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5
제1부 인류의 장대한 여정 속에 탄생한 한민족
제1장 푸른 별 지구에 한반도와 생명이 등장하다 32
1 우주 만물의 탄생 32
1) 우주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32
2) 우주는 빅뱅으로 탄생 35
2 생명의 푸른 별 지구 형성 37
1) 태양계가 구성되다 37
2) 지구가 형성되다 40
3 한반도 어떻게 자리 잡았나 43
1) 거대한 대륙이 등장하다 43
2) 한반도가 형성되다 44
4 지구에 생명이 생겨나다 46
1) 현생누대 이전(선캄브리아기) 46
2) 현생누대(캄브리아기) 50
(1) 고생대
(2) 중생대
(3) 신생대
5 포유류가 등장하고 영장류가 번성하다 57
1) 포유류가 나타나다 57
2) 영장류가 번성하다 60
3) 호미노이드가 나오다 61
제2장 지혜로운 인류가 등장하다 70
1 지구의 환경변화 70
1) 빙하기가 도래하다 70
2) 아프리카에 사바나 환경이 조성되다 72
2 호미니드가 나타나다 74
1) 초기 호미니드 74
2) 오스트랄로피테쿠스 76
3 드디어 호모로 진화하다 81
1)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 83
2)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 87
(1) 호모 에렉투스의 출현
(2) 호모 에렉투스의 유라시아 대륙으로 확산
(3) 호모 에렉투스의 문화
3)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97
(1) 호모 사피엔스의 출현
(2) 네안데르탈인(Neanderthals) 등장
(3) 네안데르탈인의 문화
4 현생인류가 번성하다 106
1)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Homo Sapiens Sapiens) 등장 106
2) 현생인류가 아프리카를 넘어서다 112
3) 현생인류 동북아시아로 확산 117
제3장 한반도에 첫 사람이 등장하다(구석기) 123
1 구석기시대의 개요 123
2 구석기 주민의 유적과 유물 128
1) 전기 구석기 유적 130
(1) 남한 지역
(2) 북한 지역
2) 중기 구석기 유적 135
(1) 남한 지역
(2) 북한 지역
3) 후기 구석기 유적 143
(1) 남한 지역
(2) 북한 지역
3 구석기시대 이웃 지역 문화 양상 153
1) 한반도 진입 통로 중국 154
2) 르발루아 석기가 출토된 만주 157
3) 네안데르탈인 흔적이 있는 시베리아 159
4) 빙하기 한반도와 연결된 일본 161
4 한반도 첫 주민들은 누구인가? 163
1) ‘화대사람’은 호모 에렉투스 계통 163
2) ‘상시사람’은 호모 사피엔스 계통 165
3) ‘만달사람’은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계통 169
4) 한반도 현생인류에 대한 견해 170
(1) 다지역기원설
(2) 북한 학계의 본토기원설
(3) 아프리카 단일기원설
제4장 한반도에 선주민이 자리 잡다(신석기) 182
1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184
1) 신석기시대의 기후 변화 184
2) 신석기시대의 식생 변화 185
(1) 식물상의 변화
(2) 동물상의 변화
3)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동 188
2 한반도 선주민은 누구인가 192
1) 한반도 선주민의 생김새와 계통 192
2) 선주민에 대한 북한 학계 등 여러 견해 196
3 신석기를 제작사용하다 205
1) 한반도에 새로운 석기가 등장 205
2) 한반도 주변 지역에서 토기 출현 213
(1) 러시아 연해주 지역
(2) 만주 요서 지역
(3) 일본 열도
