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무상지혜로 통하는 방편의 문
이 책의 구성제1장 서론 | 「금강경」의 문을 두드리다
1. 경전 명칭 분석 | 「금강반야바라밀경」
2. 「금강경」은 주로 무엇을 설하는가 | 중생에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라고 권하다
3. 수행하여 성불하기 위한 출발점 | ‘마음’의 문제를 해결하다
4. 수행과 원만 | 「금강경」에 나타난 인생관
5. 부처님 안목으로 본 세간 | 「금강경」과 세속 세계
6. 중국에서 번역된 「금강경」 | 불교문화의 중요한 변천
7. 최초의 역경가 | 삼장법사 구마라집
8. 황권의 공덕 | 제왕과 「금강경」
9. 민간 주소의 역량 | 중국문화에 깊이 들어가다
10. 「금강경」과 선종 | 혜능에게서 「단경」의 현세를 깨닫다
제2장 개막 | 설법이 시작되다
본 장의 경전 풀이
1. 증신으로부터 도입을 시작하다 | 부처님 설법의 연기를 알 수 있는 단서
2. 「금강경」 서곡 | 부처님의 일상의 평범함과 장엄함
3. 부처님 주변의 승려 집단 | 1,250명 대비구들의 단체 수행
4. 걸식과 구걸 | 불가의 걸식제도
5. 말 없는 반야 | 부처님의 교육 수단을 해부하다
6. 부처님의 일거수일투족은 좋은 귀감이다 | 가장 평범한 곳에서부터 시작하다
7. 수행과 입세 | 불법은 세간을 떠나지 않는다
8. 선정의 묘한 작용 | 일념으로 선정에 드는 반야의 삶
9. 돈오와 점수 | 불법 수행의 양 날개
제3장 성불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할 길 | 바른 앎, 바른 견해, 바른 믿음
본 장의 경전 풀이
1. ‘해공’한 사람은 현묘한 이치를 간파한다 | 수보리의 청법
2. 성불의 마음 |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다
3. 소승과 대승 | 중생 제도와 자기 제도
4. 마음으로 깨달음과 말로 전함 | 문답 사이의 미묘함
5. 진심을 보호하고 머무는 첫걸음 | 중생을 제도하여 사상에서 벗어나다
6. 중생 해탈의 서로 다른 경계 | 무여열반과 유여열반
7. 보살이 되는 비결 |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다
8. 한없이 넓고 큰 보시 | “동쪽의 허공”처럼 헤아릴 수 없다
9. 불법을 구하는 것과 우상을 숭배하는 것 | 진불은 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10. 성불의 자량 | 복혜쌍수를 하나로 하여 깨닫다
제4장 일념에서 신심이 생기다 | 반야로 통하는 비결
본 장의 경전 풀이
1. 부처님을 믿으면 반드시 정신해야 한다 | 진실한 신심은 올바른 지견에서 비롯된다
2. 사람은 모두 미래의 부처 | 중생의 불성은 평등하다
3. 다섯 번의 5백 년 | 불교의 운세가 증감하는 역사관
4. 계율을 지키고 복을 지음 | 참다운 믿음이 일어나는 토대
5. 한 생각에 청정한 마음이 일어남 | 신심과 돈오
6. 커다란 얻음은 얻은 바가 없음이다 | 반야의 성품은 본래 빈 것
7. 피안에 오르면 배가 필요 없다 | 도구에 대하여 맹신하지 말 것
8. 성현의 분별 | 모든 무위와 인과
9. 복덕의 성본은 공 | 재시와 법시의 교량
10. 반야와 방편 | 일체제불이 모두 이 경으로부터 출현하다
제5장 하나하나 세밀하게 묻다 | 이해해야 비로소 참답게 신앙할 수 있다
본 장의 경전 풀이
1. 소승 사성과 | 수행하는 과정 가운데 버림과 얻음
2. 수보리의 과위 | 이욕제일 아라한
3. 장엄정토 | 마음이 맑고 깨끗해야 비로소 참다운 청정
4. 마음이 맑고 깨끗해야 비로소 도이다 | 마음이 어디에도 머무르지 않으면 청정함이 생한다
5. 몸은 수미산왕과 같다 | 과위를 닦더라도 그것에 머물지 않는다
6. 얼마나 많은가 | 복덕을 다시 생각하여 헤아리다
7. 경전을 수지함은 곧 불법을 구하는 것 | 「금강경」의 지위
8. ‘금강’의 최고의 여의 | 경명의 연유
9. 득의하면 망명 | 명상은 진상이 아니다
10. 법신과 보신 | 여래의 32상
11. 지혜로운 눈으로 경전을 인식하다 | 제일희유
12. 맑고 깨끗함이 곧 도이다 | 신심과 공덕
13. 제일 희유한 사람 | 육조 혜능
14. 제일바라밀 | 가장 뛰어난 바라밀, ‘반야’
15. 공덕을 다시 비교하다 | 신보시와 법보시
16. 대승은 소법을 즐기지 않는다 | 위대한 보살의 사업
17. 인욕바라밀 | 이상이 견고하면 안인할 수 있다
18. 보살의 경계 | 이일체상
19. 여래의 신서 | 틀림없는 진실
20. 불씨의 힘 | 불법 부흥의 희망
제6장 통달해야 비로소 무루이다 | 수행의 진제
본 장의 경전 풀이
1. 보살의 청정한 마음 | 실로 법이 없는 마음을 내다
2. 가장 벗어나기 어려운 ‘나’ | 대승 수행의 주요 노선
3. 부처님은 얻은 바가 없다 | 불법은 실제도 없으며 빈 것도 없다
4. 진정한 보살 | 일체의 성현은 무아를 통달했다
5. 부처님의 오안신통 | 불안은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본다6. 통달하려면 마음을 통해야 한다 | ‘마음’의 상대론
7. 복보의 인연 | 얻음이 없어야 비로소 얻는다
8. 여래는 어디로부터 왔는가? | 불법을 구하는 것은 자기를 구하는 것보다 못하다
9. 꽃을 들어 중생에게 보인 묘한 법 | 말하지 않고도 말하는 법
10. 불법과 수행의 관계 | 언덕에 오르면 뗏목을 버려라
제7장 참된 앎을 실천하여 증득하다 | 증오는 진리와의 결합
본 장의 경전 풀이
1. 성인과 범부는 차별이 없다 | 중생은 모두 성불의 근기가 있다
2. 의지할 수 없는 신상 | 관불과 견성
3. 한쪽에 편집되지 말라 | 불법은 끊임이 없고 멸함이 없다
4. 탐하지 않아야 비로소 한량없는 것이다 | 보살이 복을 닦음은 자신을 위하지 않는다
5. 무엇을 “여래”라고 하는가? | 진리는 오는 바가 없다
6. 시공을 초월한 ‘일합상’ | 미진 속에서 대천을 보다
7. 불법에 대한 이해로부터 이야기하다 | 부처님의 진실한 의도
8. 육여의 비유 | 모든 유위는 얻은 바가 없다9. 대환희의 결말 | 금강법회는 원만하였다
부록
1. 원위 삼장 보리유지 역, 「금강반야바라밀경」
2. 진 천축 삼장 진제 역, 「금강반야바라밀경」
3. 수 삼장 급다 역, 「금강능단반야바라밀경」4. 당 현장 역,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5. 당 의정 역, 「불설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
6. 「금강반야바라밀다경미륵보살게송」
7. 「양조부대사송금강경」
8. 역대 「금강경」 논, 주 등 중요한 문헌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