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생명학

이기상 | 자음과모 음 | 2013년 01월 07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8,000원

판매가 18,000원

도서소개

『글로벌 생명학』은 21세기 지구 살림살이를 위해 새롭게 대두된 생명학의 정립을 위한 시도와 해법을 담은 역저이다. 이 책은 BIG CHAOS로 일컬어지는 대혼돈의 시기, 인류가 부딪힌 최대 난제와 화두가 ‘생명 문제’라는 인식하에 이러한 시기를 헤쳐나갈 수 있는 길은 과연 무엇인지 반문하면서 서구적 세계 모델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생명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제시한다.

저자소개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벨기에 루뱅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수료했고, 독일 뮌헨 예수회 철학대학에서 철학 석사 학위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4년부터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우리말로 학문하기 모임’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우리사상연구소’ 소장이다.

1992년 열암학술상을 수상했고, 1994년 한국출판문화상 번역상을 수상했다. 지은 책으로는 『하이데거의 실존과 언어』(1991), 『하이데거의 존재와 현상』(1992), 『철학노트』(2002), 『하이데거의 존재사건학』(2003), 『쉽게 풀어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2010), 『콘텐츠와 문화철학』(2009), 『지구촌시대와 문화콘텐츠』(2009) 외 다수가 있고, 옮긴 책으로는 F. W. 폰 헤르만의 『하이데거의 예술철학』(1997), 마르틴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1998)과 『형이상학의 근본개념들』(2001) 외 여러 권이 있다. 홈페이지는 www.saemom.com, 전자우편 주소는 saemom@chol.com이다.

목차소개

제1장 지구 살림살이를 위한 발상의 전환
1. 우리 시대의 화두 ‘생명’
68억 인류의 평화로운 더불어 삶
생태 문제와 발상의 전환
2. 경쟁 이데올로기의 한계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필요
3. 인간 중심에서 ‘생명’ 중심으로!
4. 새로운 삶의 모형은 ‘살림살이’의 길: 지구 살림살이
5. 한국인의 삶 속에서 찾은 살림살이의 길
살림살이
삶을 앎: 사람
생명의 원칙: 비움과 나눔 그리고 섬김
6. 21세기의 영성적 인간

제2장 새로운 생명 담론의 지평 모색
1. 지구 생명 위기에 대한 한국인의 대응
2. 지구촌 시대의 동서 통합적 생명 담론을 위해
3. 생명에 대한 학문(생명학)의 정립을 위한 고찰
4. 역사적 고찰에서 얻는 생명의 고유한 차원(독특함)
생명의 원리: 생명과 운동
생명의 조건: 생명과 전체
생명의 전개: 생명과 역사
생명의 진화: 생명과 정신
5. ‘생명 현상’의 다층위적 구조에 대한 기술
생명의 물체성
생명의 운동성
생명의 주체성
생명의 역사성
생명의 의식성과 단위
6. 생명과 인간: 살림지기로서 사람의 살림살이

제3장 생명, 그 의미의 갈래와 얼개
1. ‘생명’에 대한 정의의 어려움
2. 서양의 생명에 대한 논의
우주는 살아 있는 생명체: 정령론과 물활론
우주는 신이 창조한 정교한 자동 기계: 근대의 기계론적 생명관
진화하는 유기체들의 거대한 집합과 조직화: 진화론과 유기체설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자기를 조직해나가는 생명 체계: 생물 시스템 이론과 생태학
3. 동양 또는 한국의 생명 이해
세상은 신령으로 꽉 차 있다: 무교적 생명관
자연은 천지 만물이 감응하는 거대한 생명체: 도가와 유가
인연으로 서로 의존하고 있는 거대한 생명의 그물: 불교의 생명관

제4장 한국인의 삶 속에서 읽어내는 생명의 의미
1. 한국인의 일상 속에 새겨진 세계관과 생명 이해
2. 생명에 대한 일상적 이해와 우리말 속 생명의 의미
3. 한국 생명 사상의 뿌리와 흐름
생명과 평화를 사랑하는 한민족(배달겨레)
단군 신화의 생명 사상
한민족의 생명 사상의 전개
최치원의 생명 존중 사상
최한기의 생명 우주관: 생생한 기운이 쉼 없이 움직이는 우주
동학의 생명평화 사상

