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교유서가 첫단추 시리즈 38)

데미언 키온 | 교유 서가 | 2020년 05월 14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15,000원

전자책 정가 11,300원

판매가 11,300원

도서소개

열반은 개념이면서 경험이다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삶의 방식인가, 도덕적 규범인가?
불교라는 아름다운 지혜의 체계에 대한 명료한 입문서


2천여 년 전 인도에서 기원한 이래 불교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 데미언 키온은 불교 전통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오늘날의 형태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키온은 불교의 중심적 가르침들과 수행법들, 그리고 업과 윤회, 명상, 윤리와 같은 핵심 주제들을 설명하면서, 아시아와 서구에서 불교가 진화한 것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들, 물질문화의 중요성, 전쟁과 평화에 대한 윤리도 짚어본다. 이 책은 교리나 역사 서술에 그친 기존의 불교 입문서에 비해 불교의 다양한 측면을 압축적으로 다루면서 불교에 대한 극단적 호교론(護敎論)으로도 흐르지 않는 비판적·중도적 자세를 보여준다. 또한 불교에 대해 비교적 풍부한 정보를 치우침 없이 제시하는 한편, 불교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과 현대 사회의 여러 이슈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숙고할 수 있게 한다.

불교는 다양한 차원을 가진 종교다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종교이면서 철학인가? 혹은 종교도 아니고 철학도 아닌가? 이 책의 저자는 기존의 유신론적 종교 전통의 ‘신과의 합일’이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는 좀더 포용적인 비교종교학적 관점에 설 경우 불교를 ‘다양한 차원을 가진 종교’로 볼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그 안에는 철학적 요소가 분명히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한다. 저자는 이렇게 포괄적으로 정의된 종교로서의 불교에는 일곱 가지 차원, 즉 1) 실천적·의례적 차원, 2) 경험적·정서적 차원, 3) 서사적·신화적 차원, 4) 교리적·철학적 차원, 5) 윤리적·법제적 차원, 6) 사회적·제도적 차원, 7) 물질적 차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서 각각의 차원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교조’이자 역사적 인물로서의 붓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는데, 이는 서사적·신화적 차원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불교의 교리적·철학적 차원에 해당하는 업, 윤회, 사성제, 대승 등의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전근대 시기의 아시아 전역은 물론이고 현대 서구 사회에서 불교가 확산되는 과정을 다룬 제6장과 제9장을 통해 이 책이 ‘세계종교’로서의 불교의 다양한 측면까지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상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불교에서 명상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것이 다름 아닌 그가 명상중일 때였음을 상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사실상 불교의 모든 종파들은 명상을 깨달음을 위한 가장 확실한 길로 보며, 명상은 종교로서의 불교에서 ‘경험적’ 차원의 주요 부분을 구성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난 세기까지 명상은 비구와 비구니들에게만, 그것도 소수에게만 국한된 기교적 수행법이었다. 그렇다면 명상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저자는 명상을 ‘제어된 방식에 의해 유도되는 전환된 의식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거기에 특별히 신비스러운 것은 전혀 없고, 사람들은 살아서 깨어 있는 동안 자연스럽게 명상과 유사한 황홀경 같은 상태에 들었다 나오곤 한다. 깨어 있는 삶의 많은 부분에는 마음이 내면의 광경을 숙고하는 백일몽, 몽상, 그리고 환상들이 끼어든다. 이러한 상태들과 명상 간의 주된 차이점은 제어가 되는 정도, 그 경험의 깊이, 그리고 지속성에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러면서 명상의 목적은 ‘어딘가에’ 있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바로 여기에서 완전히 의식하고 깨어 있는 상태로 있으려는 것이라며 레이저 광선에 비유한다. “빛은 확산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힘이 없지만, 그것이 모아져서 집중될 때에는 쇠를 뚫을 수 있다. 또 빛보다 소리에 비유하자면, 명상의 목적은 마음의 ‘잡음(static)’을 제거하며, 정신의 힘을 산란시키는 마음의 ‘수다’를 줄이는 것이다.”

저자소개

지은이 데미언 키온(Damien Keown)
런던대학 골드스미스 칼리지의 불교윤리학 담당 명예교수이다. Journal of Buddhist Ethics의 발행을 주도한 공동 편집자이자 왕립아시아학회(Royal Asiatic Society)의 회원이다. 『불교윤리학Buddhist Ethics: A Very Short Introduction』(2005) 등 다수의 논저가 있다.

