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정의(周易正義), 왕필(王弼) 한강백(韓康伯) 공영달(孔穎達), 제1권

왕필, 한강백, 공영달 (탁양현 옮김) | e퍼플 | 2022년 12월 16일 | EPUB

이용가능환경 : Windows/Android/iOS 구매 후, PC, 스마트폰, 태블릿PC에서 파일 용량 제한없이 다운로드 및 열람이 가능합니다.

구매

전자책 정가 3,000원

판매가 3,000원

도서소개

주역정의십권(周易正義十卷, 주역정의 10권)




1. 왕필(王弼) 한강백(韓康伯) 공영달(孔穎達)

위(魏)나라 왕필(王弼)과 진(晉)나라 한강백(韓康伯)이 주석(注釋)하고, 당(唐)나라 공영달(孔穎達)이 이를 풀이하여 소(疏)를 냈다.
魏王弼晉韓康伯注, 唐孔穎達疏.



2. 주역(周易)은 점서(占書)여서 그 말류(末流)가 타락(墮落)했다

역(易)은 본래(本來) 점(占)을 치며 복서(卜筮)하던 책(冊)이다.
易本卜筮之書.

그러다보니 그 말류(末流)가 점점(漸漸) 참위설(讖緯說) 혹(或)은 도참설(圖讖說)로 흘렀다.
故末派?流於讖緯.



3. 그러한 주역(周易)의 타락(墮落)을 왕필(王弼)이 공격(攻擊)했다

그런데 왕필(王弼)이 그 지극(至極)한 병폐(病弊)를 틈타 공격(攻擊)하여, 마침내 한(漢)나라 학자(學者)들을 배격(排擊)하고, 스스로 새로운 주역철학(周易哲學)을 표출(表出)해내었다.
王弼乘其極?而攻之, 遂能排擊漢儒, 自標新學.



4. 왕필(王弼) 당시(當時)에 이미 견해(見解)의 이동(異同)이 있었다

그러나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에, 진(晉)나라 양주자사(楊州刺史) 고이(顧夷) 등(等)이 지은, 주역난왕보사의(周易難王輔嗣義) 1권이 있다고 기재(記載)하였다.
然隋書經籍志, 載晉揚州刺史顧夷等, 有周易難王輔嗣義一卷.

책부원귀(冊府元龜)에는, 또한 고열지(顧悅之)가, 열지(悅之)는 고이(顧夷)의 자(字)인데, 왕필(王弼)의 역의(易義)를 힐난(詰難)한 40여 조항(條項)이 있다.
冊府元龜, 又載顧悅之, 案悅之卽顧夷之字, 難王弼易義四十餘條.

그런데 경강(京江) 주변(周邊) 경구(京口)의 민(閔) 관강지(關康之)는, 또한 왕필(王弼)을 해명(解明)하고 고열지(顧悅之)를 힐난(詰難)했다고 기재(記載)하였으니, 이는 당시(當時)에 이미 견해(見解)의 이동(異同)이 있었던 것이다.
京口閔關康之, 又申王難顧, 是在當日已有異同.



5. 공영달(孔穎達)이 조칙(詔勅)을 받들어, 왕필(王弼)의 주석(注釋)을 중심(中心)으로 각(各) 학설(學說)을 정돈(整頓)하였다

왕검(王儉)과 안연년(顔延年) 이후(以後)로, 이것을 드날리고 저것을 억누르며, 서로 힐난(詰難)하기를 그치지 않다가, 공영달(孔穎達) 등(等)이 조칙(詔勅)을 받들어 소(疏)를 지으면서, 처음으로 오로지 왕필(王弼)의 주석(注釋)만을 높임으로 인(因)해, 여러 학설(學說)이 모두 폐지(廢止)되었다.
王儉顔延年以後, 此揚彼抑, 互詰不休, 至穎達等奉詔作疏, 始專崇王注, 而衆說皆廢.

