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레이븐(까마귀) 그리고 작곡 철학(The Raven, and The Philosophy of Composition by Edgar Allan Poe)(1846)은 제목 그대로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대표시 더 레이븐(까마귀)(The Raven by Edgar Allan Poe)(1845)과 이듬해 발표한 작곡 철학(The Philosophy of Composition by Edgar Allan Poe)(1846)의 합본입니다. 작곡 철학(1846)은 작가가 작가로써 글을 잘 쓰는 방법론에 대해 집필한 에세이로써 더 레이븐(까마귀)(1845)을 예로 들며 분량(Length), 체계적이고 분석적인 방법(Method), 효과의 통일성(Unity of effect), 세 가지 법칙을 강조하였습니다.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영어고전(English Classics)과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문학여행을! B
▶ 에드거 앨런 포의 더 레이븐(까마귀)(The Raven by Edgar Allan Poe)(1845)은 1842년 그래햄 매거진(Graham's Magazine) 5월호에 최초로 공개된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1809~1849)의 단편 소설입니다. ‘미국인에게 가장 사랑받은 시인’의 대표작이니만큼 수많은 판본으로 출간된 바 있습니다.
▶ 포는 시인(詩人, poet)이다?! 갈가마귀(The Raven)(1845) & 애너벨 리(Annabel Lee)(1849) : 우리에게 포는 ‘추리 소설 작가’로 인식되지만, 그는 단편 소설 외에도 시인, 비평, 장편 소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집필하였습니다. 그가 무명 시절 최초로 출간한 책이 시집이였을 정도로 다른 분야에 비해 시에 관심이 많았으며, 그의 연심을 담은 갈가마귀(The Raven)(1845)와 애너벨 리(Annabel Lee)(1849)는 미국인들이 그를 ‘미국인이 가장 애송하는 시’의 주인공으로 추앙하게 만들었습니다. 포는 시의 인기에 힘입어 자신의 시 창작법을 강의하였으며, 그의 사후에 시의 원리(The Poetic principle)(1850)란 작법서로 출간되었습니다.
▶ Length : What we term a long poem is, in fact, merely a succession of brief ones?that is to say, of brief poetical effects. It is needless to demonstrate that a poem is such, only inasmuch as it intensely excites, by elevating, the soul; and all intense excitements are, through a psychal necessity, brief. For this reason, at least one-half of the “Paradise Lost” is essentially prose?a succession of poetical excitements interspersed, inevitably, with corresponding depressions?the whole being deprived, through the extremeness of its length, of the vastly important artistic element, totality, or unity, of effect.
▷ 분량(Length) : 우리가 긴 시라고 부르는 것은 사실 짧은 시들의 연속, 즉 짧은 시적 효과의 연속일 뿐입니다. 시는 영혼을 고양시킴으로써 강하게 흥분시키는 만큼만 그런 것이라는 것을 입증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모든 강렬한 흥분들은, 정신적 필요를 통해, 짧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잃어버린 낙원"의 적어도 절반은 본질적으로 산문이며, 불가피하게 그에 상응하는 우울증과 함께 시적 흥분의 연속이며, 그 길이의 극단성을 통해, 그 전체는 매우 중요한 예술적 요소, 전체성, 또는 효과의 통일성을 박탈당합니다.
▶ Unity of effect : My next thought concerned the choice of an impression, or effect, to be conveyed; and here I may as well observe that, throughout the construction, I kept steadily in view the design of rendering the work universally appreciable. I should be carried too far out of my immediate topic were I to demonstrate a point upon which I have repeatedly insisted, and which, with the poetical, stands not in the slightest need of demonstration?the point, I mean, that Beauty is the sole legitimate province of the poem.
▷ 효과의 통일성(Unity of effect) : 제 다음 생각은 전달될 인상이나 효과의 선택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저는 건설 내내 작품을 보편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디자인을 꾸준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제가 반복적으로 주장해왔고, 시적인 것과 함께 입증이 조금도 필요하지 않은 요점을 입증한다면, 제 즉각적인 주제에서 너무 멀리 벗어나야 합니다. 즉, 아름다움은 시의 유일한 합법적 영역이라는 것입니다.
▶ Method : The length, the province, and the tone, being thus determined, I betook myself to ordinary induction, with the view of obtaining some artistic piquancy which might serve me as a keynote in the construction of the poem?some pivot upon which the whole structure might turn. In carefully thinking over all the usual artistic effects?or more properly points, in the theatrical sense?I did not fail to perceive immediately that no one had been so universally employed as that of the refrain.
▷ 방법(Method) : 길이, 넓이, 음조가 이렇게 결정되자 나는 시의 구성에서 기조로 작용할 수 있는 예술적 탁월함을 얻기 위해 일상 귀납법을 택했습니다. 돌 수도 있습니다. 모든 일반적인 예술적 효과에 대해 신중하게 생각하면서, 더 적절하게는 연극적인 의미에서 지적하자면, 나는 후렴의 그것만큼 보편적으로 사용된 사람이 없었다는 것을 즉시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 I composed this stanza, at this point, first that, by establishing the climax, I might the better vary and graduate, as regards seriousness and importance, the preceding queries of the lover; and, secondly, that I might definitely settle the rhythm, the meter, and the length and general arrangement of the stanza, as well as graduate the stanzas which were to precede, so that none of them might surpass this in rhythmical effect. Had I been able, in the subsequent composition, to construct more vigorous stanzas, I should, without scruple, have purposely enfeebled them,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climacteric effect.
▷ 나는 이 시점에서 먼저 절정을 확립함으로써 연인의 선행 질문을 진지함과 중요성과 관련하여 더 잘 변화시키고 졸업할 수 있도록 이 연을 작곡했습니다. 두 번째로, 나는 리듬, 박자, 길이와 연의 일반 배열을 확실히 정하고 앞의 연을 졸업하여 어떤 연도 리드미컬한 효과에서 이것을 능가하지 않도록 합니다. 다음 구성에서 내가 더 격렬한 연을 구성할 수 있었다면, 나는 주저 없이 의도적으로 연을 약하게 하여 절정 효과를 방해하지 말았어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