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우의 주역-하경

이한우 | 21세기북스 | 2020년 10월 06일 | PDF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종이책 정가 40,000원

전자책 정가 32,000원

판매가 32,000원

도서소개

“리더라면 반드시 『주역』을 읽어야 한다”
이순신이 탐독했던 책,
세종과 정조를 길러낸 제왕들의 필독서





◎ 도서 소개

우리나라에는 『주역』에 대한 오해가 너무도 뿌리 깊다. 그저 운명을 점치는 ‘점서(占書)’로 여기지만 『주역』은 애당초 사사로운 이익과는 무관한 책이다. 『주역』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제왕의 리더십 교과서’이다. 제왕 즉 리더의 일은 그때마다 달라진 상황에 맞게 가장 마땅한 도리를 풀어가는 것이다. 그런 제왕을 위한 훈련서이자 교과서가 바로 『주역』이다.

『주역』 ?하경?은 ‘함괘(咸卦)’ ‘택산함(澤山咸)’으로 시작하는데, 이것은 ?하경?의 성격을 잘 드러낸다고 할 수 있다. 상경이 건괘와 곤궤를 출발점으로 삼아 천지만물에 대해 주로 이야기했다면 ?하경?은 이괘(離卦)에 이어서 남녀 관계를 다루는 함괘를 처음에 둠으로써 사람의 일에 더 관심을 두었음을 은연중에 드러낸다.
남녀 관계는 인간사의 근본이다. 여기서 시작해 인륜과 예의로 더 나아갈 수 있다. 그리고 말과 지인(知人)에서 삼가고 조심해야 형통할 수 있음을 강조한 ‘미제괘(未濟卦)’ ‘화수미제(火水未濟)’로 마무리하며 34개 괘를 다룬다. ?하경?을 풀어쓰면서도 역사 속 다양한 사례를 통해 제왕학 교과서로서 주역의 체계와 내용을 올바로 세우려는 노력이 이어진다.




◎ 출판사 서평

공자는 죽간이 세 번 끊어질 때까지 『주역』을 읽었다!
오직 제왕을 위한 책, 그 본질을 찾다

『주역』을 점서로 여기는 편견은 『주역』 공부에 대한 접근과 풍부한 이해와 해석을 가로막아왔다. 본질적 관점에서 『주역』에 파고들어 번역하고 풀이한 이한우는 『주역』이 곧 ‘제왕학’임을 강조한다. 그래서 『이한우의 주역』(전 3권, 21세기북스)은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 교과서’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뿌리 깊은 오해와는 달리 『주역』은 점술과는 거리가 멀다. 소인의 사사로운 이익에는 관심조차 두지 않는다. 또한, 『주역』을 공부한다는 것은 지식을 늘리기 위함도 아니고 점술을 익히는 것도 아니며, ‘다름’ 아닌 ‘다움’을 배워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공자는 『주역』을 깊이 파고들어 체계화하며 이 책의 진수가 ‘제왕의 일’을 하는 데 있음을 밝힌다. 공자는 『주역』에서의 ‘일’을 ‘그 달라짐을 통하게 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즉, 지도자가 일한다는 것은 그때그때 달라진 상황에 맞추어 가장 마땅한 도리를 찾고 순리대로 풀어나감을 의미한다. 선천적으로 일을 잘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것을 배우지 않고서는 잘 해내기 힘들다. 제왕이 일을 잘하도록 훈련하는 책이 바로 『주역』이다.


시대를 초월한 리더십 교과서 『주역』
점서의 오명을 벗고 다시 태어나다!

주역이 점서의 오명을 쓴 데에는 주희의 영향이 크다. 그는 신권(臣權)을 숭상한 사람이다. 주희는 제왕이 더 굳세고 눈이 밝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그래서 『논어』의 체계를 허물어 사대부의 심신 수양서 정도로 격하시켰고, 『주역』도 미래 운명을 가늠하는 점서로 전락시킨 것이다.

이한우는 격하되어 본뜻과 가치를 훼손당한 『주역』이 본래 체계와 가치를 되찾는 데 힘을 쏟았다. 특히 주희의 편협한 해석을 다각도로 비판했다. 『주역』을 『논어』로 풀었으며 정이(程?)와 정약용 등 여러 학자의 관점을 참고로 하였다. 여기에 『조선왕조실록』과 반고의 『한서』를 비롯한 중국사의 사례와 인물을 덧붙여 검증하고 해설하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제왕학 교과서로서 『주역』의 풍부한 면모를 되살릴 수 있게 했다. 기본적인 풀이는 흔히 의리역(義理易)의 최고 이론가로 꼽히는 송나라 정이천(程伊川)의 『역전(易傳)』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 본문 중에서

공자는 분명하게 ‘남자가 여자에게 몸을 굽힌다[男下女]’라고 했다. 이렇게 될 경우 그 일을 형통하게 할 수 있게 되는데, 조건이 하나 있다. 끝까지 바른 도리[貞=正道]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공자는 바로 이 점을 추가했다. 공자는 하늘과 땅은 만물을 길러주듯이 빼어난 이[聖人], 즉 빼어난 임금은 백성을 감화시켜야 한다[感=咸]고 말한다. 그리고 “그 감동하는 바를 잘 살펴보면 하늘과 땅과 만물의 실상[情]을 볼 수 있다”라고 했다. 감동·감통하는 도리를 안다면 그 도리로 그 감동하는 바를 살펴봄으로써 천하가 지금 어떤 상황에 놓여 있는지를 판별할수 있다는 말이다.