이 때문에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의 역류(易類)에, 정현(鄭玄)의 학설(學說)이 점점(漸漸) 쇠미(衰微)해져서, 지금(只今)에는 거의 끊겼다고 말하였으니, 장손무기(長孫無忌) 등(等)이 수서(隋書) 경적지(經籍志)를 지은 시기(時期)에는, 주역정의(周易正義)가 이미 통행(通行)된 후(後)였던 것이다.
故隋志易類, 稱鄭學?微, 今殆絶矣, 蓋長孫無忌等作志之時, 在正義旣行之後也.




-하략-


저자소개

옮긴이 탁양현

≪인문학 에세이≫
≪삶이라는 여행≫
≪노자 정치철학≫
≪장자 예술철학≫
≪니체 실존철학≫

목차소개

▣ 목차




주역정의(周易正義) 제1권

서문(序文), 진리(眞理)의 파랑새

주역정의십권(周易正義十卷, 주역정의 10권)
1. 왕필(王弼) 한강백(韓康伯) 공영달(孔穎達)
2. 주역(周易)은 점서(占書)여서 그 말류(末流)가 타락(墮落)했다
3. 그러한 주역(周易)의 타락(墮落)을 왕필(王弼)이 공격(攻擊)했다
4. 왕필(王弼) 당시(當時)에 이미 견해(?解)의 이동(異同)이 있었다
5. 공영달(孔穎達)이 조칙(詔勅)을 받들어, 왕필(王弼)의 주석(注釋)을 중심(中心)으로
각(各) 학설(學說)을 정돈(整頓)하였다
6. 복괘(復卦) 단전(彖傳) 칠일래복(?日來復)에 대(對)하여
7. 건괘(乾卦) 구이(九二) 효사(爻辭) 리견대인(利?大人)에 대(對)하여
8. 현룡재전시사(?龍在田時舍)에 대(對)하여
9. 천현지황(天玄地黃)에 대(對)하여
10. 설괘전(說卦傳) 분음분양(分陰分陽)에 대(對)하여
11. 제출호진(帝出乎震)에 대(對)하여
12. 공영달(孔穎達)의 주역정의(周易正義)에 대(對)하여

주역정의서(周易正義序, 주역정의 서문)
1. 공영달(孔穎達)이 칙령(勅令)을 받아 주역정의(周易正義)를 찬정(撰定)했다
2. 역(易)은 상(象, 형상화)이고, 효(爻)는 효(效, 드러냄)다
3. 성인(聖人)이 천문(天文)과 지리(地理)를 관찰(觀察)하다
4. 천지자연(天地自然)의 변화(變化)를 따르면 조화(調和)롭지만,
반역(反逆)하면 혼란(混亂)해진다
5. 지배자(支配者)로서 왕자(王者)는
이러한 음양(陰陽)의 도리(道理)를 좇아 통치(統治)하였다
6. 용마(龍馬) 팔괘(八卦) 십익(十翼) 삼고(三古)
7. 진(秦)나라에 이르러 도(道)를 잃었으나, 유학자(儒學者)들이 다시 중흥(重興)시켰다
8. 주역(周易)을 전(傳)한 자(者)들, 정관(丁寬) 맹희(孟喜) 경방(京房) 전왕손(田王孫)
순상(荀爽) 유표(劉表) 마융(馬融) 정현(鄭玄)
9. 왕필(王弼)의 주석(注釋)이 으뜸이므로 선택(選擇)하였다
10. 강남(江南)의 현학(玄學)은 허망(虛妄)하다
11. 주역(周易)의 이치(理致)는 현묘(玄妙)하고 또한 현묘(玄妙)하다
12. 내공(內空) 외공(外空) 능소(能所) 등(等)은 불교(佛敎)의 개념(槪念)이므로
유학(儒學)과 어긋난다
13. 복괘(復卦) 단전(彖傳) 칠일래복(?日來復)에 대(對)하여
14. 고괘(蠱卦) 괘사(卦辭) 선갑삼일(先甲三日) 후갑삼일(後甲三日)에 대(對)하여
15. 손괘(巽卦) 구오(九五) 효사(爻辭)
선경삼일(先庚三日) 후경삼일(後庚三日)에 대(對)하여
16. 중니(仲尼)를 종주(宗主)로 삼고, 왕보사(王輔嗣)를 근본(根本)으로 삼았다