4 신석기시대 유적과 유물 219
1) 신석기 최고유적 제주 고산리 219
2) 한반도 신석기를 대표하는 각 지역 유적과 유물 223
(1) 서남해 지역
(2) 동해안 지역
(3) 동남부 지역
(4) 서북 지역
(5) 중서부 지역
제5장 청동기시대 원주민이 형성되다(청동기) 252
1 청동기시대의 자연 252
1) 지리적 여건 252
(1) 한반도
(2) 만주
2) 기후 여건 255
2 청동기시대 사람은 누구인가 257
1) 중앙아시아 양상 257
2) 만주와 한반도 양상 258
3 청동기시대 문화의 출현 260
1) 청동기의 등장 260
2) 만주 청동기 265
(1) 요서 지역
(2) 요동 지역
4 한반도 청동기시대 문화 273
1) 청동기문화 개요 273
(1) 청동기 종류
(2) 청동기 시기 구분
2) 청동기시대 무문토기문화 281
(1) 무문토기 양상
(2) 무문토기의 지역별 흐름
3) 반월형석도가 등장하는 석기문화 291
(1) 석기의 종류
(2) 석기문화의 지역별 양상
4) 청동기시대 분묘문화 297
(1) 분묘의 종류
(2) 분묘의 변천
5) 급증하는 청동기시대 주거와 취락 304
(1) 주거 양상
(2) 지역별 취락
6) 청동기시대 농경문화 313
(1) 농경문화 양상
(2) 지역별 작물유체 출토상황
제2부 초기국가 고조선·한(韓)
제6장 고조선이 형성되다 327
1 단군조선 327
1) 단군조선의 역사상 327
2) 기자조선에 대한 시각 333
2 문헌사료에 나타난 고조선 335
1) 중국 문헌에 최초로 등장한 고조선 335
2) 위만조선에 관한 기록 340
3) 문헌에 나타난 고조선 종족명 344
3 고조선의 중심지와 강역 349
1) 고조선의 중심지 349
(1) 중심지에 대한 여러 견해
(2) 중심지에 관한 북한 학계의 시각
2) 고조선의 강역 변동 357
4 위만조선과 한(漢) 364
1) 위만조선과 한의 충돌 364
2) 위만조선의 정치구조 367
3) 위만조선의 사회 371
4) 위만조선 멸망과 한 군현 설치 373
5 고조선문화권의 여러 나라 377
1) 부여 378
(1) 부여의 성립
(2) 부여의 강역
(3) 부여의 사회 정치
(4) 부여의 경제 문화
2) 읍루·옥저·동예 387
(1) 읍루
(2) 옥저
(3) 동예
6 고고학적으로 본 고조선 393
1) 초기 청동기문화 394
2) 전기 비파형동검문화 397
(1) 요서 지역
(2) 요동 지역
(3) 서북한 지역
3) 후기 청동기문화 406
(1) 요서 지역
(2) 요동 지역
(3) 서북한 지역
제7장 한(韓)이 형성되다 415
1 한(韓)의 역사적 위치 415
1) 한(韓)의 명칭 415
2) 한과 진국에 대한 다양한 견해 420
2 삼한의 성립 423
1) 마한의 성립 425
2) 진한과 변한의 성립 427
3 한(韓)은 어떤 나라인가 432
1) 한의 국 성립 432
2) 한의 국 규모와 성격 434
3) 한의 통치구조 436
4) 한의 강역 변동과 중심지 438
4 한의 문화 경제 444
1) 한의 문화 444
2) 한의 종교 447
3) 한의 경제 451
4) 한의 대외교역 453
5 고고학적으로 본 한(韓) 458
1) 한(韓)의 청동기문화 458
(1) 청동기 양상
(2) 토기 양상
2) 한(韓)의 취락 463
(1) 중부 지역의 취락
(2) 호서 지역의 취락
(3) 호남 지역의 취락
(4) 동해안 지역의 취락
(5) 영남 지역의 취락
3) 선한 시기(BC 10세기~5세기) 대표유적 송국리 469
(1) 송국리형문화 양상
(2) 송국리형 취락의 확산
(3) 고인돌문화 양상
(4) 고인돌 밀집지와 여러 국의 위치 비정
4) 한 시기(BC 4세기~2세기 전반)의 문화 양상 489
(1) 한 시기 청동기문화
(2) 삼한의 성립(2세기 후반)
제7장의 소결 및 맺는말 496
주석 504
참고문헌 531
도판출처 549
찾아보기 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