옮긴이 고승학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UCLA 동아시아 언어문화학과에서 이통현의 화엄사상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교수와 능인대학원대학 불교학과 교수를 거쳐 현재 금강대학교 불교인문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중국의 화엄사상가인 이통현 및 법장, 한국의 불교사상가인 원효 및 지눌 등에 대한 국문 및 영문 논문 10여 편을 발표하였고,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중 국문헌편』, Ilseung beopgye-do Wontong-gi: Master Gyunyeo’s Commentary on the Dharma Realm Diagram of the One Vehicle 등의 번역서를 출간하였다. 공저로 『마음과 철학(불교편): 붓다에서 성철까지』, 『테마 한국불교』 시리즈의 1~3편, 『다원주의의 철학적 관점』 등이 있다.

목차소개

책의 구성

지도
인용과 발음에 대한 일러두기

1. 불교 그리고 코끼리
2. 붓다
3. 업(業)과 윤회(輪廻)
4. 사성제(四聖諦)
5. 대승(大乘)
6. 불교의 확산
7. 명상
8. 윤리
9. 서구의 불교

감사의 말/ 연표/ 독서안내/ 역자 후기/ 도판 목록

출판사 서평

열반은 개념이면서 경험이다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삶의 방식인가, 도덕적 규범인가?
불교라는 아름다운 지혜의 체계에 대한 명료한 입문서


2천여 년 전 인도에서 기원한 이래 불교는 아시아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이 책에서 저자 데미언 키온은 불교 전통이 어떻게 시작되었고, 그것이 어떻게 오늘날의 형태로 전개되었는지를 살펴본다. 키온은 불교의 중심적 가르침들과 수행법들, 그리고 업과 윤회, 명상, 윤리와 같은 핵심 주제들을 설명하면서, 아시아와 서구에서 불교가 진화한 것과 관련된 새로운 사실들, 물질문화의 중요성, 전쟁과 평화에 대한 윤리도 짚어본다. 이 책은 교리나 역사 서술에 그친 기존의 불교 입문서에 비해 불교의 다양한 측면을 압축적으로 다루면서 불교에 대한 극단적 호교론(護敎論)으로도 흐르지 않는 비판적·중도적 자세를 보여준다. 또한 불교에 대해 비교적 풍부한 정보를 치우침 없이 제시하는 한편, 불교의 역사적·지역적 다양성과 현대 사회의 여러 이슈들과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숙고할 수 있게 한다.


불교는 다양한 차원을 가진 종교다

불교는 종교인가? 철학인가? 종교이면서 철학인가? 혹은 종교도 아니고 철학도 아닌가? 이 책의 저자는 기존의 유신론적 종교 전통의 ‘신과의 합일’이라는 틀에 얽매이지 않는 좀더 포용적인 비교종교학적 관점에 설 경우 불교를 ‘다양한 차원을 가진 종교’로 볼 수 있다고 전제하면서, 그 안에는 철학적 요소가 분명히 있음을 인정하는 태도를 취한다. 저자는 이렇게 포괄적으로 정의된 종교로서의 불교에는 일곱 가지 차원, 즉 1) 실천적·의례적 차원, 2) 경험적·정서적 차원, 3) 서사적·신화적 차원, 4) 교리적·철학적 차원, 5) 윤리적·법제적 차원, 6) 사회적·제도적 차원, 7) 물질적 차원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면서 각각의 차원에 대해 설명한다. 제2장에서는 ‘교조’이자 역사적 인물로서의 붓다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는데, 이는 서사적·신화적 차원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이어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불교의 교리적·철학적 차원에 해당하는 업, 윤회, 사성제, 대승 등의 개념을 설명한다. 또한 전근대 시기의 아시아 전역은 물론이고 현대 서구 사회에서 불교가 확산되는 과정을 다룬 제6장과 제9장을 통해 이 책이 ‘세계종교’로서의 불교의 다양한 측면까지도 포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승불교와 기독교의 몇 가지 유사점

