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주역정의(周易正義) 제6권
서문(序文)
공산주의(共産主義)는 멸망(滅亡)했고,
자본주의(資本主義)는 실패(失敗)했다.
주역겸의 상경 수전 권제이(周易兼義 上經 需傳 卷第二)
제5괘. 수(需)
감상건하(坎上乾下, 물 위 하늘 아래) 수천수(水天需, 물 하늘 수)
1. 수(需)는, 믿음이 있어서, 광명(光明)하고 형통(?通)하여, 정도(正道)로서 길(?)하니,
대천(大川)을 건너는 것처럼 하면 이(利)롭다
2. 수(需)는, ‘기다림’이다
3. 만물(萬物)이 처음에는 어리고 어리석어서, 길러줌을 기다린 뒤에 성장(成長)하고,
신뢰(信賴)가 없으면 서지 못하니, 기다린다는 것은 오직 신뢰(信賴)이다
4. 큰 하천(河川)을 건너듯이 행(?)하면 이(利)롭다
5. 수(需)는 기다림이니, 험(險)함이 앞이 있기 때문이요, 강건(剛健)하며 빠지지 않으니,
그 의리(義理)가 곤궁(困窮)하지 않음이다
6. 천위(天位)에 자리해서, 중정(中正)을 사용(使用)하여, 이로써 만물(萬物)을 대(待)하면,
수(需)의 도(道)가 마감되므로, 광명(光明)하고 형통(?通)하여
정도(正道)라서 길(?)하다고 한 것이다
7. 단왈수수야(彖曰需須也) 이정중야(以正中也)
8. 강건이불함(剛健而不陷) 기의불곤궁의(其義不困窮矣)
9. 천위(天位)에 자리하여서, 정중(正中)으로써 행(?)함은, 바로 구오(九五)의 덕(德)이다
10. 중(中)하다는 것은 편벽(偏僻)되지 않음이고,
정(靜)하다는 것은 간사(奸邪)함이 없음이다
11. 거대(巨大)한 하천(河川)을 건너면 이(利)롭다는 것은,
건너가면 공(功)이 있기 때문이다
12. 건(乾)으로서 강건(剛健)하기 때문에,
험난(險難)한 곳을 가더라도 공(功)이 있는 것이다
13. 이섭대천(利涉大川)하므로 비로소 형통(?通)함이 밝게 드러나는 것이다
14. 구름이 하늘로 올라감이 수괘(需卦)이니,
군자(君子)가 이로써 음식(飮食)을 먹고 연락(宴樂)을 행(?)한다
15. 초구(初九)는, 교외(郊外)에서 기다리는 상(象)이다
16. 수(需)의 때에 거(居)하여, 험난(險難)함과 가장 멀어서,
능(能)히 그 나아감을 억제(抑制)하여, 험(險)함을 멀리하고 때를 기다리니,
비록 시기(時期)에 응(應)하지는 못하나, 떳떳함을 보존(保存)할 수 있는 것이다
17. 다만 험난(險難)함이 감(坎)에 있는데, 초구(初九)가 험난(險難)함과의 거리가
이미 멀기 때문에, 때를 기다려서 교외(郊外)에 있는 것이다
18. 항(恒)은 항상(恒常)됨이니, 험(險)함을 멀리하고 때를 기다리면서
해로움을 피(避)하므로, 항상(恒常)됨을 보존(保存)하여 지키면 이(利)로운 것이다
19. 교외(郊外)에서 기다림은, 험난(險難)함을 범(犯)하여 나아가지 못하는 것이요,
항상(恒常)됨을 이용(利用)하니 허물이 없다는 것은, 항상(恒常)됨을 잃지 않는 것이다
20. 구이(九二)는, 모래에서 기다리는 상(象)이니,
다소(多少) 언어(?語)에 따른 구설(?舌)이 있으나, 종국(終局)에는 길(?)할 것이다
21. 가까이는 험난(險難)함에 핍박(逼迫)당하지 않고, 멀리는 때에 뒤늦지 않으며,
건(乾)을 밟고 중(中)에 거(居)하여, 기회(機會)를 기다리니,
비록 다소(多少) 구설(?舌)이 있더라도, 길(?)함으로써 끝마친다는 것이다
22. 강변(江邊)의 모래는 본래(本來) 물가의 땅으로서, 물과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니,
모래에서 때를 기다리므로, 험난(險難)함이 조금 가까운 것이다
23. 다만 건(健)을 밟고서 중(中)에 거(居)하여, 기회(機會)를 기다리니,
비록 다소(多少) 꾸짖는 말이 있더라도, 끝내는 그 길(?)함을 얻을 것이다.