?하경? : 22쪽



물과 불은 서로 어울리지 않는다[相剋]. 갈등하는 관계다. 혁(革)이란 갈등 속에서 생겨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어서 ‘하루가 지나야 마침내 미더움이 생겨난다’라는 문왕의 단사를 공자는 ‘변혁해서 믿게 만드는 것’이라고 풀었다. 어떤 일이든 바꾸고자 할 때는 사전에 그 바꾸려는 바를 상세하게 알려야 믿게 되고, 그래야 제대로 시행이 된다. 아무런 통고도 없이 하게 되면 백성은 당연히 의심을 품게 된다. 앞서 본 선갑삼일(先甲三日)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문명(文明)함으로써 기뻐하고’라는 것은 혁괘의 하괘와 상괘로 그 뜻을 풀어낸 것이다. 하괘인 이괘(離卦)는 문명이 되고 태괘(兌卦)는 기뻐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하경? : 390쪽



이어서 공자는 ‘나무를 타고서 공로를 이루는 것[乘木 有功]’이라고 했다. 큰 강을 건넌다는 것은 위험을 감수하는 일이다. 수많은 어려움이 앞에 도사리고 있다. 그러나 공자는 나무를 타고서라도 건너야 함을 말한다. 큰 강을 나무에 의존해 건넌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일이다. 그럼에도 환괘에서는 건너야 이롭다고 했다. 이 말은 환괘의 모양에서 나온 것이다. 나무를 상징하는 손괘가 위에 있고 물을 상징하는 감괘가 아래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아무나 아무 때나 나무를 타고 강을 건너서는 안 된다. ‘그 사람’과 ‘그때’라야 가능하다.

?하경? : 613쪽



여기서 미더움[孚]이란 그냥 신뢰, 믿음보다는 편안한 마음 상태[所安]에 가깝다. 그래서 사람들이 ‘참으로 절도를 모르는’ 지경에 빠지는 이유에 대해 정이는 “마땅한 의리와 천명을 편안하게 받아들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능히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면[能安] 그 일정한 도리를 잃지 않을 것이다”라고 했다. 안인(安仁)해야 한다는 말이다. 미제괘(未濟卦)는 돌이켜보면 일과 사람을 아는 문제[知人]에서 시작해 천명을 두려워하며 편안하게 받아들이는 문제[畏天命=知天命]에서 끝났다. 『주역』 전체를 보자면 일을 주관하는 건괘(乾卦)와 일을 이뤄내는 곤괘(坤卦)에서 출발해 일을 완성한 기제괘(旣濟卦)와 다시 일을 잘 시작해야 하는 미제괘(未濟卦)에서 일단 여정을 마쳤다.

?하경? : 741쪽

저자소개

※ 저자소개


이름: 이한우약력: 날카로운 통찰력과 인문학적 깊이, 대중적인 필력을 두루 갖춘 학술저널리스트이다.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과 〈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에서 기자를 지냈다. 〈조선일보〉 문화부 기자로 오랫동안 학술과 출판을 담당했으며,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6권짜리 『이한우의 군주열전』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 등 동양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 2016년 〈조선일보〉를 그만두고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논어』, 진덕수의 리더십 텍스트 『대학연의』, 최근에는 『주역』을 현대적 감각으로 풀어서 대중 강의를 하고 있다. 일관된 관심사는 리더십이다. 『한서(漢書)』(전 10권)를 완역했으며, 『이한우의 태종실록』도 18권 완간을 목표로 지속적으로 출간하고 있다.

목차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한 서양 철학도의 『주역』 등반기

?하경(下經)?

31. 택산함(澤山咸)
32. 뇌풍항(雷風恒)
33. 천산돈(天山遯)
34. 뇌천대장(雷天大壯)
35. 화지진(火地晉)
36. 지화명이(地火明夷)
37. 풍화가인(風火家人)
38. 화택규(火澤?)
39. 수산건(水山蹇)
40. 뇌수해(雷水解)
41. 산택손(山澤損)
42. 풍뢰익(風雷益)
43. 택천쾌(澤天?)
44. 천풍구(天風?)
45. 택지췌(澤地萃)
46. 지풍승(地風升)
47. 택수곤(澤水困)
48. 수풍정(水風井)
49. 택화혁(澤火革)
50. 화풍정(火風鼎)
51. 중뢰진(重雷震)
52. 중산간(重山艮)
53. 풍산점(風山漸)
54. 뇌택귀매(雷澤歸妹)
55. 뇌화풍(雷火?)
56. 화산려(火山旅)
57. 중풍손(重風巽)
58. 중택태(重澤兌)
59. 풍수환(風水渙)
60. 수택절(水澤節)
61. 풍택중부(風澤中孚)
62. 뇌산소과(雷山小過)
63. 수화기제(水火旣濟)
64. 화수미제(火水未濟)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