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화폐 연혁

유자후 | 온이퍼브 | 2020년 11월 11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9,000원

판매가 9,000원

도서소개

우리 동방에 화폐 중심작용의 장구(長久)한 역사를 가져 사용한 것은 요컨대 곡포(?布)의 양폐(兩幣)이다. 아마 단군기자 이하 조선 말엽에서 초기까지 사용되었을 것이다. 자모전이라는 것이 일종의 전(錢) 이름인지 자전이나 모전(子錢母錢) 두 종류의 합칭인지는 전사(傳史)의 기록이 결(缺)하여 알 수 없으나 안상(按想)(생각)해 보면 일종의 전(錢) 이름이 아니라 자전·모전(子錢母錢)에 두 종류에 합칭으로 인식된다. 즉 자전(子錢)은 소전(小錢)을 지칭함이요 모전(母錢)은 대전(大錢)을 지칭함이 이치에 당연하다 하겠다.
화폐(幣)가 경(輕)(가벼움)하여 물건이?귀함을 말함이요 중(重)(무거움)을 줄이지 못한다 함은 화폐(幣)는 무겁고 물건이?경(輕)(가벼움)해지는?것을 말한 것이라 하였다. 또 전(錢)을 옛사람들이 천(泉)이라 하다가 나중에는 전(錢)이라 하고 중(重)한 것을 모(母), 경(輕)한 것을 자(子)라고 하였다.
이수광(李?光)은 조선통보(朝鮮通寶)를 국초(國初)(조선)에 주조(鑄造)한 것이라 하나 어떠한 문적(文籍)이 또한 없다고 하였다. 그러면 기왕(箕王) 시전(時錢)도 아니며 조선 초전(初錢)도 아니며 어느 시대의 전(錢)인지 알 수 없다고 기록하였다. 장지연(張志淵) 선생은 철화(鐵貨)를 주조하였다고?운운하여 이는 철전(鐵錢)의 시작이라 하였다.
성종(成宗) 15년 4월(996)에 비로소 철전(鐵錢)을 쓰다. 이 기록은 각 역사의 공통기록이다. 이 기록을 보면 고려에서 성종 15년 이전에는 전(錢)의 존재가 없었고 15년에 비로소 철전(鐵錢)이 주출(鑄出)된 것 같다. 이후에 전폐(錢幣)가 행하였다 하여야 하겠는데 기실은 이 성종(成宗) 15년 이전에 전폐(錢幣)의 상용이 있었다.<본문 중에서>

저자소개

*유자후(柳子厚)(1895~?) 호 송주(松洲)
한학자
서울 출생
1942년 ‘율곡이이 선생의 임오사대선언(壬午四大宣言)’ 출간
월간지 조선교육 ‘율곡이이선생 대유모(大遺謨)’ 논문 발표
6·25때 납북
저서 《조선화폐고》《율곡선생전》《해아밀사(海牙密使)》 등

목차소개

머리말
제1장 국호(國號)의 약의(略義)
제2장 신시시대(神市時代)의 화폐제도
제3장 단군 시대의 화폐제도
제4장 후조선 태조 문성왕(文聖王) 기자시대 곡폐(穀幣)
제5장 곡폐(穀幣)화폐에 대한 일단
제6장 기자조선 흥평왕 시대의 전폐자모전(錢弊子母錢)
제7장 삼한 시대의 전폐(錢幣)
제8장 동옥저 시대 금은무문전(金銀無文錢)의 두 가지 종류
제9장 삼국 시대
제1절 신라 시대의 폐제(幣制)
제2절 신라 여자의 사용 화폐와 물가결정권
제3절 율곡(栗穀)에 대하여
제4절 포백(布帛)

제10장 고구려와 백제의 사용 화폐
제11장 고려 시대 화폐제도
제1절 고려 역대 화폐제도
제2절 고려 정종(定宗) 때의 은폐(銀幣)·기폐(器幣)·금폐(錦幣)·견폐(絹幣)
제3절 중보(重?)와 통보(通寶)설에 대하여
제4절 고려 시전(市廛)
제5절 고려 병폐(?幣)
제6절 고려 은전(銀錢)
제7절 고려 주전도감(鑄錢都監)
제8절 고려의약과 행전(?錢)관계
제9절 숭녕(崇寧) 후 배우기 시작한 고주설(?鑄說) 논박
제10절 방사량(房士良) 상소
제11절 목면포(木棉布) 원료에 대한 이퇴계설
제12절 엽전 천승설(穿繩說)에 대하여제13절 정몽주 선생과 화폐

제12장 조선 시대
제1절 태조 이성계 시대
제2절 정종대왕 시대
제3절 태종대왕 시대
제4절 세종대왕 시대
제5절 세조대왕 시대
제6절 명종 시대 전폐(錢幣)

제13장 조선 중기
제1절 선조(宣祖) 시대 화폐
제2절 인조(仁祖) 대왕 시대
제3절 인조 시대의 동국통보(東國通?)
제4절 인조 시대 호조판서
제5절 인조 시대 팔분서(八分書) 조선통보
제6절 인조대왕 시대 상평청(常平廳)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