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 책을 펴내며
서장 | 사가기록화 읽는 법
사가기록화, 궁중과 관청의 담장을 넘은 양반가의 기념화 | 그림에 가장 많이 담은 바람, 만수무강의 축원 | 드높은 성취, 입신양명을 향한 소망 | 가문의 안녕과 번성을 위한 염원 | 평생도의 유행과 사가기록화 | 화첩이 선호된 사가기록화 | 영남의 사족과 한양의 경화사족이 주도한 사가기록화 | 사가기록화를 그린 화가들
제1장 | 부모님의 만수무강을 축하하다_경수연도
경수연도, 임진왜란 이전부터 그려지다 | 그림은 사라졌으나 글로써 짐작하는 경수연 풍경 | 17세기, 경수연 그림 제작이 늘어나기 시작하다 |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수연도, 《애일당구경첩》 | 여섯 번이나 치른 경수연 풍경, 《경수도첩》 | 재상가 열 개 집안이 함께 치른 잔치의 기록, 《선묘조제재경수연도》 | 왕의 은혜로 장수를 축하받은 일곱 명의 어머니, 〈칠태부인경수연도〉 | 우애 좋은 형제자매가 서로의 장수를 함께 기뻐하다, 《담락연도》
제2장 | 안석과 지팡이를 내려 국가 원로를 예우하다_사궤장례도
벼슬에서 물러나길 청하는 신하, 관직에 머물게 하다 | 음식부터 음악까지, 임금이 베푸는 성대한 의식 | 궤장, 시대마다 그 모양이 달라지다 | 임진왜란 이전 사궤장례를 담은 〈홍섬사궤장례도〉 | 임진왜란 이후 부활된 사궤장례, 〈이원익사궤장연도첩〉 | 세 점의 소장본으로 전하는 《이경석사궤장례도첩》
제3장 | 혼인한 지 60년, 다시 치르는 혼례_회혼례도
조선만의 고유한 풍습, 회혼례 | 부모의 회혼례, 나라가 기꺼이 은전을 베풀다 | 기록으로 만나는 회혼례 | 평범한 처사의 회혼례, 〈요화노인회근도첩〉 | 19세기 유행을 따라 병풍으로 기념한 〈회혼례도〉 8첩 병풍 | 그림으로 보는 회혼례의 시작과 끝, 《회혼례도첩》
제4장 | 한 번 동기는 영원한 동기_방회도
조선시대 과거 급제 동기 모임, 방회 | 과거 급제 60년, 장수와 함께 맞는 회방연 | 16세기 방회도 두 점, 〈연방동년일시조사계회도〉와 〈희경루방회도〉 | 방회는 함께 방회첩은 따로, 〈계유사마방회도〉와 〈신축사마방회도〉 | 아버지에 이어 자식도 동기가 되어 남긴 〈세년계회도〉와 〈연계동년계회도〉 | 삼정승에 오른 사마동년, 〈임오사마방회도〉 | 외지에서 어렵게 만난 사마동년, 〈용만사마동방록〉
제5장 | 지방 근무지에서 보낸 나날_부임지 기록화
행렬도에 담은 신관 수령 부임 행차 | 읍성도 병풍에 등장한 새로운 경향 | 관찰사 중의 관찰사, 평안도관찰사 행렬도 | 황해도관찰사 부임 행렬 | 전라도관찰사, 부성 행차를 기념하다 | 병풍에 함께 담긴 경기도관찰사와 그의 백성들 | 화성과 강화, 그리고 거제 읍성도에 그려진 유수 | 동래부사만의 특별한 임무, 일본 사신을 맞이하다 | 평안도관찰사만이 누리는 풍류의 특권 | 도과 급제자를 맞이하는 평양만의 특급 환대
제6장 | 그림으로 기록한 관직의 이력_환력도
제주목사가 남긴 탐라섬 순력의 기록, 《탐라순력도》 | 한 경화사족이 그림으로 남긴 평생의 관력, 《숙천제아도》 | 지도에 담은 외직의 이력, 《환유첩》
제7장 | 국가로부터 이름을 받는 가문의 영광_연시례도
국가로부터 새로운 이름을 받는 의미 | 기록으로 보는 연시례 기념화의 제작 | 26년 전 세상을 떠난 조상의 연시례를 기념하다, 《효간공이정영연시례도첩》 | 이조판서 이익상의 후손들이 남긴 또 하나의 연시례첩, 《문희공이익상연시례도첩》 | 묘소에서 연시하다, 《문경공문장공양대연시도》 | 그림은 없으나 연시의 전모를 담아 전한 연시록
제8장 | 가문의 이름으로 모은 조상의 행적_가전화첩
같은 듯 다른 사연으로 만들어진 조선시대 가전화첩 | 대표적인 가전화첩, 《의령남씨가전화첩》 | 가전화첩을 석판인쇄로 널리 보급하다, 《대구서씨가전화첩》 | 안동 향반 문중의 가전화첩, 《풍산김씨세전서화첩》 ·풍산김씨를 빛낸 주요 인물들 ·편찬자 김중휴의 가문의식과 《풍산김씨세전서화첩》편찬 ·《풍산김씨세전서화첩》의 화풍과 제작 화가 | 충청도에 입향한 오씨 집안의 가전화첩, 《동복오씨세덕십장》
제9장 | 평생도에 종합된 사가기록화_평생도
평생도, 사실의 기록 대신 담은 양반 사대부의 염원 | 대표작을 통해 살피는 그림 속에 숨은 뜻 | 자신의 삶을 고스란히 담은 자전적 평생도를 남기다 | 평생도에 담긴 사가기록화, 시대에 따라 달라진 그 의미
제10장 | 양반 사대부의 가치와 이상을 그림에 담은 사람들_ 사가기록화 제작의 두 축
사가의 기록을 그림으로 남긴 사람들 | 학맥과 혈연 공동체, 영남 사족들의 그림 기록 | 한양의 손꼽히는 명문, 경화사족의 그림 기록
부록
· 주 · 표 · 자료 · 참고문헌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