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오늘날 한국불교는 어떤 과제를 안고 어디로 가야 하는가
제1부. 불교의 전래
1. 불교의 첫 전래, 고구려
2. 왕즉불사상과의 접목
3. 고구려불교와 도교의 충돌
4. 백제의 불교 수용
5. 백제의 미륵불은 국가 수호신
6. 뒤늦게 전래된 신라불교
7. 죽음으로 얻은 불법 공인
8. 남방불교의 요람, 가야
제2부. 화려한 신라의 불교사상
9. 신라 진호불교의 기반
10. 당당히 떠나는 신라의 유학승
11. 원효와 의상의 시대
12. 실천적 포교승, 의상
13. 민중 속으로 퍼진 정토.약사.관음신앙
제3부. 갈등과 새 바람
14. 타락하는 승려, 뒤로 부는 새 바람
15. 선문을 일으킨 선각자들
16. 구산선문 일어나 새 선풍 불다
17. 미륵 현세를 열망한 민중
제4부. 불교정치술
18. 신비에 싸인 도선과 풍수설
19. 궁예와 미륵 세력의 결합
20. 진훤의 불교 세력 이용
21. 다양한 사상을 수용한 왕건
22. 불교는 나라와 임금을 지켜야 한다
제5부. 반성하는 불교
23. 불법과 충돌하는 유학
24. 승려들이 장사를 벌이다
25. 의천과 천태종의 창종
26. 사원 토지의 확대와 지눌의 출현
27. 한뜻으로 전진하는 결사운동
28. 참수행 피우는 백련결사
제6부. 팔만대장경의 힘
29. 바야흐로 맞은 압박과 비애의 시대
30. 화려한 고려문화, 고려미술
31. 불탑의 변화와 불경 인쇄
32. 빛나는 민족유산, 팔만대장경의 조성
제7부. 불교와 성리학
33. 불교의 침체와 성리학자의 부상
34. 왕사 보우와 신돈의 개혁 정치
35. 신돈의 죽음, 이단론의 등장
제8부. 불교는 이단이다
36. 부처는 정신계의 주인이 아니다
37. 극렬해진 불교 이단 논쟁
38. 고려불교가 길들인 생활문화
39. 무학과 이성계의 만남
제9부. 불교정책의 이중성
40. 궁중불교와 유불선 합일사상
41. 세종 불교정책의 겉과 속
42. 세조가 편 불교진흥정책
43. 본격적인 불교 압제의 시작
44. 연산군과 중종 시기의 소용돌이
45. 문정왕후의 승과 부활
제10부. 호국불교와 민중불교
46. 조일전쟁과 호국불교의 전통
47. 조일전쟁?조청전쟁 뒤의 사정
48. 조선 후기 민중불교의 확산
49. 불안한 사회의 변혁 세력이 되다
50. 위경의 등장과 원당 금지
제11부. 승려의 자유와 실천
51. 정조의 타협적 불교정책
52. 탄압받는 서학·동학, 자생하는 불교
53. 개화운동과 승려의 현실 참여
54. 이동인과 탁정식의 죽음
55. 친일불교와 새로운 시련
제12부. 식민지 시기 불교와 해방 이후의 불교
56. 식민지 초기 불교의 친일화 과정
57. 민족불교와 친일불교의 갈등
58. 해방 뒤 비구-대처의 분쟁
59. 오늘날의 한국불교
주요 참고문헌
도판 출처
별지. 연표로 보는 한국불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