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승대
문화답사 전문가이자 작가. ‘우리 문화’에 대한 열정으로 조자용 에밀레박물관장에게 사사하며, 18년간 공부했다. 인사동 문화학교장(2000~2007)을 지냈고, 졸업생 모임 ‘인사동을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인사모)’, 문화답사모임 ‘바라밀 문화기행(1993년 설립)’과 전국 문화답사를 다닌다. 『사찰에는 도깨비도 살고 삼신할미도 산다』(올해의 불서 대상), 『사찰 속 숨은 조연들』(2022)을 집필했다.
김성환
문학박사, 전 경기도박물관장. 저서 『마니산 제사의 변천과 단군전승-참성초에서 마니산산천제로』, 『경기, 천년의 문화사』, 『조선시대 단군묘 인식』, 『일제강점기 단군릉수축운동』, 『고려시대의 단군전승과 인식』 등 다수. 논문 『삼국유사』 고조선조의 古記論, 단군, 신화에서 역사로, 태백산산신 옥도검(玉刀鈐)과 삼척 오금잠제(烏金簪祭), 20세기 초 단군영정의 보급과 화본(本) 검토 등 다수.
강영경
인천광역시 시사편찬위원이자 (사)역사여성미래 공동대표. 숙명여대 사학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고대전통종교를 전공하며 민속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인천광역시 문화재위원을 지냈다.
이경수
고등학교 역사교사였다. 지금은 학교 밖 세상에서, 읽고 쓰고 종종 강의와 답사 안내도 하며 지낸다. 한국사 속에서 강화도가 어떤 의미와 가치를 갖는지 찾아가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에세이집 《나는 오늘도 선생이다》, 한국사 교양서 《한국사 키워드 배경지식》 등을 냈고 강화도와 한국사를 잇는 《연산 광해 강화》, 《오군, 오군, 사아이거호-강화도에서 보는 정묘호란·병자호란-》, 《강화도, 근대를 품다》, 《강화도史》, 《숙종, 강화를 품다》, 《왜 몽골제국은 강화도를 치지 못했는가》, 《역사의 섬 강화도》 등을 출간했다.
강호선
성신여대 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및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주요 논저로 「고려말高麗末 나옹혜근懶翁慧勤 연구硏究」, 「송宋·원대元代 수륙재水陸齋의 성립과 변천」, 「고려 말 선승禪僧의 입원유력入元遊歷과 원元 청규淸規의 수용」, 「무외국통無畏國統 정오丁午와 원간섭기 백련결사의 전개」, 「고려시대 국가의례로서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정치적 의미」 등이 있다.
주수완
미술사학자.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석사과정을 거쳐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대승설법도상의 연구」(2010)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한국미술사연구소 책임연구원,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우석 대학교 유통통상학부 조교수로 실크로드 교류사, 예술경영, 불교경제학을 강의하고 있으며, 문화재청 문화재 전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저서로 『솔도파의 작은 거인들』 (2012), 『한국의 산사 세계의 유산』(2020), 『불꽃 튀는 미술사』(2021), 논문으로 「황룡사 장육상의 제작기법에 대한 연구」(2011), 「강하에서 내영으로」(2013) 등 다수가 있다. 이를 통해 한국의 불교미술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 걸친 불교미술의 전파와 교류 관계를 양식, 도상 및 제작기법 등을 다양한 시각으로 연구하고 있다. 또한 〈미켈란젤로 앞에 선 불교미술사학자〉(2018), 〈미술사학자와 읽는 삼국유사〉(2017) 등을 법보신문에 연재하고 법보신문이 주관하는 성지순례와 답사 프로그램인 ‘선재의 걸음’을 운영하는 등 불교미술사와 인문학 연구의 대중화에도 앞장서고 있다.
김경표
수원박물관 학예연구사. 경기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최씨정권의 강화천도와 대몽항전 성격」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수원 지역사 연구와 다양한 특별기획전 개최, 유물 수집과 관리 등을 맡고 있다.
김태식
연합뉴스 K컬처기획단장. 연합뉴스 문화재 전문기자로 오래 활동했으며 문화부장을 역임했다. 『풍납토성 500년 백제를 깨우다』,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를 비롯한 한국고대사 관련 논저를 다수 집필했다.