1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일(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一), 논역지삼명(論易之三名, 역의 3가지 이름에 대하여 논하다)
1. 역(易)은 변화(變化)의 총체적(總體的)인 이름이다
2. 변화(變化)의 역량(力量)과 환대(換代)의 공로(功勞)
3. 위서(緯書) 건착도(乾鑿度), 역(易) 변역(變易) 불역(不易)
4. 정현(鄭玄), 이간(易簡) 변역(變易) 불역(不易)
5. 최근(崔覲) 류정간(劉貞簡), 이간(易簡) 변역(變易) 불역(不易)
6. 주홍정(周弘正), 유무(有無)가 서로 교대(交代)하고, 피차(彼此)가 서로 바뀌는 것이,
모두 역(易)이다
7. 장기(張譏) 하타(何妥), 역(易)은 교대(交代)하는 것을 이르는 명칭(名稱)이요,
상대(相對)를 기다려 박탈(剝奪)한다는 뜻이다
8. 위의 설(說)들은 역(易)에 위배(違背)되므로, 정강성(鄭康成)의 설(說)을 따른다
9. 태역(太易) 태초(太初) 태시(太始) 태소(太素)
10. 역(易)의 시작(始作)은 혼돈(渾沌)이다
11. 형이상(形而上) 도(道) 무(無), 형이하(形而下) 기(器) 유(有)
12. 역(易)은 형상(形象)이다
13. 건착도(乾鑿度) 공자(孔子), 역(易)으로써 비로소 현실세계(現實世界)에서
도덕(道德)과 정치(政治)가 시작(始作)되었다

2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이(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二), 논중괘지인(論重卦之人, 중괘를 만든 사람에 대하여 논하다)
1. 황하(黃河)의 도(圖, 그림), 낙수(洛水)의 서(書, 글)
2. 복희씨(伏羲氏)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형상화(形象化)하여 팔괘(八卦)를 지었다
3. 공안국(孔安國), 마융(馬融), 왕숙(王肅), 요신(姚信)
4. 팔괘(八卦) 육효(六爻) 육십사괘(六十四卦)
5. 중괘(重卦)를 만든 사람에 대(對)한 4가지 학설(學說)
6. 우왕(禹王)과 문왕(文王)이 중괘(重卦)를 만들었다는
학설(學說)에 대(對)한 논파(論破)
7. 신농씨(神農氏)가 중괘(重卦)를 만들었다는 학설(學說)에 대(對)한 논파(論破)

3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삼(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三), 논삼대역명(論三代易名, 삼대의 역명에 대하여 논하다)
1. 연산(連山) 귀장(歸藏) 주역(周易)
2. 두자춘(杜子春), 연산(連山)은 복희(伏羲)의 역(易), 귀장(歸藏)은 황제(黃帝)의 역(易)
3. 정현(鄭玄), 연산(連山)은 하(夏)나라 역(易), 귀장(歸藏)은 은(殷)나라 역(易),
주역(周易)은 주(周)나라 역(易)
4. 연산(連山)과 귀장(歸藏)은 왕조(王朝)의 칭호(稱號)이고,
주역(周易)은 주(周)나라 역(易)이다
5. 황보밀(皇甫謐)이 주(周)나라 문왕(文王)의 주역(周易)이라고 한 것이며,
계사전(繫辭傳)에는 연산(連山)과 귀장(歸藏)에 대(對)한 기록(記錄)이 없다

