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5
악장가사(樂章歌詞)
17
속악가사상(俗樂歌詞上)
19
종묘영녕전(宗廟永寧殿)
19
영신(迎神)
19
전폐(奠幣)
19
진찬(進饌)
19
초헌희문(初獻熙文)
20
기명(基命)
20
귀인(歸仁)
20
형가(?嘉)
21
집녕(輯寧)
21
강화(降化)
21
현미(顯美)
22
용광(龍光)
22
중광(重光)
23
영관(永觀)
23
철변두(徹??)
24
송신(送神)
24
비궁속악남공철제(?宮俗樂南公徹製)
25
영신어휴곡(迎神於休?)
25
전폐제명곡(奠幣齊明?)
25
진막혁우곡(進?赫佑?)
25
초헌인입제춘곡(初獻引入帝春?)
25
초헌진색곡(初獻震索?)
25
인출유길곡(引出維??)
26
아헌인입독경곡(亞獻引入篤慶?)
26
아헌휴운곡(亞獻休運?)
26
인출철유곡(引出徹柔?)
26
철변두유분곡(徹??有芬?)
26
송신아례곡(送神我禮?)
26
중광(重光)
27
영관(永觀)
27
철변두(徹??)
28
송신(送神)
28
비궁속악남공철제(?宮俗樂南公徹製)
29
영신어휴곡(迎神於休?)
29
전폐제명곡(奠幣齊明?)
29
진막혁우곡(進?赫佑?)
29
초헌인입제춘곡(初獻引入帝春?)
29
초헌진색곡(初獻震索?)
29
인출유길곡(引出維??)
30
아헌인입독경곡(亞獻引入篤慶?)
30
아헌휴운곡(亞獻休運?)
30
인출철유곡(引出徹柔?)
30
철변두유분곡(徹??有芬?)
30
송신아례곡(送神我禮?)
30
어제(御製)
31
영신왕재곡(迎神王在?)
31
전헌과잠곡(奠獻???)
31
송신석하곡(送神錫??)
32
아악가사(雅樂歌詞)
33
풍운뇌우(風雲雷雨)
33
전폐(奠幣)
33
초헌풍운뇌우(初獻風雲雷雨)
33
산천(山川)
33
성황(城隍)
34
철변두(徹??)
34
사직(社稷)
34
전폐(奠幣)
35
초헌국사(初獻國社)
35
국과(國?)
35
철변두(徹??)
36
선농(先農)
36
전폐(奠幣)
36
초헌정위(初獻正位)
36
배위(配位)
37
철변두(徹??)
37
선천(先?)
37
전폐(奠幣)
37
초헌(初獻)
38
철변두(徹??)
38
우사전폐(雩祀奠幣)
38
초헌구화(初獻勾花)
39
축융(祝融)
39
후토(后土)
39
욕노(?奴)
40
현명(玄冥)
40
후과(后?)
40
철변두(徹??)
41
문선왕전폐(文宣王奠幣)
41
초헌정위(初獻正位)
41
곤국공(?國公)
42
성국공(?國公)
42
기국공(沂國公)
42
추국공(鄒國公)
43
철변두(徹??)
43
납씨가(納氏歌)
43
정동방곡(靖東方?)
44
대보단악장(大報壇樂章)
47
전폐(奠幣)
47
일위초헌(一位初獻)
47
이위초헌(二位初獻)
47
삼위초헌(三位初獻)
48
철변두(徹??)
48
가사상(歌詞上)
49
여민락(與民樂)
49
보허자(步虛子)
50
감군은(感君恩)
50
정석가(鄭石歌)
52
청산별곡(靑山別?)
54
서경별곡(?京別?)
56
사모곡(思母?)
59
능엄찬(?嚴讚)
59
영산회상(靈山會相)
60
쌍화점(雙花店)
61
이상곡(履霜?)
63
가시리
64
유림가(儒林歌)
65
신도가(新都歌)
68
풍입송(風入松)
69
야심사(夜深詞)
70
한림별곡(翰林別?)
71
처용가(處容歌)
75
어부가(漁父歌)
78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82
화산별곡(華山別?)
84
오륜가(五倫歌)
88
연형제곡(宴兄弟?)
90
상대별곡(霜臺別?)
92
우리나라 순수 가집 가운데 최고의 책으로, 고려 가요 24편을 그대로 전수하고 있다. 한문과 한글을 병기하는 한글 한자 겸용 저술의 사례이기도 하다. 조선 시대까지 오랜 기간 구전되어 온 고려 가요를 담고 있고, 그 외에도 조선의 속악과 궁중의 악장을 포함하고 있어서 자료적 가치가 뛰어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