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민족종교 무교(巫敎)

탁양현 | e퍼플 | 2020년 01월 31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500원

판매가 3,500원

도서소개

한국 민족종교 무교(巫敎)


한중일(韓中日) 3국을 주축(主軸)으로 하는 동아시아 문명권의 본래적인 전통사상은, 동이족(東夷族) 계열 북방(北方) 유목문화(遊牧文化)에서 발원(發源)하는 제정일치(祭政一致)적 샤머니즘이다.
역사의 진행과정에서, 제정일치의 상태는 제정분리(祭政分離)의 상태로 변화된다. 이제 정치권력을 장악하는 정치세력이 득세한다. 따라서 제사(祭祀)를 담당하는 세력은 응당 억압당하며 배척된다.
그러한 역사적 상황은, 동아시아 유불도(儒佛道) 문화 전승에서 여실히 살필 수 있다.
동이족(東夷族) 계열 북방 유목문화 단군조선(檀君朝鮮)으로부터 전래하는 샤머니즘은, 중국 도교(道敎), 일본 신도(神道) 등에 습합되어, 중국, 일본, 대만, 동남아 등지에서는, 현재까지도 이어진다.
그리고 한국의 경우는, 다소 특수한 상황에 있다.
대체로 불교(佛敎)와 습합(習合)되거나, 무속(巫俗)에 의해 겨우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으나, 이는 본래적인 제정일치적 샤머니즘과는 차이가 있다. 여타의 지역에서 또한 그러하다.
전통적으로 한민족(韓民族)의 민족문화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두말할 나위 없이 유불도(儒佛道)다. 그리고 근대 이후, 여기에 서양문화가 더해졌다.
그런데 대한민국의 경우는, 가장 나중에 전해진 서양문화가, 여러 이유로 현재적으로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서양문화의 주축세력인 기독교문화(基督敎文化)에 의해 기존의 민족문화는 자연스레 배척당한다. 이는, 어쩌면 부득이(不得已)의 부조리(不條理)다.
다만, 중국과 일본의 경우는, 기독교문화가 득세하지 못한 탓에, 그 영향이 크지 않으므로, 동이족 계열 북방(北方) 텡그리 샤머니즘에 기반을 두는, 도교(道敎)나 신도(神道)가 여전히 민족문화의 중심에 있다.
조선왕조(朝鮮王朝)에서 샤머니즘 전통은, 주로 유교(儒敎)의 조상신(祖上神) 숭배로써 유지된다. 그러나 그러한 측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경도한성부(京都漢城府) 조(條)에는, 다양한 신(神)에게 제사지내는 샤머니즘 전승에 대해,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우사단(雩祀壇, 기우제 지내는 곳)ㆍ동방 토룡단(東方土龍壇, 동쪽을 맡은 청룡에게 제사지내는 곳)ㆍ선농단(先農壇, ‘신농씨’ ‘후직씨’에게 풍년을 비는 곳)은 모두 흥인문(興仁門, 동대문) 밖 평촌(坪村, 강동구 강일동)에 있다.

-하략-

저자소개

지은이 탁양현


<인문학 여행자의 동아시아 여행기>
<그리스비극 철학사상>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들뢰즈 철학>
<데리다 철학>
<미국 철학>
<일본 철학>
<공자 철학>
<원효 철학>
<니체 철학>
<헤겔 철학>
<맑스 철학>

목차소개

목차


한국 민족종교 무교(巫敎)


1. 한국 민족종교 무교
2. 북방 샤머니즘, 무교, 도교, 신도
3. 고구려, 동맹(東盟, 동쪽 동굴에서 제사지내며 맹세함)
4. 동예, 무천(舞天, 하느님에게 제사지내며 춤을 춤)
5. 부여, 영고(迎鼓, 신을 맞으며 북을 두드림)
6. 텡그리(단군, 당골, 단골네)
7. 무속(巫俗), 무교(巫敎), 무(巫)
8. 강신무(降神巫)
9. 공수, 강신무의 신탁(神託, 신의 대답)
10. 신병(神病), 신당(神堂), 무의(巫儀)
11. 내림굿
12. 점(占), 고사(告祀), 굿
13. 세습무(世襲巫)
14. 제주도(濟州島) 무속(巫俗)
15. 김정(金淨), 제주풍토록(濟州風土錄)
16. 이형상(李衡祥), 남환박물(南宦博物)
17. 북방 유목문화 샤머니즘, 남방 해양문화 샤머니즘
18. 전라도 당골, 강원 경상도 별신굿, 서울 경기 화랭이, 제주도 심방
19. 세습무는 ‘신병, 공수, 점사, 예언, 신당’ 등이 없다
20. 옥황상제(玉皇上帝, 하느님, 옥황천존)
21. 옥황상제, 도참사상, 민중봉기
22. 강증산(무극대도), 조정산(태극도), 박한경(대순진리회)
23. 조왕신(?王神, 부뚜막 신, 부엌 신)
24. 부엌은 불, 음식, 난방 등을 주관하는 신성한 곳이다
25. 제주도 무속신화 ‘문전본풀이’ ‘차사본풀이’
26. 아키바 다카시, 아카마쓰 지조, 조선 무속 연구
27. 부엌은 ‘혼례, 상례, 출산’의 중요 장소이다
28. 성주신(城主神, 집 짓는 신, 집 지키는 신)
29. 홍석모(동국세시기), 난곡(무당내력)
30. 성주신가(城主神歌, 성주푸리)
31. 성주(城主), 대청(大廳), 마루, 마립간
32. 일월성신(日月星辰, 태양신 달신 별신)
33. 연오랑(延烏郞, 까마귀 남자), 세오녀(細烏女, 까마귀 여자)
34. 천일창(天日槍), 일본에서 건국한 신라 왕자
35. 일월신장(日月神將), 일월신앙(日月信仰)
36. 칠원성군(七元星君, 북두칠성 신)
37. 삼한(三韓) 소도(蘇塗, 솔대, 솟대)
38. 삼성각(三聖閣), 칠성각(七星閣), 산신각(山神閣)
39. 사해용왕(四海龍王), 요하문명 용봉문화(龍鳳文化)
40. 동해용왕 오광, 남해 오윤, 서해 오흠, 북해 오순
41. 교룡(蛟龍), 규룡(?龍), 이룡(?龍), 응룡(應龍)
42. 삼신상제(三神上帝, 삼신할매, 다산 출산 신), 산신(産神)
43. 당곰애기(당금애기) 설화
44. 삼신굿, 세존굿, 시준굿, 제석굿
45. 제석(帝釋, 인드라, 하느님), 환인(桓因)
46. 마고할미, 부도지(符都志), 표해록(漂海錄)
47. 환웅천왕(桓雄天王), 풍이족(風夷族)
48. 삼신할미(삼승할망), 저승할미(저승할망)
49. 가신신앙(家神信仰)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