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1장 감영에서 도청으로
호서의 중심도시에서 충남의 중심도시로: 공주목·공주부·공주군, 지방행정체제의 변화
8도제의 해체와 23부제/ 호서지역의 3부, 공주·홍주·충주/ 지방행정체제의 골격 13도제
이방인들과 함께 온 근대: 공주의 일본인과 서양인들
일본 속의 공주, 공주회/ 80만 명의 재조 일본인/ 일본인의 공주/ 거리에서 전파된 근대의 개념들
시대의 흐름을 이기지 못한 도청 이전: 도청 유치운동과 이전 반대운동
신경과민으로 보였던 이전 예방운동/ 야망의 크기; 조선총독부 일대 스캔들/ 교통의 변화가 핵심이다/ 교육도시, 문화도시라는 대안
2장 공주도 철도를 원했다
사라진 가능성, 경부선 공주역: 국가 간선철도가 공주를 비켜 가다
도로, 사람과 물자가 오고 가는 길/ 공주를 지나는 조선의 대로/ 국가의 경사가 된 경부선 개통/ 경합하는 경부선 노선들/ 어쩌면 가능했을, 경부선 공주역
100년 후에야 실현된 호남선 공주역: 호남선도 공주를 비켜 가다
경영자와 군부, 서로 다른 목소리/ 대륙행 간선철도/ 호남선 철도는 한국인의 힘으로/ 너무 늦은 도착
공주는 계속 철도를 원했다: 이루어지지 않은 공주의 철도 부설 운동
근대의 상징, 철도/ 옛길의 몰락/ ‘유림의 반대’라는 신화/ 공주에도 철도를!
3장 도시의 변모
역사 공간을 오락 공간으로: 근대 도시공원이 된 공산성
도시의 근대적 상징물, 공원/ 공주의 첫 공원들/ 나무 심기의 문화정치/ 나들이와 소풍 장소, 유락공원 공산성
도시의 얼굴, 새 건물과 신작로: 1925년의 근대도시 공주 투어
공주의 새 모습을 찾아서/ 식견을 넓히는 도시 견학/ 신작로의 양면성/ 도로 교통에서도 소외되다
‘교육도시 공주’라는 도시 브랜드: 근대적 개발과 문화적 개발
새로운 도시 브랜드의 추구/ 근대 교육의 시작/ 공주지방법원의 이전 문제/ 도시 정체성, 도시 브랜드 만들기의 제안
4장 바깥의 눈으로 본 공주
화륜선으로 온 사람, 공주를 만나다: 미국 해군 무관 포크의 공주 방문기
여행자의 기록이 시대를 증언하다/ 남하, 한국의 실상을 몸에 새기는 여정/ 공주에 온 첫 번째 서양 오랑캐/ 물자 풍부한, 깨끗한 도시 공주/ 근대를 전하러 온 사람
순례자로 온 사람, 공주를 만나다: 독일인 신부 베버의 공주 방문기
목격자로서의 사명감/ 첫 번째 서양인 순례자/ 한국인이 되고 싶다/ 한국 천주교 역사의 산증인, 공주/ 애통함과 우정을 담아, 대한만세!
5장 저항하는 도시
17세 소녀 혹은 한 독립운동가의 죽음: 유관순과 공주
백합 서른 송이의 참회/ 뒤늦은 부고 기사/ 공주와 유관순의 인연/ 더 많이 기억되어야 한다
세상 만방에 대한의 독립을 알리다: 공주의 3.1운동
1919년의 공주, 싸움의 기억/ 반감이 쌓이다/ 대한독립만세! 대한독립만세!/ 지역에서 맞부딪치는 민족 갈등/ 3.1운동, 독립과 친일의 세력이 분명해지다
갈등과 위기의 식민지 현실: 1920~30년대 공주의 농민운동과 학생운동
산미증식계획과 식량공급기지로서의 한국/ 그 계획의 이익은 누구에게 돌아가는가/ 농민들의 절박한 싸움, 소작쟁의/ 양보는 잠시뿐이다/ 학생들의 무기, 동맹휴학/ 식민지 노예교육의 본질을 폭로하다
6장 근대의 흔적을 찾아서
조선에 다시 없는 명소, 도청과 맞바꾼 다리: 금강철교
금강에 다리가 놓이다/ 도시 발전을 가로막은 장애물, 금강/ 왕년의 넘버원; 한강 이남에서 가장 긴 다리
순교의 역사에서 시작한 믿음의 풍경: 중동성당과 요골공소, 황새바위성지
공주의 첫 번째 성당/ 공주와 천주교의 인연/ 믿음의 피신처에 세워진 공소
기꺼이 한국에 헌신한 공주 교회사: 공주제일교회와 선교사 가옥, 선교사 묘역
초가 한 동에서 시작한 역사/ 공주 교육과 민족저항운동의 상징, 제일교회/ 감사하는 마음을 담은 장소
이름의 변화로 읽는 공주의 근현대사: 옛 공주읍사무소와 공주풀꽃문학관
건물이 품은 역사/ 식민통치기구의 얼굴/ 공주에 남은 유일한 근대 관공서/ 언덕 위의 일본식 가옥, 공주풀꽃문학관
근대공주 둘러보기
책을 나가며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