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책을 펴내며 _04
■ 들어가는 말 _09
제1부 송명유학과 학문의 양상
제1장 유종주와 송명대의 유자들 _22
1. 송유에 대한 인식과 평가 _24
1) 송유오자에 대한 현창 _25
2) 윤돈에 대한 현창 _33
2. 명유 인식과 사상사의 흐름 _42
1) 명대 초기의 사조와 평가 _42
2) 명대 중기 이후의 사조와 평가 _54
제2장 유종주 학문사상의 기본구조 _63
1. 두 가지 핵심 개념 _63
1) 신독론 _63
(1) 유교사상 속의 신독론 _65
(2) 유종주의 신독 _71
2) 성의론 _77
2. 학문이 세 번 변하다 _87
제3장 주자학과 양명학의 경계 _102
1. 학문의 출발점―주자학관 _102
2. 또 하나의 삼변설―양명학관 _114
제4장
"인보"의 사상 구조 _128
1. "인보"의 탄생과 구성 _128
1) "인보"의 저술과 의의 _128
2) "인보"의 구성 체계 _134
2. 기과격과 송과법 _148
1) 과악의 분석과 자기인식 _148
2) 송과법과 자기반성 _156
3. 성인의 길과 개과천선 _161
1) 보편적 인간되기-성인 _162
2) 개과천선과 성인되기 _171
제2부 종족과 지역 및 학파
제1장 가족
·종족론의 실상 _184
1. 송
·명대와 종족의 재인식 _184
2. 가족
·종족 관념의 한 양상 _197
제2장 지역사회와 질서 의식 _217
1. 유교사회의 질서 의식과 실천 _217
1) 명대 말기의 사회질서와 실천책 _218
2) 향약보갑제와 지역사회 _227
2. 지역사회와 유종주 _242
1) 사창의 시행과 지역사회 _244
2) 소흥 지역과 수리개혁 _246
3) 수리개혁의 제안 _253
제3장 강소 지역의 동림학파 _262
1. 동림학파와 유교사상적 양상 _26
1) 동림학파의 위상과 실상 _264
2) 고헌성과 동림학파의 사상적 양상 _271
2. 학술적 교유 양상과 평론 _279
1) 고반룡과 유종주의 교유 _279
2) 비판적 평론과 동림당쟁 _287
제3부 저술 활동과 사상의 내면
제1장 저작 활동과 절동학파의 형성 _298
1. 저작 활동과 학술의 실상 _298
1) 50세 이후의 저작 활동 _303
2) 사후의 저작집 간행 _313
2. 절동학술과 절동사학 _319
1) 절동학술과의 관계성 _320
2) 절동사학의 개산인가 _327
제2장 정치사상과 역사관 _335
1. 학문정치론 _335
2 사서 편찬과 역사관 _348
1) 사서 편찬의 의미와 기록정신 _349
2) "중흥금감록"의 구성과 내용 _356
제3장 퇴계와 유종주의 성학론 비교 _364
1. "성학십도"와 "성학종요" _366
1) "성학십도"의 저술과 구조적 특징 _366
2) "성학종요"의 편찬과 구조적 특징 _372
2. 성학의 의미에 관하여 _382
1) 성학의 주자학적 의미 _382
2) 성학의 주왕 절충학적 의미 _389
제4장 도통론과 유교사상사 _396
1. 유교 도통론과 명대 말기 _399
1) 도통론의 경위 _399
2) 명말청초의 도통론 구상 _409
2. 유종주의 도통론 구상 _418
1) "성학종요"의 도통론_419
2) "황명도통록"의 도통론 _424
3) 평가의 양면 _426
제5장 수기치인과 "중용" 및 "대학" _433
1. 수기치인과 "중용"의 도 _433
1) 유교의 핵심 가치로서 수기치인 _434
2) 수기치인의 이념과 현실세계 _440
3) "중용"의 이념과 신독 _448
2. "대학" 해석사로서 송명유학 _454
1) 사서와 송명대의 학술 풍경 _455
2) 주희와 왕수인의 해석 _461
3) "대학" 개정과 그 이념 _467
제6장 최만년의 행적과 그 죽음 _480
1. 명나라 멸망과 최만년의 행적 _480
2. 죽음과 그 생사관 _493
1) 생사의 갈림길에서 _493
2) 유종주의 생사관 _504
■ 나오는 말 _511
■ 참고문헌 _519
■ 찾아보기(인명·지명) _525