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op-out or Push-out? Out-of-Secondary School Peruvian Youth on School Participation

Jinhee Kim (김진희) | e퍼플 | 2020년 01월 17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7,000원

판매가 7,000원

도서소개

여전히 개발도상국의 많은 청소년들은 다양한 이유로 중등교육에서 중도 퇴학을 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교육 정책과 프로그램 개발 논의에 앞서, 우리는 청소년들 인지하는 중등교육의 가치와 수업 참여의 의미는 무엇인지 질문해야 한다.
본 연구는 페루의 북쪽 지역에 있는 정글의 한 시골 지역사회에서 중등교육에서 중퇴한 12명의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담았다. 인터뷰와 참여적 워크숍을 통해 그들에게 중등교육의 가치와 의미는 무엇인지, 중등 퇴학을 선택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나아가 그들이 생각하는 중도 퇴학의 해결책은 무엇인지 밝히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청소년들의 중도 퇴학 원인 개인적 요소가 아닌 역사적, 문화적, 사회 구조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요인들과 관련되어 있었다.

Although it is widely recognised that youth in secondary education (SE) face supply and demand constraints for participation in SE, the perceived value of SE and the choice of SE participation, particularly for youth in rural areas, are not well incorporated into most educational strategies and program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youth in a rural community in the northern Peruvian jungle experience school dropout to understand what may help them to access the kind of education they value instead of following pre-established ideas of what is best for them. The study draws on research carried out with 12 youths aged 14 to16 using two qualitative technique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workshops. The study findings show that young people can take an active role in describing opportunities and obstacles vis-a-vis SE participation and in shaping the most effective responses to drop-outs.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e need to approach dropout not only from an individualistic perspective, but also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that are embedded in historic, cultural, economic, and political processes and influenced by broader social structures. This broad perspective of education is relevant to current policies/programmes, because, if not considered properly, such interventions may fail to effectively address the issue.

저자소개

저자인 김진희는 경영학(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대학교)과 국제교육개발학(영국 서섹스대학교)을 전공하였으며, 유네스코 국제교육위원회 (UNESCO IBE)와 APEC 이러닝연수센터에서 역량개발 분야에서 교육전문가로 일했습니다. 세계의 공동 번영을 위하여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는 교육 환경을 설계하는 '교육 건축가'로 성장하고 싶습니다.

Jinhee Kim's previous academic background (Business managem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have been relating to Human capital development for the shared prosperity. She worked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namely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IBE) and APEC e-Learning Training Center for the quality education to make the better world.

목차소개

Table of Contents (목차)

Chapter 1. Introduction (서론) 6
1.1 Statement of the problem (연구 문제) 6
1.2 Research aim and research questions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6
1.3 Rationale (연구 의의) 7

Chapter 2. Literature Review (이론적 배경) 9
2.1 Construction of childhood and the place for young people in research (유년기와 청소년에 대한 고찰) 9
2.2 Opportunities and obstacles in SE participation (중등 교육 참여의 기회와 제한점) 12
2.3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중등 교육 중도퇴학에 대한 대응책) 16

Chapter 3. Country Context (국가 분석: 페루) 21
3.1 Socioeconomic context (사회경제적 환경) 21
3.2 Education sector context (교육 환경) 23
3.2.1 Structure of education (교육 체계) 23
3.2.2 Coverage and access (중등교육 현황) 23
3.2.3 Education quality (교육 수준 및 질) 26

Chapter 4. Research methodology (연구방법) 31
4.1 Research design (연구설계) 31
4.1.1 Participatory workshop (참여적 워크숍) 32
4.1.2 Individual interviews (개별 면담) 37
4.2 Sample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연구 참여자 모집) 37
4.3 Data analysis method (연구 분석 방법) 38
4.4 Ethical consideration (윤리적 고려) 42
4.5 Limitations, positionality, and bias (연구한계) 43

Chapter 5.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 (연구 결과 및 논의) 46
5.1 Youth' perceived opportunities for SE participation (청소년이 인지하는 중등교육의 가치) 46
5.1.1 SE as a springboard out of rural poverty (빈곤oduction (서론) 6
1.1 Statement of the problem (연구 문제) 6
1.2 Research aim and research questions (연구 목적 및 연구 질문) 6
1.3 Rationale (연구 의의) 7

Chapter 2. Literature Review (이론적 배경) 9
2.1 Construction of childhood and the place for young people in research (유년기와 청소년에 대한 고찰) 9
2.2 Opportunities and obstacles in SE participation (중등 교육 참여의 기회와 제한점) 12
2.3 Responding to the challenges (중등 교육 중도퇴학에 대한 대응책) 16

Chapter 3. Country Context (국가 분석: 페루) 21
3.1 Socioeconomic context (사회경제적 환경) 21
3.2 Education sector context (교육 환경) 23
3.2.1 Structure of education (교육 체계) 23
3.2.2 Coverage and access (중등교육 현황) 23
3.2.3 Education quality (교육 수준 및 질) 26

Chapter 4. Research methodology (연구방법) 31
4.1 Research design (연구설계) 31
4.1.1 Participatory workshop (참여적 워크숍) 32
4.1.2 Individual interviews (개별 면담) 37
4.2 Samples and data collection methods (연구 참여자 모집) 37
4.3 Data analysis method (연구 분석 방법) 38
4.4 Ethical consideration (윤리적 고려) 42
4.5 Limitations, positionality, and bias (연구한계) 43

Chapter 5. Research findings and discussion (연구 결과 및 논의) 46
5.1 Youth' perceived opportunities for SE participation (청소년이 인지하는 중등교육 참여의 가치) 46
5.1.1 SE as a springboard out of rural poverty (중등교육, 빈곤에서 벗어나는 발판) 47
5.1.2 SE as an important space for building friendship (중등교육, 우정을 쌓기 위한 중요한 공간) 49
5.2 Youth' perceived obstacles to SE participation (청소년이 인지하는 중등교육 참여의 장애물) 50
5.2.1 Demand-side: Individual factors (개인적 요인)52
5.2.1.1 Youth health (청소년 건강) 52
5.2.1.2 Early pregnancy (조기 임신) 53
5.2.2 Demand-side: Family-related factors (가족관련 요인) 54
5.2.2.1 Household financial circumstances (부모의 경제력) 54
5.2.2.2 Household perceived value of SE (부모가 인지하는 교육의 가치) 56
5.2.3 Demand-side: Friends-related factors (친구관련 요인) 58
5.2.4 Supply-side: Quality of education (교육의 질) 61
5.2.5 Supply-side: Corporal punishment (체벌) 63
5.3 Youth proposed solutions for SE Dropout (청소년이 생각하는 중등교육 중도퇴학에 대한 해결책) 66
5.3.1 Curriculum/pedagogy development (교육과정 개발) 66
5.3.2 Second-chance education (재교육의 기회) 68
5.3.3 Financial support (경제적 지원) 69
5.3.4 Motivational program & Campaign (동기부여 프로그램) 70
5.4 Discussion (논의) 70

Chapter 6. Conclusions (결론) 74
6.1 Understanding opportunities for and obstacles to SE (청소년의 중등 교육 참여의 기회와 방해요인 이해하기) 74
6.2 Recommendations for future action, research, and policy-making (정책 제언) 75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