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 사전에서 뿌리말/낱말 난의 순서는 닿소리는 ㄱ, ㄲ, ㄱㅎ, ㄴ, ㄷ, ㄸ, ㄹ, ㄺ, ㄹㅎ, ㅁ, ㅂ, ㅳ, ㅃ, ㅄ, ㅴ, ㅵ, ㅶ, ㅸ, ㅿ, ㅅ, ㅼ, ㅽ, ㅆ, ㅇ, ㆁ, ㅈ, ㅉ, ㅊ, ㅋ, ㅌ, ㅍ, ㆄ, ㅎ, ㆅ의 순서를, 홀소리는 ㆍ,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의 순서를 따랐다.
한편, 닿소리에서 뿌리말의 앞부분이 불특정일 경우엔 ‘-’로 표시하고 ‘-’ 다음의 글자 뒤에 배열하였다. 보기를 들건대, 뿌리말 ‘-ㅂ’은 ‘ㅂ’ 다음에 배열하고, ‘-ㅂㆍ다’는 ‘ㅂㆍ’ 다음에 배열한다.
2. 뿌리말/낱말 난에서 뿌리말이 같은 꼴을 띠더라도 그것들이 가리키는 뜻이 다르면, 뿌리말의 오른쪽 위에 번호를 부쳐 위첨자로 처리하였다. 보기를 들면, ‘크다, 많다’는 뜻의 ‘?1’과 ‘움직여 옮김’을 뜻하는 ‘?2’는 위첨자를 덧붙여 다른 항목의 뿌리말로 정리한 것이다.
3. 뿌리말/낱말 난에서 같은 꼴의 낱말이 둘 이상 되는 때에는 순우리말, 한자말, 일본말, 기타 외국말의 순서를 따랐고, 순우리말이 둘 이상일 경우 그 뜻을 구별할 수 있도록 낱말 뒤 모난 괄호 안에 그 뜻을 밝힐 수 있는 낱말이나, 그 뜻을 나타내는 한자를 제시하였다. 보기를 들건대, 이르다[말], 이르다[?]의 순서이다.
4. 이 사전에서 같은 무리의 말들의 순서는 뿌리말에서 파생되는 순서에 따라 배열하였다. 보기를 들자면, ‘?’을 뿌리말로 하는 경우, 같은 무리의 말들은 ‘?>닫(달)>다’의 순서대로 변화하였으므로, ‘닫(달), 다’의 순서로 배열하고, 뜻풀이에서 제시되는 낱말들 역시 이 순서에 따라 ‘닫다, 내닫다, 치닫다, 달(dal), 달리기, 다니다’의 순서로 배열한다. 또 다른 보기를 들자면, ‘신(神)’, ‘무당’, ‘임금’, ‘우두머리’, ‘높다’를 뜻하는 ‘?’을 뿌리말로 하는 경우, 이 무리의 말들은 ① ‘?>?/?’의 변화를 통해 ‘갇, 갓, 곧(?, 굳, 굿, O, ?, ァ, ② ‘?>?>??’의 변화를 통해 ‘거서, 거세, 거수, 게세(케세), 구사, 코시, 크시’, ③ ‘?>?>?’의 변화를 통해 ‘갈’, ④ 그리고 ‘?>?’의 변화를 통해 ‘가, 꺼’ 따위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들 변화를 기준으로 삼아 네 개의 범주로 나누고, 뜻풀이에서 제시하는 낱말들의 순서를 정하였다. 곧, 뜻풀이에서 제시되는 낱말들은 범주별로 이들 순서에 따라 ① ‘갇(god), 갓[笠], 가사(kasa), 가시라(kasira), 비라코차, 굳(Gud), 파차구티(Pachacuti), 굿, ?(cat), 케디(kedi)’, ② ‘거서간(居?干), 거세, 박혁거세(朴赫居世), 거수(渠首, 渠帥, 渠率), 거수(巨帥), 게세간(케세칸, 게세르칸), 구사, 코시군(qoshigun), 크시(ksi)’, ③ ‘대갈통, 대가리’, ④ ‘가(加), 고추가(古鄒加/古雛加), 대가(大加), 마가(馬加), 상가(相加), 거발환(居發桓), 꺼[兄], 따꺼[兄]’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5. 뜻풀이에서 똑같은 낱말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순 우리말, 한자로 표기되는 말, 일본말, 외국말의 순서를 따라 배열하였다. 보기를 들건대, ‘닭, 닭(da?)’의 순서이다.
6. 뜻풀이에서 제시되는 낱말들 가운데 한자말인 경우에는 우리말 다음에 부드러운 괄호를 넣어 한자를 표기하였으며, 순 우리말로서 한자와 음이 다른 때에는, 곧, 뜻만을 나타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모난 괄호 속에 [漢字]처럼 표기하였으며, 순 우리말, 한자말의 순서로 배열하였다. 보기를 들자면, ‘달, 달[鷄], 달[羊], 달[月]’의 순서를 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