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주(鄭夢周) 포은집(圃隱集)

정몽주 | e퍼플 | 2021년 03월 18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 정몽주(鄭夢周) 포은집(圃隱集)


왕씨고려(王氏高麗) 마지막 성리학자(性理學者)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정몽주(鄭夢周, 1337~1392)는, 원(元, 1271~1368)나라가 망하고, 명(明, 1368~1644)나라가 새로이 패권국(覇權國)으로 등장하는 시절을 살아냈다.
국제정세(國際情勢)에 밝은 외교가(外交家)였던 정몽주는, 응당(應當) 새로이 부상(浮上)하는 친명파(親明派)에 속했다.
역대(歷代)로 국제정치(國際政治)의 지정학적(地政學的) 요충지(要衝地)인 한반도(韓半島)에 건국(建國)한 국가(國家)들은, 국제정세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왕씨고려(王氏高麗) 정몽주(鄭夢周)의 시대에는, 원나라와 명나라가 패권경쟁(覇權競爭)을 하였다. 그런 국제정치(國際政治)의 영향 탓에, 국내정치(國內政治)는 친원파(親元派)와 친명파(親明派)가 첨예(尖銳)하게 대척(對蹠)하였다.
이후 이씨조선(李氏朝鮮)에서도 유사한 국제정치적 상황이 되풀이된다. 명(明, 1368~1644)나라와 청(淸, 1616~1912)나라의 패권경쟁(覇權競爭)이 발생한 것이다. 이 시절에도 친명파(親明派)와 친청파(親淸派)는 여실히 대립했다.
이씨조선(李氏朝鮮)이 멸망(滅亡)할 즈음, 세계(世界)는 이미 글로벌한 지구(地球) 공동체(共同體)를 경영하는 시대였다.
아편전쟁(阿片戰爭)으로써, 동양문명(東洋文明)과 서양문명(西洋文明)의 승패(勝敗)는 결정되었다. 서양문명의 완벽한 승리(勝利)였다.
21세기에도 패권경쟁은 여전히 되풀이되고 있다. 서양문명을 대표하는 미국(美國)과 동양문명을 대표하는 중국(中國)의 패권경쟁이다.
이러한 국제정치의 영향으로, 국내정치에서 친미파(親美派)와 친중파(親中派)의 대립은 작동(作動)한다.
왕씨고려(王氏高麗)에서 친원파(親元派)와 친명파(親明派)의 대립, 이씨조선(李氏朝鮮)에서 친명파(親明派)와 친청파(親淸派)의 대립, 대한민국(大韓民國)에 친중파(親中派)와 친미파(親美派)의 대립, 이런 유사한 상황의 되풀이가 곧 역사(歷史)이다.

-하략-

저자소개

엮은이 탁양현

≪인문학 여행자의 동아시아 여행기≫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니체 철학≫

목차소개

▣ 목차





◈ 정몽주(鄭夢周) 포은집(圃隱集)
왕씨고려(王氏高麗) 마지막 성리학자(性理學者)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1. 권채(權採)의 서문, 포은선생시권서(圃隱先生詩卷序)
2. 노수신(盧守愼)의 서문, 포은선생시집서(圃隱先生詩集序)
3. 변계량(卞季良)의 서문, 포은선생시고서(圃隱先生詩藁序)
4. 하륜(河崙)의 서문, 포은선생시권서(圃隱先生詩卷序)
5. 박신(朴信)의 서문, 포은선생시권서(圃隱先生詩卷序)
6. 왜구(倭寇)를 방어하려고 김해산성(金海山城)을 쌓은 박후(朴侯),
김해산성기(金海山城記)
7. 멸망(滅亡)하는 원(元)나라와 부흥(復興)하는 명(明)나라,
청물영원사소(請勿迎元使疏)
8. 원증국사(圓?國師) 어록(語錄)에 발문(跋文)을 쓰다,
제원증국사어록(題圓?國師語錄)
9. 둔촌(遁村) 이집(李集)에게 보낸 4편의 답장(答狀),
답둔촌서사(答遁村書四)
10. 이색(李穡)이 강남기행시고(江南紀?詩藁)의 발문(跋文)을 쓰다,
서강남기행시고후(書江南紀?詩藁後)
11. 이색(李穡)이 포은(圃隱)이라는 재실(齋室) 이름에 대해 쓰다,
포은재기(圃隱齋記)
12. 이숭인(李崇仁)이 시집(詩集) 서문(序文)을 쓰다,
송정달가봉사일본시서(送鄭達可奉使日本詩序)
13. 정몽주(鄭夢周) 피살(被殺) 사건(事件),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4. 권근(權近)이 정몽주(鄭夢周)의 추증(追贈)을 건의(建議)하다, 상서(上書)
15. 장현광(張顯光)이 임고서원(臨皐書院) 상량문(上樑文)을 쓰다,
임고서원묘우상량문(臨皐書院廟宇上樑文)
16.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전기(傳記), 포은선생본전(圃隱先生本傳)
17. 함부림(咸傅霖)이 지은 정몽주(鄭夢周) 일대기(一代記), 행장(?狀)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