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Ⅰ 창작수필론
1. 수필 창작론의 역사적 전개와 이해
2. 수필 구성의 개관
3. 기행문학의 역사성과 기행수필 개관
4. 수필 창작과 시점
5. 수필 창작에서의 사실과 진실
6. 수필의 ‘붓 가는 대로’ 폐기와 창작 문학화
Ⅱ 작품평
1. 시적 발상의 산문적 형상화 ? 정성화 「돼지고기 반 근」
2. 구체적인 묘사와 서사법 ? 김기연 「배꽃」
3. 창작적인 산문수필 ? 임병식 「노랑 코스모스」
4. 산문의 시적 구성법 ? 정희승 「월식」
5. 희곡의 형태를 가미한 소설체 문장형식 - 정일주 「세태」
6. 구성적 비유의 존재론적 형상 창작 ? 허숙영 「화로」
7. 시적 정서의 산문적 형상화 - 김희자 「폐옥」
8. 대상을 2인칭으로 의인화한 독백체 반어화법 ? 윤태근 「족두리 꽃」
9. 의인화 방식에 의한 교감 상상력의 형상화 ? 위상복 「관음죽」
10. 동영상으로 읽는 사부곡 ? 박소윤 「소고기 두 근」
Ⅲ 월평
1. 암사슴의 뿔과 사족 -≪한국수필≫ 제287호(2019.1) 월평
2. 말 걸기, 낯설게 보기와 낯설게 하기 -≪한국수필≫ 제288호(2019.2) 월평
3. 생각 짓기와 마음 짓기 -≪한국수필≫ 제289호(2019.3) 월평
4. 은유와 상징, 형상적으로 이야기하기 -≪한국수필≫ 제290호(2019.4) 월평
5. 문학의 진화, 크로스오버와 하이브리드 -≪한국수필≫ 제324호(2022.2) 월평
6. 시대적 소명, 수필의 창작 문학화 -≪한국수필≫ 제325호(2022.3) 월평
7. 문학, 사실의 세계를 진리의 세계로 -≪한국수필≫ 제326호(2022.4) 월평
Ⅳ 심사평
1. 긍정의 힘과 샘솟는 희망으로 교직한 싱그러움 - ≪대구문학≫(2015. 상반기) 신인상
2. 일상성과 개인성을 탈피하는 창작 작법 - ≪대구문학≫(2018. 상반기) 신인상
3. 탄탄한 문장력과 문학적 소양을 담아낸 작품 - ≪문장≫제38호(2016. 가을) 신인상
4. 교감 상상력의 입체적 구성과 형상화 - ≪문장≫제49호(2019. 여름) 신인상
5. 낯설게 포착한 사물의 마음과 경험의 재구성 - ≪문장≫제50호(2019. 가을) 신인상
6. 인간의 삶의 객관적 형상화 - ≪문장≫제55호(2020. 겨울) 신인상
7. 은유와 상징, 형상적으로 이야기하기 - ≪수필과지성≫ 2019년 ‘올해의 작품상’
8. 삶 들여다보기와 낯설게 하기 - ≪수필과지성≫ 2020년 ‘올해의 작품상’
9. 호국 사상과 문학 작품성의 조화 ? 육군3사관학교 제14회 충성대문학상 전국 공모전
Ⅴ 서평
1. 시적 정서와 서사로 교직한 창작수필 ?고재동 수필집 『경자야』
2. 가공하지 않은 원석의 아름다움 ?권춘수 수필집 『은빛 자전거』
3. 『근원 수필』 탐구 ?김용준 『근원 수필』
Ⅵ 논지
1. 수필, 문학을 짓다
2. 수필의 명칭, 수필의 정의에 대한 제언
3. 수필의 창작적 진화와 형상화
4. 4차 산업혁명과 문학
5. 문학의 무용지용
Ⅶ 은종일 작품 깊이 읽기
은종일 작품 깊이 읽기 -≪대구문학≫ 제172호(2022.1)
○ 수필 작품│「춘화春花의 춘화春化」 외 4편
○ 작품 해설│객관적 현상의 내면화, 주관적 정서의 형상화 -장호병 ((사)한국수필가협회 명예 이사장)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