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영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소르본(파리4)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사, 석사, DEA를 받았다. 파리 팡테옹소르본(파리1)에서 〈Subjectivit et individualit chez Descartes〉(2009)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학교와 한성대학교에서 강의를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서양근대미학》(공저, 2012)이 있다. 이 외에 지은 논문으로 〈데카르트철학 체계에서 ‘정념’의 지위〉(2009),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2011), 〈데카르트에서 영혼과 몸의 결합과 그 현상으로서의 정념: 지각, 감정, 동요〉(2012), 〈데카르트의 신주체 안에 있는 신〉(2012) 등이 있다.
옮긴이의 말
서문
1부. 정념 일반과 부수적으로 인간 본성 전체에 대해
2부. 정념의 수와 순서에 대해. 그리고 기본적 정념 여섯 가지에 대한 설명
3부. 특수한 정념들에 대해
해제
참고 문헌
인간의 감정과 이성의 화합을 통해 도덕적 주체의 본성을 규정한
데카르트 최후의 저작이 완역되다!
인간의 감정에 대한 철학적이자 과학적인 탐구
일찍이 데카르트의 주요 텍스트인《방법서설》과 《성찰》의 번역서를 펴내 국내 데카르트 연구자들에게 그동안 큰 도움을 주었던 문예출판사에서 이번에는 데카르트 말년의 저작인《정념론》(원제: 영혼의 정념들)까지 출간하면서 데카르트의 전 사상을 아우를 수 있는 도서 목록을 갖추게 되었다. 《방법서설》과 《성찰》은 각기 서울대와 연세대의 권장도서로 추천되고 대학 논술 문제의 텍스트로 사용될 만큼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사유의 힘을 늘리는 데 도움을 주는 저서라고 할 수 있다. 《방법서설》은 진리에 도달하기 위해 이성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탐구하며, 《성찰》은 이러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의심할 수 없는 인식의 확실성에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성찰》에 담긴 데카르트의 그 유명한 명제 “나는 사유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이러한 방법적 회의의 극단에서 도출된 가장 명석 판명한 진리다.
이처럼 이성, 사유, 인식과 같은 정신적 원리를 탐구했던 앞의 두 저서와는 달리 《정념론》은 데카르트가 관심을 두지 않았을 법한 인간의 감정을 다루고 있다. 게다가 데카르트가 일평생 학문의 과정에서 고수했던 이원론적 입장, 즉 몸과 영혼을 독립된 실체로서 보는 관점이 이 저서에서는 몸과 영혼의 화합이라는 관점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데카르트의 학문적 전제가 바뀐 것은 데카르트를 사숙했던 보헤미아의 왕녀 엘리자베스가 던진 단 하나의 질문 때문이었다. ??생각하는 실체인 인간의 영혼이 어떻게 몸의 정기들을 결정할 수 있는 것입니까? 가르쳐주시기 바랍니다??하는 질문에 데카르트는 몸과 영혼의 화합에 의해 발생하는 것, 다시 말해 몸을 원인으로 하지만 영혼 안에서 야기되는 정념(情念, Passion)에 대한 고찰로 그의 말년을 채우게 된 것이다. 이러한 고찰이 그가 죽기 전 최후로 남긴 저작인 《정념론》에 담겨 있다.
데카르트 도덕률의 완성
영혼과 신체를 극단적으로 분리하는 근대적인 사유는 현대에 접어들어 인간 본성을 설명하기에는 한계를 드러낸다. 또한 역사 속에서 나타난 인간의 야만성과 부도덕함을 보았을 때 데카르트가 주장한 것처럼 인간 이성의 절대성을 인정할 수도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데카르트철학에서 발견할 수 있는 현대성은 무엇일까? 바로 그 해답을 《정념론》에서 찾을 수 있다. 이 저서는 영혼에 덮쳐오는 인간의 감정을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관찰을 통해 밝혀내며, 그 주요 감정을 경이, 사랑, 미움, 욕망, 기쁨, 슬픔으로 요약한 뒤, 질투, 존경, 수치, 경멸과 같이 이로 인해 파생되는 특수한 감정들을 규정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념들에 수동적으로 지배받지 않고 감정을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은 몸이 아닌 영혼에만 연관되는 자유의지를 완벽하게 사용할 수 있는 사람, 그로써 우리가 덕이라 부르는 것을 따르는 사람이다. 데카르트는 이런 사람이 가지고 있는 정념을 관대함이라 지칭하며 이 같은 사람을 스스로 존경해도 마땅한 사람이라 판단한다. 요컨대 그는 인간의 감정과 이성의 화합을 통해 도덕적 주체의 본성을 규정함으로써, 이성에 대한 절대적인 우위를 전제로 삼았던 자신의 철학이 지닌 한계를 극복한 것이다.
실제로 데카르트는 그의 철학 한 평생에 있어 도덕, 아름다움, 종교와 같이 인간의 감정적 영역과 결부된 학문을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데카르트 스스로는 굉장히 도덕적이고 건전한 감정을 지니고 삶을 이끌어갔던 사람이다. 그는 1645년 5월경 엘리자베스 왕녀에게 보낸 편지에서 “내게 닥쳐오는 일들을 비스듬히 봄으로써 그것들이 나에게 가장 흡족한 것이라고 여기며, 또 내 으뜸가는 만족은 나 자신에게 달렸다는 생각을 늘 가진 것이 타고난 듯싶었던 이 병약함의 상태를 물러가게 한 원인이라고 나는 믿습니다”라고 회고한다. 선천적으로 몸이 약했던 데카르트는 이처럼 일생을 살아가며 닥쳐올 수 있는 불안전한 감정과 불행한 일들을 신중히 물리치고 자신이 처한 현실 속에서 가장 적합한 결단을 내리도록 스스로에게 도덕적인 강령을 내린 사려 깊은 사람이었다. 《정념론》은 이런 데카르트 스스로가 지녔던 도덕률이 어떻게 도출되었으며, 그것을 삶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를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