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 이곡(李穀) 가정집(稼亭集)
고려말(高麗末) 원(元)나라 유학파(遊學派) 석학(碩學) 이곡(李穀)
1. 정치(政治)란 무엇인가, 원수한(原水旱)
2. 충효(忠孝)는 시의적절(時宜適切)해야 한다, 조포충효론(趙苞忠孝論)
3. 계집종 간통(姦通) 무고(誣告) 사건, 석의(釋疑)
4. 결혼(結婚)한 여자(女子)의 도리(道理), 절부조씨전(節婦曺氏傅)
5. 홍범구주(洪範九疇) 식화(息化)와 중국(中國) 형법(刑法), 책문(策問)
6. 알코올중독이 되어버린 죽씨(?氏) 부인(婦人), 죽부인전(?夫人傳)
7. 재수가 좋아서 천자(天子)가 된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 배갱설(杯羹說)
8. 임금의 권력은 백성으로부터 잠시 빌린 것이다, 차마설(借馬說)
9. 임금을 교육하는 제왕학(帝王學), 사설(師說)
10. 신하(臣下)의 도리(道理), 신설(臣說)
11. 천지만물(天地萬物)에 이름이 붙여지는 까닭, 내옹설(乃翁說)
12. 여자를 사고파는 여사(女肆)와 법규를 농락하는 이사(吏肆)와
사람을 사고파는 인사(人肆), 시사설(市肆說)
13. 순(舜)임금과 도척(盜?)의 부지런함은 다르다, 제근설후(題勤說後)
14. 인맥(人脈)이 있어야 출세(出世)할 수 있다,
여동년조중서최헌납서(與同年趙中書崔?納書)
15. 고려(高麗)의 어린 여자아이들이 원(元)나라로 끌려가는 상황에 관하여,
대언관청파취동녀서(代?官請罷取童女書)
16. 재물(財物)이 능력(能力)이고 권세(權勢)가 지혜(智慧)라고 한다,
우본국재상서(寓本國宰相書)
17. 나를 선발(選拔)해 주세요, 상정당계(上政堂啓)
18. 존경스런 불교(佛敎) 승려(僧侶)를 전송하며, 송수정장로서(送水精長老序)
19. 북쪽 중국(中國)에서 유학(遊學)하는 까닭,
송김동년동양유상국서(送金同年東陽遊上國序)
20. 능력(能力)과 공적(功績)에 관하여, 응거시책(應擧試策)
21. 경제(經濟)와 인구(人?)에 관하여, 향시책(鄕試策)
22. 황(皇)과 제(帝)와 왕(王)과 패(覇)의 차이(差異)에 관하여,
정시책(廷試策)
23. 왕기(王沂)가 지은 가정(稼亭)에 대한 기록, 가정기(稼亭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