김선
발굴과 보고서 작업은 물론 논문 발표까지 병행하는 국내에 몇 안 되는 고고학자로 문화재와 함께한 지 20년이 넘었다. 북한산 서암사지·중흥사지·부왕사지, 남원 실상사, 군위 인각사지, 경희궁 유적 등 40여 곳의 복원·정비를 위한 학술 발굴 조사에 참여했고, 그러면서 논문만 16편 이상을 발표했다. 여전히 땅 파는 일이 소중한 그는, 발굴을 통해 과거의 일상을 발견해 나가는 일이 큰 기쁨이자 보람이다.
최연주
동의대 교수이자 동의언론사 주간. 동의대에서 「고려대장경의 조성과 각성인 연구」로 문학박사를 받았다. 저서로는 『고려대장경연구』, 『왜 고려는 팔만대장경을 만들었을까』와 공저로는 『국역 고려사』, 『동아시아의 목판인쇄』, 『고려시대사강의』 등이 있다.
윤후명
1946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연세대학 철학과를 졸업했다. 1967년 경향신문 신춘문예에 시 『빙하의 새』가 당선되었다. 1969년 연세대학교를 졸업, 강은교, 김형영, 박건한 등과 함께 시 동인지 『70년대』를 창간하고, 도서출판 삼중당에 취직하였다. 이후 10년 동안 여러 출판사에서 근무하다가 1977년 첫 시집 『명궁』을 출간하였다. 197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에 소설 『산역』이 당선되어 소설가와 시인의 길을 병행하면서 단편 『높새의 집』 『갈매기』 『누란시집』을 발표하였다. 1980년 전업작가로 나서 김원우, 김상렬, 이문열, 이외수 등과 함께 소설 동인지 『작가』를 창간하고, 단편 『바오밥나무』 『모기』 등을 발표하였다.저서로 시집 『名弓』(1977), 『홀로 등불을 상처 위에 켜다』(1992) 등이 있고, 소설집 『敦煌의 사랑』(1983), 『부활하는 새』(1986), 『원숭이는 없다』(1989), 『오늘은 내일의 젊은 날』(1996), 『귤』(1996), 『여우 사냥』(1997), 『가장 멀리 있는 나』(2001), 『둔황의 사랑』(2005, 2005프랑크푸르트 국제도서전 ‘한국의 책 100’ 선정 도서) 등과 장편소설 『별까지 우리가』(1990), 『약속 없는 세대』(1990), 『협궤 열차』(1992) 『삼국유사 읽는 호텔』(2005)등이 있으며, 그외 산문집 『이 몹쓸 그립은 것아』(1990), 『꽃』(2003), 장편동화 『너도밤나무 나도밤나무』(1994)가 있다. 이 중 단편 「둔황의 사랑」 「원숭이는 없다」 「사막의 여자」 등이 각각 프랑스어, 중국어, 독일어, 영어 등으로 번역되어 해외에 소개된 바 있다.1980년대에 소설가로 활동을 시작한 그의 작품세계는 80년대의 일반적인 소설 경향과는 뚜렷이 구별되어 독특한 위치에 놓여 있다. 직접적인 현실의 무게에 짓눌리지 않고 시적인 문체와 독특한 서술방식으로 환상과 주술의 세계를 자유롭게 비상하는 그의 소설은 1980년대의 시대적 부채감에서 자유로웠다. 또한 1990년대 들어서는 자전적 색채가 짙은 여로형 소설을 발표하여 삶의 본질적인 쓸쓸함을 이야기하였다. 또한 1995년 작품인 「하얀 배」는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접근과 대상에 대한 섬세한 묘사를 통해 정서적인 격조를 잘 살려낸 서사 기법으로, 전통적인 플롯의 규범에서 벗어나 정밀한 묘사를 통해 특유의 비유와 상징을 살려내면서 소설적 공간을 이동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1983년 『돈황의 사랑』으로 제3회 녹원문학상, 1984년 『누란』으로 제3회 소설문학작품상, 1986년 제18회 한국창작문학상, 1994년 『별을 사랑하는 마음으로』로 제39회 현대문학상, 1995년 『하얀 배』로 제19회 이상문학상을 수상하였으며, 2007년에는 제10회 김동리 문학상을 받았다. 현재는 창작에 전념하면서 문학비단길 고문과 국민대 문창대학원 겸임교수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