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곡/열림 | Ouverture
- 어떤 의미에서, ‘우리’ 시대 미학-정치의 지도 제작법을 위한 글쓰기
1. 시적 정의와 용기 : 다시 (또다른) 인민이 되기 위하여
- ‘우리’와 ‘타자’의 이름을 다시 묻는 보편적 동시대인의 미학적 성명학
2. 눈뜸과 눈멂의 계보학: 하나의 시점, 두 개의 시선, 세 개의 시각 (1)
0. 미학과 정치의 풍경들을 위한 불가능한 지도 제작법
1. 하나의 시점: 모든 것을 보는 눈
3. 눈뜸과 눈멂의 계보학: 하나의 시점, 두 개의 시선, 세 개의 시각 (2)
2. 두 개의 시선: 모든 것을 볼 수는 없는 눈(들)
3. 세 개의 시각: 삼위일체, 환영과 출현, 제3의 눈, 그리고 다시 외눈박이
간주곡 1: 감각적인 것의 밤과 정치적인 것의 낮
- 랑시에르의 정치-철학: 감성적/미학적 전복으로서의 정치와 해방
4. 이름과 호명의 미학, 고유명과 국적과 성별의 정치 (1)
0. “동해물과 백두산이 마르고 닳도록……”이라는 가사
1. “구미(歐美)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라는 문형
2. “우리가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이라는 당위
5. 이름과 호명의 미학, 고유명과 국적과 성별의 정치 (2)
3. “우리가 간직함이 옳지 않겠나”라는 의무의 의문문 혹은 당위의 설의법
4. “이 땅에 순결하게 얽힌 겨레여”라는 텅 빈 호명 혹은 형용모순의 틈
5. 호명되지 않는 이름, 고유명을 위하여: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간주곡 2: SNS 시대의 인문학, 개입하며 도래하는 징후의 응시
6. 증상의 발명, 상처의 봉헌, 흔적의 순례 (1)
0. 피해자인가 가해자인가: 종교-도덕적 자기의식과 미학-정치의 자기형식들
1. 미학인가 정치인가: 새로운 투석전과 오래된 패션 사이의 선택 불가능성
7. 증상의 발명, 상처의 봉헌, 흔적의 순례 (2)
2. 증상의 발명
2-1. 아직 오지 않은 21세기를 위해, 아직 가지 않은 20세기로부터: 동시대인에게
2-2. 깊이와 표피, 현학성과 대중화 사이: 드물고 고귀한 것을 혐오하는 새로운 반달리즘
3. 상처의 봉헌
3-1. 일상적인 것과 비일상적인 것 사이의 상처로서의 미학적 균열
3-2. 미학적 전장 위에서: 모래의 미학을 위(爲)하여, 혹은 모래의 미학에 반(反)하여
4. 흔적의 순례
4-1. 모래의 미학과 인민의 예술
4-2. 산책자의 공통감각적인 국가와 순례자의 이질감각적인 국경 사이에서: 하나의 전쟁
8. 불가능의 물음과 이름들, 우회로의 주체와 지명들
간주곡 3: 전위, 도래하지 않는 봄을 위한 불가능한 제전
9. 선언의 픽션, 금기의 딕션 (1): 나는 국회의사당을 폭파했다
10. 선언의 픽션, 금기의 딕션 (2): 민주주의를 만나면 민주주의를 죽여라
─ ‘순수 민주주의 비판’을 위한 하나의 시론
11. 후기/뒷면 | Postface : 우리, 포스트모던인[이었던 적이 한 번도 없던 사람]들
- 알리바이로서의 모던과 포스트모던, 아포리아로서의 번역과 번안
0. 세대 없는 세대론: 경험과 징후로서의 모던/포스트모던
1. 문제설정: 이식 혹은 이행, 발견 혹은 발명으로서의 번역어
2. 자유주의의 징후와 번역의 수행성: ‘차연’ 혹은 ‘차이’, ‘해체’ 혹은 ‘탈-구축’
3. 미학에서 정치로, 미학에서 정치를: ‘미학’ 혹은 ‘감성론’
4. 알리바이인가 아포리아인가: ‘포스트모던’ 그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