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속표지
제1편 서론
제1장│ 소설의 정의
제2장│ 조선소설의 제문제(諸問題)
제3장│ 모든 유학자의 소설에 대한 공죄론(功罪論)
제4장│ 조선소설개관
제2편 설화시대의 소설
제1장│ 조선소설의 기원
제2장│ 삼국설화와 잔존한 문헌
제3장│ 고려의 패관문학(稗官文學)과 불교문예(佛敎文藝)
제3편 전기소설과 한글 발생기
제1장│ 이조(李朝)의 주자학과 소설계에 던진 영향
제2장│ 이조(李朝) 초창기의 전기소설(傳奇小說)
제3장│ 전기문학(傳記文學)의 백미인 금오신화(金鰲新話)
제4장│ 한글의 창제(創製)와 여명운동(黎明運動)
제4편 임진병자난 사이에 발흥된 신문예
제1장│ 임진후(壬辰後)에 배태(胚胎)된 신문예
제2장│ 화사(花史)와 및 그 시대
제3장│ 홍길동전(洪吉童傳)과 허균(許筠)의 예술(藝術)
제4장│ 명대 소설의 수입
제5편 일반화한 연문학의 난숙기
제1장│ 숙종조를 중심으로 한 황금시대의 문예
제2장│ 소설가로 본 서포 김만중
제3장│ 동화전설(童話傳說)의 소설화
제6편 근대소설 일반
제1장│ 영정시대(英正時代)의 소설
제2장│ 중국문학(中國文學)과 일방계(一傍系)로 본 한자소설
제3장│ 대문호 박지원(연암)과 그의 작품
제4장│ 장화홍련전(薔花紅蓮傳)과 기타 공안류(公案類)
제5장│ 걸작(傑作) 춘향전(春香傳)의 출현
제6장│ 춘향전 이후의 염정소설(艶情小說)
제7장│ 전대계승(前代繼承)의 문학
제7편 문예운동 후 사십 년간의 소설관
제1장│ 서언(緖言)
제2장│ 계몽운동(啓蒙運動) 시대의 문학
제3장│ 발아기(發芽期)(1911~1919)의 소설
제4장│ 계급문학(階級文學)의 여명기(黎明期)
제5장│ 문단(文壇)의 현세(現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