4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사(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四), 논괘사효사수작(論卦辭爻辭誰作, 괘사와 효사를 누가 지었는가를 논하다)
1. 괘사(卦辭)와 효사(爻辭)를 모두 문왕(文王)이 지었다는 설(說)
2. 건착도(乾鑿度), 복희씨(伏羲氏) 문왕(文王) 공자(孔子)
3. 통괘험(通卦驗), 창아(蒼牙) 창(昌) 공자(孔子)
4. 복희제괘(伏犧制卦), 문왕계사(文王繫辭), 공자작십익(孔子作十翼)
5. 효사(爻辭)를 징험(徵驗)해보면 문왕(文王) 이후(以後)의 일이 많다는 설(說)
6. 승괘(升卦) 육사(六四) 효사(爻辭)
7. 명이괘(明夷卦) 육오(六五) 효사(爻辭)
8. 기제괘(旣濟卦) 구오(九五) 효사(爻辭)
9. 괘사(卦辭)는 문왕(文王)이 지었고, 효사(爻辭)는 주공(周公)이 지었다

5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오(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五), 논분상하이편(論分上下二篇, 역을 상하 2편으로 나눔에 대하여 논하다)
1. 양삼음사(陽三陰四) 위지정야(位之正也)
2. 양(陽)의 도(道) 상편(上篇) 삼십편(三十篇),
음(陰)의 도(道) 하편(下篇) 삼십사편(三十四篇)
3. 건괘(乾卦)와 곤괘(坤卦)는 상편(上篇)의 시작(始作)이다
4. 이괘(離卦)와 감괘(坎卦)는 상편(上篇)의 종결(終結)이다
5. 함괘(咸卦)와 항괘(恒卦)는 하편(下篇)의 시작(始作)이다
6. 기제괘(旣濟卦)와 미제괘(未濟卦)는 하편(下篇)의 종결(終結)이다

6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육(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六), 논부자십익(論夫子十翼, 공자의 십익에 대하여 논하다)
1. 단전(彖傳) 상전(象傳) 등(等) 십익(十翼)은 공자(孔子)가 지은 것이다
2. 십익(十翼), 단상전(彖上傳) 단하전(彖下傳) 상상전(象上傳) 상하전(象下傳)
계사상전(繫辭上傳) 계사하전(繫辭下傳) 문언전(文?傳) 설괘전(說卦傳)
서괘전(序卦傳) 잡괘전(雜卦傳)

7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칠(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 논전역지인(論傳易之人, 역을 전한 사람에 대하여 논하다)
1. 공자(孔子)가 십익(十翼)을 창작(創作)하다
2. 한서(漢書) 유림전(儒林傳), 상구(商瞿) 자목(子木), 교비(橋庇) 자용(子庸),
간비(?臂) 자궁(子弓), 주추(周醜) 자가(子家), 손우(孫虞) 자승(子乘),
전하(田何) 자장(子莊)
3. 전하(田何) 자장(子莊), 왕동(王同) 자중(子中), 주왕손(周王孫), 정관(丁寬),
복생(服生), 숙원(叔元) 양하(楊何), 경방(京房), 양구하(梁丘賀), 양구임(梁丘臨),
왕준(王駿)
4. 정관(丁寬), 전왕손(田王孫), 시주(施?), 장우(張禹), 팽선(彭宣)
5. 후한(後漢) 시대(時代), 마융(馬融), 순상(荀爽), 정현(鄭玄), 유표(劉表), 우번(虞?),
육적(陸績), 왕보사(王輔嗣)

8장. 주역정의 권제일 권수제팔(周易正義 卷第一 卷首第八), 논수가경자(論誰加經字, 누가 경자를 추가했는가를 논하다)
1. 경(經) 자(字)를 붙여 역경(易經)이라고 칭(稱)하다
2. 예기(禮記) 경해편(經解篇)
3. 효경(孝經) 위서(緯書)



회원리뷰 (0)

현재 회원리뷰가 없습니다.

첫 번째 리뷰를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