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청춘 파독 1세대, 디아스포라의 삶을 살다”
독일은 2차 대전을 겪은 후 폐허가 된 나라의 사회기반시설을 메워 줄 노동력이 필요했다. 그 시대 한국인의 독일 이주는 취업이민의 성격을 띠고 있다.
파독 광부와 간호사의 독일 유입도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맞물려 이주가 가능했다. 1963년 파독광부 1차 파견을 시작으로, 1966년 파독 간호사의 1차 입국과 함께 1977년까지 독일에 온 한인 근로자는 대략 1만 8천여 명으로 추산되었다. 이들 중 3분의 1은 귀국, 3분의 1은 미국이나 케나다 등 제3국으로 2차 이주를 했고 나머지만 독일에 잔류하게 되었다. 독일에 거주한 한인들은 성실하고 강한 인상으로 이국땅에 뿌리내릴 수 있었고 한국의 세계화에 교두보 역할을 했다.
한인들의 독일 정착에 가장 큰 역할을 한 것은 교회다. 한인교회 역사는 파독광부와 간호사의 역사이기도 하다. 그들은 원래 3년 계약직으로 돌아갈 위기에 처해 있었지만 서명운동과 집회를 통해 법적으로 장기체류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활동의 저변에는 한인교회가 있었다. 따라서 독일 내 한인사회의 토대가 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독일의 초창기 한인 공동체는 파독 1세대들이 모인 교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태동했다. 파독 1세대 중 신앙을 가진 파독인 들은 먼 이국 땅 자신이 선 자리에서 견디어 낼 근간으로 소망 위에 십자가를 굳게 세웠다. 그들은 자신의 십자가를 부여잡고 고통과 설움의 시간을 이겨냈다. 기도는 그들을 치유하고, 강물이 되어 동토의 땅 독일을 녹였다.
파독 1세대가 우리에게 남긴 흔적들과 디아스포라의 헌신적인 삶의 역사는 나약하지만 쓰임에 있어서는 강하게 역사하신 십자가의 사랑과 하나님의 동행이 있었고 그것은 독일통일을 이끌어낸 담금질이 되었다.
“디아스포라, 그 삶의 흔적을 헌정하며......”
대한민국 경제 건설의 방점을 찍었던 파독인 들의 역사는 올해로 반세기를 맞았다. 불꽃처럼 치열하게 살다간 그들의 역사와 흔적은 시온성을 잃은 이스라엘 민족이 바빌론의 강가에서 눈물지었던 것처럼 회한의 조국을 그리워하며 가슴에 담았고 고국을 향해 두 손을 모았고, 소망을 품었다.
이 책은 2018년 1월부터 국민일보에 진행된 한인 디아스포라의 삶과 간증을 게재했던 칼럼과 함께 파독1세대의 디아스포라의 삶과 그들의 사랑, 이별, 일, 가족 등 평범한 일상 속에 하나님이 어떻게 동행하셨는지를 보여주며 그들의 생생한 삶의 흔적들과 신앙고백들로 구성되어있다.
저자는 파독 1세대 중 22명의 만남과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어떻게 본토 아비집을 떠나 이방인으로서 그 어려움과 고통 속에서 살아왔는지, 어떤 능력으로 사명과 복음을 전하며 목적이 이끄는 삶을 살았는지를, 그들이 남겨놓은 삶의 흔적들을 하나하나 들여다보며 희망의 메시지를 기록해 나가기 시작했다.
그러면서 저자는 이렇게 고백한다. “불꽃으로 치열하게 살다간 그들의 역사를, 부족하고 초라한 질그릇에 담는 것은 버거웠으며, 하나님의 은혜가 절실했고, 하나님은 그들을 직접 만나셨고, 단지 그의 심부름꾼으로 그 흔적들을 받아 적기 시작했다”며 이 글을 기록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또한 파독 근로자, 간호사로 와서 독일에서 생을 마감한 이들의 삶을 들여다보면서 그들 모두 자신만의 흔적을 기지고 있으며, 그들의 삶 속에서 무엇이 다시 꽁꽁 언 얼음이었고, 또 무엇이 흔적을 아물게 했는지 궁금했으며, 그 흔적의 지우개는 오직 한 분만이 줄 수 있는 십자가의 사랑이었으며 기적이었음을 알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세계는 한인 디아스포라 시대이다. 하나님은 디아스포라의 삶을 통해 전도의 열매를 맺게 하시며 그들의 희생과 헌신이 남긴 흔적은 곧 복음의 역사로 다가올 것이라 믿으며 저자는 이 글을 디아스포라의 삶의 흔적을 남긴 그들에게 헌정하기를 기도하며 마무리 했다.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로 많은 사람들이 전염되거나 사망에 이르기까지 한다. 각 나라마다 전염병을 막기 위해 의사와 간호사들의 헌신과 다양한 방법과 치료제를 개발하며 연구하고 있다. 이럴 때 일수록 교회가 어떤 모습으로 헌신과 희생으로 십자가의 사랑을 실천해야 하는지를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