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펴내며 _04
들어가는 말 _11
제1부 인물과 가족사
제1장 출생과 성장과정 _26
1 출생과 시대 및 지역적 배경 _26
2 성장과정과 어머니의 죽음 _41
제2장 일상공간으로서의 가계 _49
1 부계의 환경 _49
2 모계의 환경과 장영의 가르침 _57
제3장 사승관계와 초기의 인적 교류 _64
1 사승관계에서 본 사상사적 위상 _64
2 초기의 우인과 인맥 _71
제4장 스승 허부원과의 만남 _85
1 스승─허부원이라는 인물 _85
2 허부원의 지방관 활동 _91
3 스승과의 만남 이후 _98
제5장 과거와 관료생활 _108
1 과거합격의 길 _108
2 관료로서의 유종주 _119
3 숭정 초·중기의 관력 _125
4 숭정 말기의 관력 _134
제2부 유종주와 주변 인물들
제1장 명대 말기의 강학과 유종주 _144
1 초·중기의 강학-동림서원과 수선서원 _146
1) 동림서원 강학과 초기의 강학 활동 _146
2) 수선서원과 동림당 그리고 유종주 _155
2 후기의 강학과 증인서원 _164
1) 증인서원 시기와 강학의 양상 _164
2) 증인서원에서의 유종주와 도석령 _172
제2장 강학과 정치 네트워크 _181
1 학술공동체로서 서원과 강학 _182
1) 서원의 기능과 지역 서원 _184
2) 강학-유교 학술과 정치 담론 _192
2 학술과 정치 네트워크 _197
1) 학술·정치 네트워크로서 동림서원 _197
2) 소동림으로서 복사 _202
제3장 인맥과 주변 인물들 _213
1 유종주와 문인들(그 첫째) _213
2 유종주와 문인들(그 둘째) _239
제4장 문인집단의 성격과 지역사회 _258
1 문인집단 성격의 한 단면 _258
2 문인집단의 지역사회 활동 _272
제5장 유종주와 즙산학 후계자들 _284
1 유종주와 황종희의 관계 양상 _285
1) 사학 계승을 둘러싼 몇 가지 평론 _285
2) 학술적 사승관계의 양상 _294
2 후학으로의 비판적 계승 문제 _301
1) 전조망의 즙산학 계승 관계 _301
2) 또 다른 후계자-진확과 장리상 _309
제6장 몇 개의 유종주상 _317
1 명청시대의 유종주상 _317
2 유종주상의 시점 _327
제3부 명말 유교사상계와 지역
제1장 학술문화의 중심지로서 강남 지역 _338
1 절강의 지리와 사상문화 _339
1) 자연·문화지리와 출판문화 _339
2) 과거제와 사상문화의 지역성 _349
2 절동의 학술과 유교문화 _358
1) 절동 지역과 학술문화 _358
2) 절동의 진사와 유교 지식인 _366
제2장 명말 사상계─주자학·양명학의 변화 _374
1 양명학 좌파와 동림파 _374
1) 양명학 좌파의 유행 _374
2) 동림파의 등장 _382
2 명말 사상계와 유종주의 인식 _388
1) 명말의 사상 동향과 사회 현실 _388
2) 명말 사상계에 대한 인식 _393
제3장 학파간의 논쟁-무선무악 _403
1 절동 양명학 좌파의 계보와 평가 _404
1) 절동 양명학 좌파의 계보 _404
2) 좌파의 입장에 대한 평가 _411
2 무선무악 논쟁 _417
1) 논쟁의 경과와 의의 _417
2) 반무선무악의 입장 _424
제4장 명말 동림파와 유종주 _434
1 동림파 인식과 태도 _436
1) 이삼재 사건의 실상 _436
2) 동림파와의 교유 그 후 _445
2 또 하나의 동림당 사건 _451
1) 숭정 15년 전후의 행적 _451
2) 강웅의 옥과 유종주 _458
제5장 학문의 수용 양상과 교유 _469
1 정주학의 비판적 수용 _470
1) 정주학과의 접촉 _470
2) 정주학에 대한 평론 _474
2 양명학의 수용 양상과 교류 _484
1) 양명학의 비판적 수용 _484
2) 양명학 좌파 인사와의 교류 _492
나오는 말 _500
참고문헌 _503
찾아보기(인명·지명) _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