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과 유생의 대결

한승훈 | 사우 | 2021년 04월 26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12,600원

판매가 12,600원

도서소개

조선의 종교개혁 과정에서 벌어진 성상파괴와 신들을 둘러싼 경쟁

이 책은 조선시대에 장기적이고 지속적으로 전개된 종교개혁의 역동적인 과정을 살펴본다. 조선은 유교를 통해 새로운 지배체제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조선이 건국되는 시점에서 시작돼 왕조가 멸망할 때까지 진행되었다.

이 책은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조선시대 종교사를 살펴본다. 우선 풍부한 이미지를 사용하던 고려시대의 종교가 어떻게 유교화 과정에서 성상파괴적 종교문화로 바뀌게 되었는지를 알아본다. 산신이나 불상만이 아니라 유교 전통에서 성인으로 받드는 공자상마저 철거하게 된 동기는 무엇일까? 의례 개혁의 중심부인 명나라보다 오히려 변방의 나라 조선에서 더 철저하게 성상파괴를 실천한 이유는 무엇일까? 1부에서는 이런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 조선에서 진행된 유교화가 의례적, 실천적, 물질적인 차원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졌는지를 치밀하게 살펴본다.

2부에서는 민속종교의 현장에서 유교화와 무속 배제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본다. 중앙 권력과 한양에서 무속을 배제하는 데는 성공했지만, 전근대 국가의 통치력은 도성을 벗어나면 힘을 미치지 못했다.

민족종교의 무대에서는 예학의 논리가 먹히지도 않았고, 음사라고 비난하는 것도 의미가 없었다. 신들과 소통하고 죽은 자들을 위한 의례에서 무당은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었다. 유자들은 무당이 차지하고 있는 지위를 빼앗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했다. 이에 맞서는 무당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이 대결은 수백 년 뒤 군사정권 시절 ‘미신 타파’로까지 이어진다. 2부에서는 무당과 유생의 지난한 대결 과정을 생생하게 펼쳐 보여준다.

이 책은 조선시대 종교사를 폭넓은 자료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전근대 한국 종교문화가 형성되고 변화해가는 모습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 한국의 종교문화가 구성된 기반을 파악할 수 있다.

저자소개

서울대학교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원광대학교 동북아시아인문사회연구소 HK연구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로 재직 중이다. 비교종교학적인 관점에서 동아시아 종교사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혁명을 기도하라』 (문주, 2012), 주요 논문으로 「미륵·용·성인」(『역사민속학』 33, 2010), 「개벽(開闢)과 개벽(改闢)」 (『종교와 문화』 34, 2018), 「종교 자료로서의 심문 기록」(『종교문화비평』 37, 2020) 등이 있다.

목차소개

머리말

1부: 조선의 성상숭배와 성상파괴

1. 산 위의 성상들

종교 부재와 종교 과잉
한국종교의 ‘프로테스탄트적’ 경관
이미지의 고려 종교
신으로 섬기던 왕건상
천자가 보낸 도사
교황이자 카이저가 되고자 한 주원장
신들에게 가족은 있는가
표준화된 신들
신상에서 신주로
유생들의 성상파괴운동
승려가 파괴한 성모상

2. 이단의 신상

왕가의 불교 신앙
불상에 절할 수 없다
불교를 좋아한 양무제와 영락제
마르고 썩은 부처의 뼈
석가모니의 누런 얼굴
이적을 일으키는 불상
목이 잘린 불상
돌아앉은 불상
귀신 들린 불상
땀 흘리는 불상
신주와 불상
신주에 대한 성상파괴
피 흘리는 십자가상

3. 유교의 성상

청년 김종직과 성주 공자묘
공자의 사당과 부처의 궁전
떠돌이 공자가 황제가 되기까지
성령과 잡귀
소상의 문묘
신주의 문묘
중국 사신들이 본 조선의 공자상
100년 동안의 더러운 풍습
바라보기에 존엄한 공자상
가정제의 의례개혁
땅에 묻힌 공자상

2부: 무당과 유생

4. 유교의 무속 정복

유교화와 기독교화
종교개혁으로서의 조선 건국
기우제의 무당들
원혼을 달래는 국가의례
공식종교와 민속종교라는 두 개의 무대
한양에서 추방당한 무당들
대궐 안의 무당들
무당에 대한 처벌

5. ‘요사한’ 무당과 ‘영웅적’ 지방관

만들어진 무속전통
기자에서 단군으로
유교 경전 속의 무당
신령한 무당과 천한 무당
사악한 무당들
아전과 무당
서문표 모델
함유일의 패배와 안향의 승리
영웅적 지방관들의 시대
모욕당한 신의 복수

6. 신과 망자를 둘러싼 투쟁

민속종교의 무대에서의 유생들
귀신을 부리는 선비들
귀신을 퇴치하는 무사들
오금잠신과 삼척 성황신
신을 고발한 허균
지리산 성모와 김종직
꿈속에서 신과 만나는 선비들
조상의 신을 모실 자격
제사와 굿 사이
선비들의 임사체험
진짜 무당과 가짜 무당

맺음말

참고문헌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