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 김택규
1971년 인천 출생. 중국 현대문학 박사. 한국출판산업진흥원 중국 저작권 수출 분야 자문위원. 출판 번역과 기획에 종사하며 숭실대학교에서 번역을 가르치고 있다. 『번역가 되는 법』을 썼고, 『이중톈 중국사』, 『암호해독자』, 『논어를 읽다』, 『단단한 과학 공부』, 『사람의 세상에서 죽다』, 『이혼지침서』, 『죽은 불 다시 살아나』, 『아큐정전』 등 50여 권을 우리말로 옮겼다.
저자 서문_동양고전 읽는 법
1. ‘전’으로 ‘경’을 설명하다
- 역사 기록의 양식
- 전후 맥락의 파악
- 혈연이 기초였던 봉건 질서
- 반드시 이름을 바로잡아야
- 경과 전이 병존해야 의미가 있다
- 좌구명은 누구인가
2. 봉건 질서 붕괴의 역사
- 패주가 부상하던 시기
- 힘과 구제도의 대결
- 쟁점을 부각시키는 서술 방식
- 국제 관계에서의 연쇄반응
- 예에 맞는 침략 행위
3. 최후의 예교 질서
- 군자는 계책을 정하고 움직인다
- 약육강식의 새로운 법칙
- 난세에도 군자는 있다
- 역사 속의 미천한 인물들
4. 힘이 명분보다 중요하다
- 재주가 덕보다 중요했던 시대
- 새로운 정치철학의 맹아
- 군자는 이해 못할 계책
- 주나라 시대의 전쟁 용어
- 예의는 핑계일 뿐
- 어떤 사람이 군주가 돼야 하나
5. 패업의 형성
- 천하장사의 비극
- 패업의 시작
- 요괴는 사람 때문에 생긴다
- 무엇에 충성을 바쳐야 하나
- 요원의 불길
- 새로운 국제 질서
역자 후기_양자오 약전
『춘추』를 설명한 매우 특별한 ‘전’, 『좌전』
『좌전』左傳은 주로 『춘추』라 불리는 역사 기록인 『춘추경』春秋經을 설명한 『춘추좌씨전』을 가리킵니다. ‘전’傳이란 ‘경’經을 설명한 글로, 『춘추』의 전에는 『좌전』뿐 아니라 『공양전』, 『곡량전』, 『추씨전』, 『협씨전』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는 왜 그중에서도 『좌전』을, 또 『춘추』 원문이 아닌 그에 대한 해설서를 읽고자 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먼저 『좌전』이 매우 특별한 ‘전’이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전은 경의 문구에 대응해 설명하면서 그 뜻을 해석하고 분석합니다. 하지만 『좌전』은 경문에 정확히 대응하지 않습니다. 『춘추』가 노은공 원년에서 시작해 노애공 14년에서 끝나는 반면, 『좌전』은 똑같이 노은공 원년에서 시작하지만 노애공 27년에서 끝나지요. 경문도 없이 13년에 대한 설명을 더 하고 있습니다. 또 중요한 것은 『좌전』이 ‘사건’을 통해 경문을 설명한다는 것입니다. 즉 『춘추』의 두세 마디에 불과한 기록을 자세히 풀어 사건의 전후 맥락을 명확히 보여 줍니다. 바로 ‘이치’理가 아니라 ‘사건’事으로 설명하는 것이 『좌전』의 포인트이지요. 그래서 경문이 없어도 그 13년 동안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정보를 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 면에서 『좌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사건 기록은 그 자체로 모두 중요한 역사이며, 『좌전』은 『춘추』와 관계없이 풍부한 내용의 훌륭한 역사서라 할 수 있습니다.
『춘추』에 기록된 노은공 원년부터 노애공 14년까지 242년의 기간은 주나라를 중심으로 한 옛 봉건 규범이 점차 주변화되고 망각되어 그 빈자리를 각국의 자기중심적 이해타산이 차지한 시기였습니다. 따라서 이대로 가다간 각국이 평화롭게 지내지 못하고 필연적으로 혼란에 휩싸일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요. 그것을 바로잡고 봉건 질서를 다시금 일깨우고자 기록된 것이 바로 『춘추』였습니다. 그래서 『춘추』는 특별히 봉건 질서를 심각하게 파괴한 일이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계속 봉건 질서를 지키려 노력한 일을 최우선으로 기록했습니다. 그렇다 보니 근본적으로 ‘실제’와 ‘당위’ 사이의 모순이 생길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무엇보다도 ‘전’이 중요한 ‘경’이 되었습니다. 『춘추』에 기록되지 않은 실제 사건의 배경, 그리고 실제와 당위 사이의 차이를 해석해 줄 필요가 있었던 것이지요. 따라서 『춘추』에는 처음부터 ‘경’과 ‘전’이 병존했고, ‘경’의 본문에 설명이 덧붙은 채로 왕관학의 내용을 구성하게 되었습니다. 우리가 『춘추』 원문이 아닌 『좌전』을 읽는 이유입니다.
비할 수 없이 흥미진진한 춘추시대의 역사를 읽다
『좌전』의 기록은 255년의 세월과 12명의 노나라 군주를 포괄합니다. 이 시기는 오늘날 ‘춘추시대’라 불리는 때이기도 한데, 『좌전』은 당시 각국에서 일어난 사건을 다른 어떤 문헌보다도 분명하고 완전하게 담고 있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춘추시대 역사를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사실 『좌전』이 제공하는 착실한 내용에 힘입은 바 큽니다.
양자오 선생은 『좌전』의 이야기를 따로따로 읽지 말고 긴 단락을 골라 통째로 읽으라고 제안합니다. 그래야 『좌전』과 『춘추』 경문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고, 또한 당시 춘추오패가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봉건 질서는 어떤 방식으로 붕괴되어 갔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시는 약육강식의 논리와 전통적인 봉건 질서가 병존하며 서로 힘겨루기를 하던 혼란한 시대였습니다.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소국이든 대국이든 서로의 관계가 얽히고설켜 그 상황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나라는 없었지요. 『좌전』은 그러한 역사적 과정 속에서 어떤 나라가 부상하고 어떤 나라가 패망했는지, 어떤 나라가 봉건적 예에 맞게 행동하고 어떤 나라가 무도한 짓을 저질렀는지, 그러다 결국 새로운 국제 질서와 법칙에 따라 어느 나라 군주가 패주의 지위를 얻게 되었는지를 각 사건의 쟁점을 부각시키는 서술 방식으로 논리적이면서 이해하기 쉽게 설명합니다. 독자가 사건의 전후 맥락과 인과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말입니다.
『좌전을 읽다』에서 양자오 선생은 『춘추』 경문과 『좌전』 전문을 비교, 대조하면서 『좌전』의 설명 배경을 밝히고 당시 역사적 정치적 맥락을 덧붙여 내용을 풀어 갑니다. 따라서 독자는 조각조각 나누어진 개별 사건이 아니라 전체 시대를 아우르는 큰 그림을 그리며 『좌전』을 읽을 수 있습니다. 그 어느 시대보다 혼란하고 변화무쌍하고 예측 불허했던 시대였던 만큼 비할 수 없이 흥미진진한 춘추시대의 역사를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