널리 유통되고 있는 진제의 한역본을 저본으로 하고 여기에 원효와 법장의 소를 비교.분석하며 일심(一心) 이문(二門)의 대의(大義)를 상세하고 논리정연하게 해설하고 있다. 또한 저자는 대승기신론에 담긴 중관과 유식, 여래장 등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을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도 이해할 수 있도록 240여 개의 내용 설명 도표를 사용하며 간결하면서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저자소개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독일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서양철학(칸트)을 공부하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에서 불교철학(유식)을 공부했다. 2019년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칸트와 초월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서우철학상 수상), 『자아의 연구』,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 유식 불교에서의 인식과 존재』, 『동서양의 인간 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 철학의 전개: 인도에서 한국까지』, 『불교의 무아론』(청송학술상 수상), 『칸트 철학에의 초대』, 『나를 찾아가는 21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원효학술상 수상),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대승기신론 강해』(불교출판문화상 대상 수상), 『화두: 철학자의 간화선 수행 체험기』,『선종영가집 강해』, 『심층마음의 연구』(반야학술상 수상), 『마음은 이미 마음을 알고 있다: 공적영지』, 『성유식론 강해: 아뢰야식』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피히테의 『인간의 사명』, 『전체 지식론의 기초』와 셸링의 『인간 자유의 본질』, 『철학의 원리로서의 자아』, 『자연철학의 이념』이 있다.

목차소개

<대승기신론 강해>에 앞서 - 4


해제: <대승기신론>의 세계
1. <대승기신론>은 어떤 책인가? - 20
2. <대승기신론> 사상의 불교사적 의미 - 22
1) 초기불교의 ‘무아(無我)’ - 22
2)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아공(我空) 법유(法有)’ - 23
3) 대승불교 중관의 ‘법공(法空)’ - 25
4) 대승불교 유식의 ‘유심(唯心)’ - 26
5) 대승불교 기신론의 ‘일심(一心)’ - 28
3.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존재론 - 30
4.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수행론 - 39
5. <대승기신론>의 전체 구조 - 44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서분序分

귀경게(歸敬偈) - 49
1. 불보(佛寶) - 50
2. 법보(法寶) - 52
3. 승보(僧寶) - 53

정종분正宗分

I. 인연분(因緣分) - 60
1. 기신론 저술의 동기 - 60
2. 기신론의 특징 - 69

II. 입의분(立義分) - 74
1. 입법장(立法章) - 75
2. 입의장(立義章) - 78

III. 해석분(解釋分) - 83

III-1. 현시정의(顯示正義) - 85
1. 심진여문(心眞如門) - 93
1) 이언진여(離?眞如) - 93
(1) 진여의 체 - 94
(2) ‘진여’라는 이름 - 97
2) 의언진여(依?眞如) - 101
(1) 공(空) - 103
(2) 불공(不空) - 106
2. 생멸심의 각(覺)과 불각(不覺) - 108
1) 아뢰야식의 양면: 각과 불각 - 108
2) 각(覺) - 119
(1) 시각(始覺) - 119
(2) 본각(本覺) - 139
3) 불각(不覺) - 152
(1) 불각(不覺)의 3세상(細相) - 154
(2) 불각(不覺)의 6추상(??相) - 158
4)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 165
3. 생멸의 인연(因緣) - 170
1) 의(意)와 의식(意識)으로의 전변(轉變) - 170
(1) 다섯 가지 의(意) - 170
(2) 삼계유심(三界唯心) - 181
(3) 의식(意識) - 185
2) 생멸의 인연 - 190
(1) 인연의 깊은 의미 - 190
(2) 여섯 가지 염심(染心) - 195
(3) 상응(相應)과 불상응(不相應) - 202
(4) 무명(無明)과 염심(染心) - 204
3) 생멸상(生滅相) - 208
(1) 생멸상의 차이 - 208
(2) 생멸상의 인과 연 - 211
(3) 심체(心體)과 심상(心相) - 213
4. 염정훈습(染淨熏習) - 218
1) 훈습의 4법 - 218
2) 염법훈습(染法熏習) - 224
(1) 세 가지 염법훈습 - 224
(2) 각 염법훈습의 두 단계 - 229
3) 정법훈습(淨法熏習) - 234
(1) 두 가지 정법훈습 - 235
(2) 각 정법훈습의 두 단계 - 241
5. 삼대(三大) - 260
1) 체대(體大) - 260
2) 상대(相大) - 261
3) 용대(用大) - 269
(1) 진여(眞如)의 작용 - 269
(2) 진여(眞如)의 두 가지 용(用) - 274
(3) 진여(眞如) 현시(顯示)의 단계 - 281
(4) 색(色)과 심(心)의 관계 - 285
(5) 생멸문(生滅門)에서 진여문(眞如門)으로 - 287

III-2. 대치사집(對治邪執) - 291
1. 인아견(人我?)에 의한 범부의 사집(邪執) - 292
1) 인아견(人我?) 1: 허공이 곧 여래성이다. - 293
2) 인아견(人我?) 2: 진여 열반이 곧 공이다. - 299
3) 인아견(人我?) 3: 여래장에 색(色)?심(心)이 따로 있다. - 301
4) 인아견(人我?) 4: 여래장에 세간 생사법이 포함된다. - 302
5) 인아견(人我?) 5: 중생에 시작이 있고, 열반에 끝이 있다. - 305
2. 법아견(法我?)에 의한 이승(二乘)의 사집 - 307

III-3.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 - 312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 314
1) 신성취발심의 길 - 314
2) 신성취발심과 수행방편 - 321
3) 신성취발심의 공덕 - 328
2. 해행발심(解?發心) - 333
3. 증발심(證發心) - 336
1) 증발심의 지위(地位)와 경계(境界) - 336
2) 증발심의 공덕(功德) - 339

IV. 수행신심분(修?信心分) - 349
1. 4신심(信心)과 5수행(修?) - 350
1) 네 가지 믿음 - 350
2) 수행의 5문(門) - 353
(1) 시문(施門) - 354
(2) 계문(戒門) - 356
(3) 인문(忍門) - 358
(4) 진문(進門) - 360
(5) 지관문(止觀門) - 363
2. 지관의 수행 - 367
1) 지(止) - 367
(1) 9심주(心住) - 367
(2) 삼매(三昧)의 수승한 능력 - 374
(3) 삼매에서 만나게 되는 마구니 - 375
(4) 외도(外道)의 삼매와 진여삼매의 차이 - 383
(5) 지의 수행으로부터 얻는 이익 - 385
2) 관(觀) - 388
(1) 법상관(法相觀) - 389
(2) 자비관(慈悲觀) - 391
(3) 서원관(誓願觀) - 393
(4) 정진관(精進觀) - 393
3) 지관(止觀) 병행의 필요성 - 394
3. 염불(念佛) 수행 - 399

V.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 402
1. 바른 믿음의 이익 - 403
1) 문혜(聞慧) - 404
2) 사혜(思慧) - 404
3) 수혜(修慧) - 405
2. 믿음 비방의 죄 - 406
3. 수행의 권면 - 408

유통분流通分

회향송(?向頌) - 411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