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의 시인’ 박용래 문학세계의 모든 것
1960~70년대 한국적 서정의 독보적 경지를 선보이며 한국문학사에 뚜렷한 자취를 남긴 박용래 시인의 시전집과 산문전집, 평전이 나란히 출간되었다.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울타리 밖」을 비롯해 「겨울밤」 「저녁눈」 「점묘」 등의 명시들로 확고한 문학사적 평가를 얻고 후배 시인들의 사랑을 받는 시인이지만, 그의 문학성이 온전히 갈무리된 전집이 미비한 점은 오랜 아쉬움으로 남아 있었다. 『정본 백석 시집』 등의 작업으로 시 정본 연구의 면밀함을 인정받은 고려대 고형진 교수가 수년간의 자료 조사와 연구 끝에 내놓은 『박용래 시전집』 『박용래 산문전집』, 그리고 그의 문학적 일대기를 담은 『박용래 평전』은 시인이 생전에 발표한 시와 산문 작품, 미발표 원고, 편지 등을 망라하고 시인에 대한 전기적 사실과 증언 등을 두루 참조하여 박용래 시인의 문학세계를 폭넓게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박용래 시인은 1925년 충청남도 강경에서 태어났다. 그는 명문인 강경상업학교를 졸업하고 조선은행(현 한국은행)에 입사했으나 은행 업무에 대한 환멸과 시에 대한 열망으로 3년 만에 그만두었고, 그뒤 몇 차례의 짧은 교직 생활을 제외하고는 줄곧 시쓰기에 전념했다. 1955년 박두진 시인의 추천으로 『현대문학』 6월호에 「가을의 노래」, 1956년 1월호와 4월호에 「황토길」과 「땅」을 발표하며 시단에 나온 그는 등단 13년 만에 첫 시집 『싸락눈』을 간행하고 이듬해 제1회 현대시학작품상을 수상했으며, 1975년 두번째 시집 『강아지풀』, 1979년 세번째 시집 『백발의 꽃대궁』을 펴냈다.
박용래의 시는 짧은 시행 안에 풍경을 있는 그대로 서술하면서도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과 같이 다가온다. 여기에는 함축적인 이미지와 엄격한 언어 조탁에서 비롯된 그의 독특한 회화적 형식미가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를 박용래 시인은 스스로 ‘점묘의 기법’이라고 부른 바 있다.
삶 속에서 문학을 살아간 시인의 초상
『박용래 평전』은 박용래 시인의 시전집과 산문전집을 엮으며 누구보다 그의 문학세계를 깊이 들여다본 고형진 교수가 수년에 걸쳐 시인에 관한 기록과 자료를 검토하고, 그와 가까웠던 이들을 찾아 직접 확인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시인의 문학과 일생을 조명한 뜻깊은 저작이다. 특유의 면밀한 조사와 연구로 시인에 대해 알려진 사실을 하나하나 검토해 오류를 바로잡고, 시인의 고향을 비롯해 그가 거쳐간 장소를 일일이 방문해 그의 내면 풍경을 상상하고, 그와 관련된 인물과 텍스트를 두루 참조해 그 영향 관계를 밝히는 열정과 수고는 박용래 시인에 대한 깊은 애정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일 것이다.
때로는 엄밀한 논증으로, 때로는 극적인 이야기로 전해지는 박용래 시인의 일생은 “오직 시인으로만 살았던”(6쪽) 이의 일대기로 다가온다. 어린 시절 자신을 어머니처럼 돌봐주었던 열 살 위 누이의 갑작스러운 죽음을 겪고, 시쓰기에 매진하기 위해 남들이 부러워하던 은행원이라는 직업을 미련없이 그만두고, 존경하는 시인을 만나기 위해 무작정 먼길을 떠나 밤길을 헤매고, 마음이 통하는 시인 예술가들과 함께하는 자리에서 기꺼이 눈물을 글썽이는 시인의 모습은 운명적으로 시인의 길을 걸어간, 삶 속에서 문학을 살아간 시인의 초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시인이 온몸으로 통과한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까지의 극적인 현대사와 당대의 문단 풍경은 학술적인 연구서로는 접하기 어려운 당대 역사와 문학의 미시적인 면면을 흥미롭게 들여다보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