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사전 강의: 개념과 정치
‘개념언어’와 ‘정치언어’: 말의 두 가지 사용법 / 개념: 표준 없는 다양성은 왜 불가능한가 / 정치언어: ‘우리’와 ‘그들’을 나누는 도구 / 개념의 부재, 정치언어의 과잉 / ‘혐오’: 정치언어의 극단
1강. 누구를 위한 ‘청년’인가?
1. ‘청년’은 개념이 아니다
‘불쌍한 청년’의 탄생: 청년은 경제적 약자인가 / 왜 하필 ‘청년’인가: 청년 정책의 인위성 / 청년할당제 논란: 청년의 역설적 지위
2. 정치는 왜 ‘청년’을 좋아할까
‘청년’의 정치, 역사, 문화적 기원 / ‘청년’을 둘러싼 의미 투쟁: 88만 원과 아픈 청춘 / ‘청년’ ‘불평등’ ‘경제’: 정치언어의 진보 혹은 퇴보
3. 부를수록 배제되는 이름, ‘청년’
‘청년 특별기획’: 청년이라는 이름의 잡동사니 상자 /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년’: 정치전략의 가능성 / 공감은 어떻게 가능한가: ‘불쌍한 청년’에서 권리 주장으로
2강. 소수자 사회
1. 소수자는 누구인가
종속계층과 헤게모니: 안토니오 그람시 / 다수자와 소수자: 질 들뢰즈와 펠릭스 과타리 / 종속계층과 소수자: 표준을 변주하는 생성의 힘
2. 표준 없는 사회
표준권력은 어떻게 작동할까 / 서구를 번역하기: 표준 없는 사회의 소수 문화 / 이념 없는 정당: 정치는 감동이 아니다
3. 소수자의 정치전략
분노한 청년은 짱돌을 들 수 있다? / 다수화전략: 헤게모니와 포퓰리즘 / 소수화전략: 최저임금위원회의 사례
3강. 시민성의 재구성
1. 시민성이란 무엇인가
시민 개념: 거주민을 넘어 구성원으로 / 참여와 권리: 시민성의 두 가지 모델 / 평등을 위한 조건, 시민성
2. 권리 개념 이해하기
권리 주장을 용납하지 않는 사회: 세월호 피해자의 권리를 말하다 / 권리란 무엇인가: 개념과 정당성 / 권리를 둘러싼 몇 가지 미신들
3. 평등을 가로막는 세 가지 요인
참여하지 않아도 인간이다: 시민의 참여에서 인간의 권리로 / ‘국가’라는 족쇄: 개인 없는 가족공동체 / 경제 담론 비판: 평등 없는 불평등 논의
나가는 말: ‘개념’ 없는 사회를 위한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