24. 구삼(九三)은, 진흙에서 기다리는 상(象)이니, 도적(盜賊)이 오도록 만들 것이다
25. 도적(盜賊)이 오는 것은, 나로 말미암아 불러온 것이니,
공경(恭敬)하고 삼가하며 방비(防備)하면, 가이(可以) 실패(失敗)하지 않을 것이다
26. 험난(險難)함에 매우 가까이 핍근(逼近)하여, 도(道)에 나아가고자 하면,
험난(險難)함이 반드시 자신(自?)을 해치므로, 도적(盜賊)이 오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27. 진흙에서 기다린다는 것은, 재앙(災殃)이 바깥에 있는 것이요,
나로 말미암아 도적(盜賊)을 불러들였으니,
공경(恭敬)하고 삼가한다면 실패(失敗)하지는 않을 것이다
28. 육사(六四)는, 혈(?)이 흐르는 상처(傷處)에서 기다림이니,
구멍에서 혈(?)이 나오는 것이다
30. 음양(陰陽)이 서로 가까이 있으면서도, 서로 뜻이 맞지 않아서,
양(陽)이 나아가고자 하는데 음(陰)이 이것을 막으니, 서로를 해(害)치게 되는 것이다
31. 구삼(九三)이 양(陽)으로서 위로 나아가고자 하는데, 이 육사(六四)의 음(陰)이
그 길을 막아서, 둘이 서로를 방해(妨害)하므로, 혈(?)이라고 칭(稱)하였으니,
혈(?)에서 때를 기다림은, 험난(險難)한 가운데에서 때를 기다림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32. 혈(穴)은 바로 음(陰)의 행로(?路)이니, 구덩이 감(坎)의 시작(始作)에 처(處)하여,
음(陰)의 구멍에 거처(居處)하는 자(者)이다
33. 혈(?)에서 기다린다는 것은, 순(順)함으로써 명령(命令)을 따르는 것이다
34. 곤괘(坤卦) 상육(上六)에서, 그 혈(?)이 검고 누르다는 것이, 바로 이것이다
35. 혈(穴)과 혈(?)은, 각각(各各) 매사(每事)의 의리(義理)에 따르는 것이다
36. 구오(九五)는, 술과 밥의 주식(酒食)에서 기다림이니, 정(貞)하면 길(?)하다
37. 수(需)의 기다리는 바는, 통달(通達)하기를 기다리는 것이다
38. 주식(酒食)의 정길(貞?)은, 중정(中正)하기 때문이다
39. 구오(九五)가 중(中)에 거(居)하고 정(正)을 얻어서,
수(需)의 도(道)가 형통(?通)하여, 상하(上下)가 무사(無事)함을 말한 것이다
40. 상육(上六)은, 음(陰)의 구멍에 들어가니, 부르지 않은 손님 세 사람이 올 것이므로,
공경(恭敬)하면 끝내 길(?)할 것이다
41. 상육(上六)은 음효(陰爻)이므로, 역시(亦是) 혈(穴)이라고 칭(稱)한 것이다
42. 상육(上六)이 구삼(九三)과 서로 성교(性交)를 하듯 감응(感應)이 되어서,
상육(上六)은 두려워하거나 꺼리는 바가 없으므로,
마침내 음(陰)의 구멍에 들어가 거처(居處)한다는 것이다
43. 삼인(三人)은 초구(初九) 구이(九二) 구삼(九三)을 이르니, 이 세 양(陽)이
힘써 위로 올라가고자 하여, 부르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스스로 온 것이므로,
그래서 이르길, 부르지 않은 손님 세 사람이 올 것이라고 한 것이다
44. 비록 지위(地位)를 담당(擔當)하지 않았으나, 크게 실수(失手)하지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