제5장 다석 생명 사상의 영성적 차원: ?일름을 따르는 몸사름
1. 현대의 생명 위기와 영성
2. 청년 다석의 생명 체험
3. 생명의 젓가락: 덧없는 삶(生), 비상한 ?일름(命)
4. 삶은 사름. 몸생명의 몸살이
몸사름: 생명의 불꽃을 사름
숨 쉼: 목숨과 말숨
5. 생명은 바탈태우
말숨과 우숨(얼숨)
생명의 첨단 ‘이 제 긋’
얼나의 하루살이
식사는 장사며 제사
6. 없이 계신 하느님, 없이 살아야 하는 인간

제6장 함석헌의 생명학적 진리: 살라는 하늘의 절대 명령
1. 삶의 진리, 앎의 진리, 사람(삶앎)의 진리
2. 진리의 사건과 서양 철학의 대응
‘진리’를 둘러싼 논쟁
서양의 진리 개념
3. 우리말 진리 개념의 사용 지평
4. 생명학적 진리: 삶의 진리, 진리의 삶
우주와 생명 그리고 씨?
삶이 참이다
찾음이 참이다
길이 참이다
5. 참의 진리
참은 참(滿)이다 참은 빔(虛)이다
참은 하나다
참 마음, 찬 마음
참은 참이다
참은 참음이다
참은 맞섬이다
생명학적 차이
6. 생명의 진리와 생명학

제7장 김지하의 생명 사건학: 생활 속의 우주적 대해탈
1. 전환기의 조짐들: 이성에서 영성으로!
2. 죽임의 문명, 죽임의 과학
3. 개벽과 생명운동
개벽
생명운동과 문화운동(노동운동, 여성운동, 통일운동)
생명문화운동의 내용
4. 생명의 담지자 민중
생명과 민중
유개념으로서의 민중: 중생
5. 일하는 한울님
6. 자연에 대한 시각의 전환: 환경에서 생명으로!
서양 환경운동의 한계와 생명의 세계관
환경에서 생명으로!
풍류와 한살림
7. 생명과 살림
8. 우주 생명의 활동을 모심
9. 모심의 윤리
10. 생명의 원리와 논리
우주 진화의 법칙
생명의 논리: ‘아니다 그렇다’의 논리
동양적 진화론: ‘불연기연(不然其然)’
11. 인간의 재발견
인간은 가장 신령한 자각적 우주 생명
온갖 생명의 성화를 추구하는 21세기 새로운 우주 종교
12. 21세기는 생명과 영성의 시대
영성적 삶은 역설의 생활화
활동하는 무로서의 자유와 우주적 대해탈
13. 김지하 생명 사상의 특징과 의의

제8장 생명의 진리와 생명학, 지구 생명 시대의 생명 문화 공동체
1. 생명학 정립의 필요성
환경학과 생태학 그리고 생명학
‘생명’과 ‘학문’에 대한 지평 확대
2. 생명의 진리: 삶의 진리, 삶앎의 진리, 살림살이의 진리
생명과 생명체의 구별. 생명학적 차이
생명의 문제는 삶의 문제
생명 진리의 전개: 낱생명, 종생명, 뜻생명, 온생명, 한생명
3. 지구 생명 시대의 생명 문화 공동체
달라진 시대 달라져야 할 삶의 방식
지구 생명 시대
생명의 패러다임
생명 문화 공동체의 필요성
4. 인간은 생명의 관리인 ‘살림지기’

제9장 새로운 시민운동으로서 생명문화운동
1. 생명운동: 시민운동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2. 생명운동의 자리매김을 위하여
3. 한국 생명운동의 뿌리와 전개
4. 생명회복운동으로서 한살림운동
5. 생명과 평화의 길

맺는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