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의 글 - 함께 보는 광양역사 교과서
들어가는 글 - 광양사로 보는 한국사
1장 - 광양의 선사시대
1. 광양의 첫 사람, 떠돌이 사냥꾼
2. 생존을 위한 더불어 살기
조개더미 속으로 - 오사리 돈탁마을 조개더미 발굴 이야기
3. 사람 위 사람, 사람 아래 사람
고인돌 속으로 - 광양의 고인돌은 어떻게 생겼을까
2장 - 광양의 삼국시대
1. 광양, 마한과 변한의 점이지대
발굴 속으로 - 광양의 용강리, 칠성리, 도월리 유적
2. 가야, 광양에 진출하다
역사서 속으로 - [일본서기]를 통해 본 광양
3. 백제, 광양을 점령하다
농민 속으로 - 삼국시대 광양 농민의 삶
4. 삼국시대의 국경지대, 마로현
산성 속으로 - 마로산성에서 만나는 고구려
3장 - 광양의 통일신라시대
1. 마로현에서 희양현으로
2. 광양에 불교가 전래되다
석등 속으로 - 광양의 국보를 아시나요
3. 옥룡사와 선각국사 도선
담론 속으로 - 도선을 통해 본 "역사란 무엇인가?"
4. 광양의 후삼국시대, 박영규와 경보
탑비 속으로 - 옥룡사 탑비전지의 쌍탑 쌍비
4장 - 광양의 고려시대
1. 희양현에서 광양현으로
행정 속으로 - 광양현의 향·부곡·소
2. 광양의 귀족, 광양 김씨와 광양 이씨
성씨 속으로 - 광양을 본관으로 하는 성씨
3. 다양한 지방 문화가 꽃을 피우다
석탑 속으로 - 백제계 석탑과 신라계 석탑
4. 왜구의 침입과 섬진강
마을 속으로 - 섬진마을과 수월정유허비
5장 - 광양의 조선전기
1. 광양에 사또가 파견되다
실록 속으로 - [세종실록] 지리지 광양현
천연기념물 속으로 - 마을숲과 풍수지리
2. 광양읍성과 관아
사직단 속으로 - 광양의 사직단
봉수 속으로 - 조선시대의 디지털 통신, 봉수
3. 광양 향교 이야기
현판 속으로 - 현판 이름에 담긴 의미
4. 학사대에서 피어난 광양의 사림, 신재 최산두
서원 속으로 - 광양의 서원
6장 - 광양의 조선후기
1. 임진왜란과 광양
마을 속으로 - 섬진진·선소와 임진왜란
2. 정유재란과 광양
왜성 속으로 - 순천왜성과 장도
3. 병자호란, 회은장로비와 소중화사상
절터 속으로 - 송천사터와 선각국사비
불상 속으로 - 무등암의 타임캡슐-복장물
4. 실사구시의 선구자 김여익, 김 양식에 성공하다.
전통놀이 속으로 - 용지마을 큰줄다리기
전설 속으로 - 태인도 궁기마을의 전우치 전설
7장 - 광양의 근대국가 수립운동
1. 광양 변란과 봉기
실록 속으로 - 고종 실록에 실린 광양봉기 관련 기사
2. 광양의 동학농민운동
민요 속으로 - 동학농민운동의 참요
비군 속으로 - 유당공원의 비군
연호 속으로 - 연호와 권력
3. 광양의 항일의병전쟁
비밀문서 속으로 - 의병활동 보고서
4. 조선의 마지막 선비, 매천 황현
인물 속으로 - [무진기행]의 김승옥, 매천 생가에서 살다
저서 속으로 - 매천 황현의 저서
8장 - 광양의 독립운동
1. 광양의 만세시위운동
재판 속으로 - 3·1 운동 관련 정성련의 판결문
2. 일어서는 농민과 노동자, 그리고 청년
인터넷 속으로 - 광양 땅은 황금의 고장
3. 이념의 차이를 넘어 민족의 이름으로
편지 속으로 - 김상환의 옥중 친필 서한
조직 속으로 - 신간회 광양지회 조직
4. 매천 황현의 동생, 석전 황원
한시 속으로 - 강호여인 황원의 시
9장 - 광양의 대한민국
1. 광양의 해방정국
해방의 그날 속으로 - 한국 기록 사진의 대부, 이경모
2.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여순사건, 그리고 광양
사진 속으로 - 고향 친구의 주검 앞에서
구술 속으로 - 광양인 주종문 옹이 경험한 여수·순천 10·19 사건
3. 6·25 전쟁과 빨치산, 그리고 광양
구술 속으로 - 사회주의자 시아버지를 모신 며느리의 소원
라디오 속으로 - 윤동주 유고 보존 정병욱 가옥
부록
1. 광양사와 한국사 연표
2. 광양시 지정 문화재 목록
3. 광양시 향토문화유산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