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Q84』의 ‘Q’ 무엇에 대한 질문인가-무라카미 하루키 『1Q84』
2.‘우익청년 탄생’ 진지한 옹호인가, 조롱 섞인 전복인가-장정일 『구월의 이틀』
3. 김훈의 동어반복-김훈 『공무도하』
4. 스크린셀러: 마케팅 효과인가, 능동적 참여인가-주제 사라마구 『눈먼 자들의 도시』, 베른하르트 슐링크 『더 리더』, 코맥 맥카시 『로드』
5. 최근 문학상 수상작, 어떻게 달라졌나-안보윤 『오즈의 닥터』, 임영태 『아홉 번째 집 두 번째 대문』, 김기홍 『피리부는 사나이』, 이선영 『천년의 침묵』
6. 2000년대 ‘새로운’ 소설이 나아간 장편의 세계는-이기호 『사과는 잘해요』, 편혜영 『재와 빨강』, 천명관 『고령화가족』
7. 베르베르의 대중성에서 배워야 할 것과 경계해야 할 것은-베르나르 베르베르 『파라다이스』
8. 신경숙 신드롬에서 무엇을 읽어낼 것인가-신경숙 『어디선가 나를 찾는 전화벨이 울리고』
9. 청소년문학이 던진 ‘청소년’과 ‘문학’에 대한 질문들-김려령 『완득이』, 구병모 『위저드 베이커리』, 배미주 『싱커』
10. 포스트 IMF 시대 젊은 작가들이 보여주는 사회적 상상력-임성순 『컨설턴트』, 최진영 『당신 옆을 스쳐간 그 소녀의 이름은』, 주원규 『열외인종 잔혹사』, 김사과 『풀이 눕는다』
11. 김영하 소설에서 우리가 기대하는 것-김영하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는 아무도』
12. ‘내면성의 문학’ 어떻게 변화했는가-하성란 『A』, 한강 『바람이 분다, 가라』, 조경란 『복어』
13. 혼자 읽기 아까운 2010년의 소설-윤고은 『1인용 식탁』, 최제훈 『퀴르발 남작의 성』,황정은 『백(?)의 그림자』, 이장욱『고백의 제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