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어느 신문팔이 소년의 죽음
1부 저항적 자살과 열사
1. 문제 제기
2. ‘저항적 자살’의 개념
3. 연구 대상으로서의 ‘열사’
2부 열사의 특성과 유형 분류
1. 열사의 특성과 추이
1) 직업별 분포와 추이
2) 연령별 분포와 추이
3) 학력별 분포와 추이
4) 출생 지역·자살 지역별 분포와 추이
5) 자살 장소·자살 방법별 분포와 추이
2. 열사의 유형 분류
1) 자살 유형의 범주화
2) 당위형 자살
단계별 분석 내용 | 당위형 자살의 특징
3) 실존형 자살
단계별 분석 내용 | 실존형 자살의 특징
3. 열사의 유형별 특성과 추이
1) 정권별 자살 유형·직업 간 관계
2) 자살 유형별 직업 분포와 추이
3) 자살 유형별 연령 분포와 추이
4) 자살 유형별 출생 지역·자살 지역 분포와 추이
5) 자살 유형별 자살 장소·자살 방법 분포와 추이
3부 5·18 광주항쟁과 열사의 기원
1. 당위형 열사
1) 반독재민주화운동과 열사의 ‘기원’: 1980~1985년
2) 반미운동과 열사 계승: 1986~1987년
2. 실존형 열사
1) 전태일 추모와 노동열사의 탄생: 1984년
2) 변혁운동의 영향과 부문운동별 열사 출현: 1986~1987년
4부 1987년 민주화와 열사의 의례화
1. 당위형 열사
1) 죽음을 통한 실천과 통일운동: 1988~1989년
2) 전교조 결성 이후 고등학생 분신: 1990년
3) 실패한 죽음과 열사 계승의 조직화: 1991년 5월투쟁
4) 학생운동의 약화와 마지막 학생열사: 1993~1997년
2. 실존형 열사
1) 민주노조 탄압과 노동열사의 급증: 1988~1992년
노동자_170 | 도시빈민
2) 제도·이데올로기적 노동 통제와 대기업노조 탄압: 1993~1997년
노동자| 도시빈민
5부 여야 정권 교체 및 경제위기와 열사의 해체
1. 당위형 열사
1) 열사의 직업 변화와 ‘정권 타도’ 구호의 소멸: 1998~2007년
2) 권위주의로의 회귀와 ‘정권 타도’ 구호의 재등장: 2008~2012년
2. 실존형 열사
1) 경제위기 속 자살의 증가와 열사의 감소: 1998~2002년
노동자 | 도시빈민
2) 고용불안과 노동열사의 증가: 2003~2007년
노동자 | 농민 | 도시빈민
3) 노동시장의 분절과 고립된 죽음: 2008~2012년
6부 열사의 호명구조
1. ‘전선운동’과 열사 호명의 포섭·배제
1) 전선운동과 열사의례
2) 민중 부문의 동원과 열사 호명의 차별
2. 학생운동의 변화와 ‘노동자’열사
1) 건대항쟁 전후 자살메시지의 변화
2) 전선운동의 동력, 학생운동의 쇠퇴
3) ‘노동자’열사와 사회적 존재 실현
3. 노동운동과 ‘정치적인 것
1) 노동열사의 증가와 대안전선의 형성 실패
2) 자살메시지의 변화와 정치투쟁·경제투쟁
4. 열사 해체의 내적 원인
1) 당위형 열사와 집합적 정체성 형성의 실패
2) 노동자 자살의 고립화와 호명 대상의 해체
7부 적대에서 공감으로, 전선에서 연대로
부록
〈표 1〉 열사의 역사적 추이(1980~2012년 자살자
〈표 2〉 열사의 역사적 추이(1980~2012년 타살자)
참고문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