대승(大乘)은 ‘큰 수레’를 뜻하며 구원을 위한 보편적인 길로 자처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 이 운동의 초기 형성기는 대략 기원전 100년에서 기원후 100년 사이다. 기독교와 불교 사이에서 어느 쪽이 다른 쪽에 영향을 주었는가에 대한 확고한 증거는 없지만, 이 책의 저자는 기독교와 대승불교 사이에는 주목하면 도움이 될 만한 몇 가지 유사점이 있다고 말한다. 먼저 구원자의 개념을 들 수 있다. 기독교가 다른 이들을 위한 기독교적 봉사의 모델로서 그리스도의 자기희생을 높이 사는 것처럼, 대승에서 최고의 이상은 세상의 행복을 위해 헌신하는 삶이다. 대승은 자기 자신의 구원을 추구하기보다는 다른 이들을 구원하기 위해 애쓸 것을 강조한다. 다른 이들에 대한 봉사라는 이상과 연결되는 것은 무아(無我, selfless)의 사랑이라는 개념이다. 예수는 그 가르침에서 사랑을 크게 부각시켰는데, 대승에서는 자비에 중심적 지위가 부여되었다. 보살로 하여금 스스로를 다른 이들을 위해 희생하도록 촉구하는 것은 그들의 고통에 대한 자비인 것이다. 저자는 이렇게 강조한다. “물론 보살은 그리스도가 그랬던 것처럼 다른 이들을 ‘대속(代贖)’할 수는 없다. 대신에 그는 여러 존재들에게 ‘좋은 친구[선지식善知識]’가 되기 위해 노력한다. 그는 모범이 됨으로써, 그들의 고통을 실용적인 방법으로 줄여줌으로써, 그들을 격려하고 도와줌으로써, 나아가 그들에게 해탈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줌으로써 그들을 돕는 것이다.”


명상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불교에서 명상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붓다가 깨달음을 얻은 것이 다름 아닌 그가 명상중일 때였음을 상기하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사실상 불교의 모든 종파들은 명상을 깨달음을 위한 가장 확실한 길로 보며, 명상은 종교로서의 불교에서 ‘경험적’ 차원의 주요 부분을 구성한다. 하지만 적어도 지난 세기까지 명상은 비구와 비구니들에게만, 그것도 소수에게만 국한된 기교적 수행법이었다. 그렇다면 명상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저자는 명상을 ‘제어된 방식에 의해 유도되는 전환된 의식의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거기에 특별히 신비스러운 것은 전혀 없고, 사람들은 살아서 깨어 있는 동안 자연스럽게 명상과 유사한 황홀경 같은 상태에 들었다 나오곤 한다. 깨어 있는 삶의 많은 부분에는 마음이 내면의 광경을 숙고하는 백일몽, 몽상, 그리고 환상들이 끼어든다. 이러한 상태들과 명상 간의 주된 차이점은 제어가 되는 정도, 그 경험의 깊이, 그리고 지속성에 있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그러면서 명상의 목적은 ‘어딘가에’ 있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바로 여기에서 완전히 의식하고 깨어 있는 상태로 있으려는 것이라며 레이저 광선에 비유한다. “빛은 확산될 때에는 상대적으로 힘이 없지만, 그것이 모아져서 집중될 때에는 쇠를 뚫을 수 있다. 또 빛보다 소리에 비유하자면, 명상의 목적은 마음의 ‘잡음(static)’을 제거하며, 정신의 힘을 산란시키는 마음의 ‘수다’를 줄이는 것이다.”


불살생 또는 생명의 불가침성의 윤리

불교 윤리의 초석은 생명의 불가침성(不可侵性)에 대한 믿음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자이나교 승려들은 의도치 않게 행위할 때조차도 곤충과 같은 작은 생명체를 해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했다. 그들의 실천은 불교에도 약간의 영향을 끼쳤는데, 불교 승려들은 마실 물에 들어 있는 작은 생명체를 파괴하는 일이 없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채를 사용하기도 했다. 그들은 또 비가 내린 뒤에 번식하게 되는 곤충들과 그 밖의 작은 생명체들을 밟는 일을 피하기 위해 우기에는 돌아다니는 것을 삼갔다. 어떤 불교 문화권에서는 농사짓는 일을 꺼렸는데, 땅을 갈면서 어쩔 수 없이 생명을 파괴하게 되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불교는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인도(그리고 인도-유럽)의 전통적 견해를 공유하고 있었지만, 생명의 파기(破棄)에 대해 그것이 고의에 의해서 또는 부주의 탓에 벌어진 경우에만 도덕적으로 잘못된 것으로 여겼다. 초기 자료들이 단지 외적 규칙을 따르는 데 그치기보다는 바른 성향과 습관을 닦음으로써 내면화되고 바르게 통합된 믿음이나 가치관이 도덕적 행동으로 자연스럽고도 자발적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함을 강조한다고 저자는 말한다.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